[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이 짐바브웨 정부와 광물 협력을 모색한다. 배터리 광물이 풍부한 짐바브웨에 한국 기업들의 진출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 25일 주짐바브웨 한국대사관과 더헤럴드 등 외신에 따르면 박재경 대사는 22일(현지시간) 콘스탄티노 치웬가 짐바브웨 대통령 권한대행을 만났다. 광물을 비롯해 여러 분야의 경제 협력 방안을 살폈다. 박 대사는 면담 후 현지 외신과의 인터뷰에서 "짐바브웨는 한국이 찾는 리튬을 포함해 다양한 광물이 있다"며 "한국 기업들은 짐바브웨 투자를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짐바브웨는 세계 7위, 아프리카 1위 리튬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에 따르면 탄산리튬(LCE) 기준 매장량은 367만t에 달한다. 리튬 시장의 성장잠재력이 높아 중국 기업들은 짐바브웨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화유코발트는 지난 7월 짐바브웨 고로몬치에서 리튬 정제 공장 가동을 시작했다. 시노마인리소스와 청산리튬도 짐바브웨 리튬 광산을 인수했다. 리튬이 배터리 생산에 필수 원재료인 만큼 한국 기업들도 짐바브웨 투자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는 짐바브웨와 돈독한 관계를 쌓아 기업들의 진출에 마중물 역할을 한다. 양국은 지난 5월 안덕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아르헨티나 규제 당국으로부터 수입품 압류 처분을 받았다. 현지 공급사간 다툼 여파로 탄산리튬 생산 공정에 쓰이는 원재료가 압류됐다. 당장 사업에 지장을 줄 정도의 여파는 아니지만 포스코로서는 '때 아닌 악재'가 발생한 셈이다. 25일 아르헨티나 관세청에 따르면 당국은 최근 포스코 아르헨티나법인의 수입품을 압류했다. 문제가 된 수입품은 필라멘트롤이다. 이는 염호에서 추출한 리튬으로 탄산리튬을 생산하는 상공정에 쓰인다. 아르헨티나 관세청은 공식 성명을 통해 "해발 4000m가 넘는 아르헨티나 푸나의 광산 활동을 강력히 통제했다"고 밝혔다.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아르헨티나 옴브레 무에르토 리튬 염호를 인수해 개발에 나섰다. 작년부터 살타주에 연산 2만5000t 규모의 탄산리튬을 생산하는 1단계 상공정과 살타주 인근 구에메스 산업단지에서 탄산리튬을 수산화리튬으로 변환하는 하공정 공장을 건설 중이다. 올해 2만5000t의 2단계 상·하공정 건설도 시작해 아르헨티나 염호 기반으로 연산 5만t 생산체제를 갖췄다. 이는 전기차 120만 대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점차 확장해 2028년까지 아르헨티나 염호에서 연산 1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가 일본에서 전력구매계약(PPA) 서비스 고객사에 8개사를 추가했다. 기업의 태양광 발전 설치를 지원해 탄소 중립 확산에 앞장선다. 25일 한화재팬에 따르면 산업용 PPA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제지 회사 엘모어 간토 도치기 공장(865.2kW) △건축자재 기업 치요다 그라비야 이타코 2공장(441.6kW) △하리마 첨단 제조 기술 센터(186.4kW) △인쇄물 제작사 쇼웨이 인쇄 본사(255kW)와 제본 시설(120kW) △자동차 장비사 워드 본사(145.6kW) △오토바이 부품 제조사 교에이 세이사쿠 사업장(417.3kW) △포장재 회사 마수야마 쇼코 본사(206.4kW) △포장재 업체 하야시 히타치나카 공장(226.4kW)이다. 한화재팬은 고효율 태양광 모듈을 제공하고 발전소 설계부터 시공, 유지보수까지 원스톱으로 지원한다. 일본 전역 5개 영업소에 배치된 유지·보수 인력을 활용해 안정적인 발전소 가동도 돕는다. 고객사는 발전소 설치 부담을 해소하는 동시에 탄소 감축에 대응할 수 있다. 8개사는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소 36.7t에서 최대 268.7t 절감할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은 2050년 탄소 중립을 선언하며 기업
[더구루=오소영 기자] 유럽연합(EU) 입법기관인 유럽의회가 '핵심원자재법(CRMA)'을 통과시켰다. 3자 협상에 돌입해 연내 완료한다. 24일 코트라 벨기에 무역관에 따르면 유럽의회는 14일(현지시간) 프랑스 스트라스부르에서 열린 본회의에서 CRMA 협상안을 가결했다. CRMA는 2030년까지 제3국산 전략적 원자재 의존도를 역내 전체 소비량의 65% 미만으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한 법안이다.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자 마련됐다. 유럽의회가 통과시킨 수정안에는 전략 원자재의 정제 목표가 초안 40%에서 50%로 올랐다. 재활용은 2020~2022년 전략 원자재별 재활용 역량 대비 최소 10% 이상 상향된 목표치가 포함됐다. 이를 통해 EU는 역내 폐기물 내에 포함된 원자재의 45% 이상을 처리한다. 원자재 목록도 변경됐다. 핵심 원자재는 34개로 동일하지만 전략 원자재는 16개에서 17개로 늘었다. 알루미늄이 추가됐다. 아울러 유럽의회는 핵심원자재법의 채택 일정을 4년에서 2년 내로 수정했다. 핵심 원자재의 수요 증가를 완화할 조치를 마련하고 지속가능성 관련 EU 인증 기준과 요건을 강화하도록 했다.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초안에서 제시한 핵심 원자재 위원회 설립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석유천연가스공사(페트로차이나)가 현지 전기차 충전 회사를 품었다. 급속도로 성장 중인 중국 전기차 충전 시장을 공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페트로차이나에 따르면 회사는 푸톈신에너지의 지분 100%를 매수했다. 매입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2010년 설립된 푸톈신에너지는 중국 최초로 전기차 충전 사업을 시작했다. 현재 공용충전기 2만개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말 기준 중국 전역 50개 이상 도시에서 5만개 이상 운영하고 있다. 페트로차이나는 이번 인수로 전기차 충전 시장에 진출한다. 중국은 유럽, 미국과 함께 세계 3대 전기차 시장이다. 전기차 판매량이 늘며 충전소도 증가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충전인프라추진연맹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기 설치량은 2021년 261만개에서 2022년 말 506만개로 증가했다. 동관증권사는 충전기 시장 규모가 2022년 1241억 위안(약 23조원)에서 2025년 2045억 위안(약 37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충전기 시장의 고속 성장 속에 페트로나이차가 가세하며 경쟁 구도에도 변화가 전망된다. 터라이뎬(特来电)과 싱싱충뎬(星星充电), 윈콰이충(云快充) 등
[더구루=오소영 기자] 국내 배터리 장비 업체들이 북미에서 한국 배터리 3사로부터 2025년 22조원이 넘는 수주액을 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배터리 회사들의 북미 진출로 한국 장비 업체들의 동반 성장이 기대된다. 24일 코트라 시카고무역관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장비 업체들이 예상한 북미 지역 수주액은 2025년 22조2820억원이다. 이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으로부터 받을 발주만 계산한 규모다. 미국 에너지부(DOE)에 따르면 대규모 배터리 생산 설비 13개 중 11개는 국내 배터리 3사와 관련이 있다. 세 회사는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합작공장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세 회사의 북미 지역 연간 생산 규모는 2025년 428.5GWh에 달한다. 1GWh당 평균 설비투자액은 1300억원. 3사의 북미 지역 설비투자액은 2025년 55조7050억원으로 추산된다. 설비투자가 증가하며 한국 업체들의 수주 기회도 확대되고 있다. 배터리 셀은 모양과 에너지밀도 등이 표준화돼 있지 않다. 구조는 각형과 원통형, 폴리머형으로 나뉘고 셀 길이도 단폭과 장폭이 있다. 다양한 셀 생산 니즈에 대응하며 한국 장비 업체들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BWX테크놀로지스(이하 BWXT)가 와이오밍 에너지청과 초소형원전 상용화에 협력한다. 원자로 배치를 모색하고 활용 가능성을 살핀다. [유료기사코드] BWXT에 따르면 회사는 와이오밍 에너지청과 초소형원전 건설 관련 타당성 조사를 수행하고자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기간은 2년이다. 양측은 두 단계에 걸쳐 협력을 진행한다. 먼저 BWXT는 와이오밍주 산업계와 원전에서 생산한 전력과 열을 천연소다회의 원료인 트로나(Trona) 채굴에 활용할 방법을 모색한다. 초소형원전 'BANR' 설계를 위한 엔지니어링 작업도 수행한다. BANR은 3중세라믹미세피복입자(TRISO) 핵연료를 쓰는 고온가스로형 원자로다. 17㎿ 규모 전기와 50㎿ 열 출력을 특징으로 한다. BWXT는 1단계 작업을 토대로 후속 단계에서 잠재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자 설계를 강화한다. 와이오밍 제조사의 사업 역량을 확인할 시연도 추진한다. 조 밀러 BWXT 최고경영자(CEO)는 "이 프로젝트가 끝나면 잠재적인 일자리 창출, 산업 기회가 더 명확해지고 와이오밍주에 초소형원전을 배치하기 위한 로드맵을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주·연방 기관이 민간 부문과 협력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리나라가 '자원 부국' 나이지리아와 니켈, 망간, 코발트 등 핵심 광물 협력을 꾀한다. 현지 연구 기관과 파트너십을 맺는 것은 물론 연구 인력 교육과 더불어 광물 공동 탐사도 모색한다. 22일 나이지리아 정부와 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은 최근 나이지리아 지질조사소와 2006년 체결한 업무협약(MOU) 개정에 합의했다. 양사는 당시 지구 물리와 지구 엔지니어링 등 지질자원 관련 연구에 포괄적으로 협력하기로 했었다. 시간이 오래 지나 MOU가 만료된 만큼 내용을 수정하기로 했다. 지질자원연구원과 나이지리아 지질조사소는 핵심 광물에 대한 공동 연구를 추진한다. 나이지리아 연구원의 연구 능력 향상을 도울 교육 지원도 모색한다. 세부 내용을 합의해 MOU를 맺을 계획이다. 한국광해광업공단도 나이지리아와 핵심 광물 탐사를 추진한다. 나이지리아는 세계 10대 산유국으로 40여 종의 다양한 광물이 매장돼 있다. 2016년 나이지리아 카두나 북부 지역에서 니켈 광맥이 발견됐다. 순도 90% 이상인 니켈이 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 광산에서도 생산이 진행 중이다. 미래산업은 지난달 홍콩법인 천호투자유한공사를 통해 나이지리아산 리튬 광석을 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과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이 영국 탄소포집·저장(CCS) 연구 기관을 방문했다. 영국의 CCS·수소 기술을 확인하고 협력 방안을 검토했다. 22일 영국 SCCS(Scottish Carbon Capture and Storage)에 따르면 이윤상 한수원 수소사업실장 일행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스코틀랜드 수도 에든버러 소재 에든버러기후변화연구소(ECCI)를 찾았다.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 수소 사업 담당 실무진도 동행했다. 2005년 설립된 SCCS는 ECCI 산하 CCS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다. 영국 지질조사국, 헤리엇와트·애버딘·에든버러·글래스고 대학교 등 현지 정부 기관·대학과 협력하고 있다. 지난 2013년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처리연구개발센터와 CCS 기술 연구 협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었다. 이번 방문은 작년 4월 한수원과 주한영국대사관이 체결한 '넷제로(Net Zero) 파트너십'의 후속 절차다. 당시 양사는 청정 수소 생태계 조성을 위한 사업 개발과 공동 연구를 추진하고 수소 관련 기업간 네트워크 구축에 협력하기로 했었다. 이날 양측은 CCS·수소 기술을 공유하고 연구 협력을 모색했다. 한수원은 대용량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LS전선아시아가 베트남에서 200억원이 넘는 전력케이블 공급 계약을 따냈다. 베트남에서 활발한 수주로 현지 1위 종합전선회사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한다. 22일 베트남 기획투자부에 따르면 LS전선아시아의 베트남 법인 LS비나는 현지 시공사 TDEC(Thai Duong Electrical Construction)로부터 4027억동(약 220억원) 상당의 케이블을 수주했다. 지하에 매립되는 220kV 초고압 지중 케이블을 공급한다. 계약 기간은 300일이다. TDEC는 베트남 호찌민 딴선넛(Tan Son Nhat)과 바쿠오(Ba Queo)를 지하케이블로 연결하는 공사를 수행하고 있다. LS비나를 비롯해 네 회사를 평가했다. 입찰 서류 제출 기한을 연장해달라고 요청했던 두 곳은 중도 포기했다. 베트남 합작사였던 남은 1곳은 LS비나보다 높은 4100억동(약 230억원)을 입찰가로 제시해 탈락했다. LS전선아시아는 이번 수주로 베트남 사업을 확장하고 추가 수주 기회를 노린다. 베트남은 급격한 도시화로 전력 케이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지 정부는 제8차 국가전력개발계획(PDP8)에 송전망 구축 계획을 포함시켰다. 2030년까지 신규 송전망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가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과 원전 협력 의지를 내비쳤다. 2060년 원전 설비용량을 35GW로 확대하기로 하며 아랍에미리트(UAE)에서 이미 경쟁력을 입증한 한수원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22일 인도네시아 국민협의회에 따르면 밤방 수사트요 상원의장 일행은 전날인 21일 경북 경주시 한수원 본사를 방문했다. 에너지 체험형 홍보관을 찾아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비롯해 한수원의 원전 기술을 살폈다. 수사트요 의장은 방문 직후 공식 성명을 통해 "지난해 자산 69조원, 매출 10조6000억원을 거뒀으며 한국 전력 수요의 약 30%를 담당하는 회사"라고 한수원을 소개하며 "전체 매출의 5%를 연구·개발(R&D)에 투자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한수원의 대표 성과로는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건설을 꼽았다. 바라카 원전은 현재 3호기까지 운전을 시작했고 마지막 4호기는 준공을 마쳐 가동을 준비 중이다. 총 발전용량이 5.6GW로 4기 모두 가동되면 UAE 전력 수요의 약 25%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수원은 바라카를 시작으로 작년 8월 이집트 엘바다 원전 4기에 기자재를 공급하고 구조물을 건설하는 3조3000억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에너베이트(Enevate)'가 현지 배터리 회사와 고에너지밀도와 고속 충전을 특징으로 한 배터리 개발에 협력한다. 외부와의 파트너십을 넓히며 차세대 배터리 상용화를 추진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에너베이트는 20일(현지시간) 낸트지파워와 리튬이온 배터리 생산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낸트지파워는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 낸드웍스 그룹에 속한 회사다. 현재 최대 750Wh/L인 에너지밀도를 두 배 향상시킨 배터리 개발을 목표로 한다. 최소 15분이 걸리는 충전 시간도 절반으로 단축한다. 에너베이트는 낸트지파워의 기술력과 결합해 차세대 고성능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한다. GWh 용량으로 생산해 전기 스쿠터와 드론, 급속충전저장 시스템 등에 활용을 모색한다. 밥 크루스 에너베이트 최고경영자(CEO)는 "낸트지파워와 훌륭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게 돼 기쁘다"며 "이 파트너십은 우리의 기술과 성능에 대한 파트너의 신뢰를 보여주며 에너베이트의 비즈니스 모델을 입증한다"고 밝혔다. 2005년 설립된 에너베이트는 미국 캘리포니아 어바인에 본사를 둔 배터리 회사다. 실리콘 음극재를 쓴 4세대 '엑스에프씨-에너지(XFC-Energy™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이 희토류 광산 개발에 속도를 낸다. 미국을 비롯한 서방 국가의 지원을 받아 본격적인 생산 확대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미국의 탈중국 공급망 구축의 핵심 국가로 부상한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천연자원환경부는 올 연말까지 동파오 광산에 대한 입찰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미 호주 블랙스톤 미네랄과 베트남 희토류 JSC(VTRE)가 개발 업체로 거론되고 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베트남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희토류를 매장하고 있다. 다만 장기간의 전쟁과 자본 부족으로 제대로 된 생산을 이뤄지지 못했다. 실제로 베트남 희토류 매장량은 2200만t(톤)인 데 반해 연간 희토류 생산량은 지난 2021년 기준 400t에 그쳤다. 국영 광산업체 라브레코는 최소 7년 동안 휴면 상태였던 동파오 광산을 효과적으로 개발하면 베트남이 희토류 생산국 상위권으로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동파오 광산 희토류는 비교적 접근하기 쉬우며 대부분 바스트나에사이트 광석에 집중돼 있다. 여기엔 세륨과 프라세오디뮴, 네오디뮴 같은 란타나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블랙스톤 미네랄
[더구루=김도담 기자] 체코 정부가 경제 회복을 위해 지역 반대 여론에도 불구하고 리튬 채굴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페트르 피알라(Petr Fiala) 체코 총리는 지난 21일(현지시간) 리튬 광산 개발 가능성이 큰 시노벡(Cínovec)을 방문 "체코 정부는 경제 회복을 위해 전략적 원자재인 리튬 채굴 촉진에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체코 북서부에 위치한 시노벡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 리튬이 매장된 지역으로 알려졌다. 체코 에너지 기업 cz에 따르면 이 지역에서 광산 개발이 시작되면 2026년~2028년 생산이 가능하다. 이 지역은 세계에서도 5번쨰로 많은 1.3메가톤(Mt)이 배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피알라 총리는 시노벡 지역 지자체 대표들을 만나, 리튬 채굴과 관련한 논의를 진행했다. 그는"지자체 장들은 역 주민과 전체 지역의 이익을 고려해 개발의 방식과, 규칙, 프로젝트를 꾸려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지자체 대표들의 우려 역시 상당한 수준이다. 이들 가운데 상당수는 프로젝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없고, 채굴로 인해 환경에 훼손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리튬 처리 공장이 건설될 예정인 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