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시중은행들이 설 연휴를 앞두고 중소기업·소상공인을 위한 금융 지원 확대에 나섰다. 최근 비상계엄과 경기부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기업·소상공인 업계에 가뭄 속 단비가 될 전망이다. 1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내달 14일까지 15조1000억원(신규 대출 6조1000억원·만기 연장 9조원) 규모의 중소기업 자금을 지원한다. 최대 1.5%p(포인트) 이내의 금리 우대 혜택도 제공한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전국 17개 지역신용보증재단 등과 협약을 통한 1050억원의 특별 출연을 바탕으로 2조7000억원의 신규 자금도 선제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신한은행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설 자금 15조1000억원(신규 대출 6조1000억원·만기 연장 9조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는 업체당 소요자금 범위 내 10억원까지의 신규 대출 지원과 대출만기시 원금 일부상환 조건없는 만기연장, 분할상환금 납입 유예 등이다. 하나은행도 같은 기간 신규 대출 6조1000억원과 만기 연장 9조원을 더해 총 15조1000억원 규모의 설 특별 자금을 중소기업(개인사업자 포함)에 지원한다. 최대 1.50%p의 금리 우대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배터리업체 이노빅스(Enovix)가 혼합현실(MR) 헤드셋용 실리콘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최근 현장 승인 테스트(SAT)를 완료한 말레이시아 페낭 공장에서 양산에 들어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노빅스는 최근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글로벌 AI(인공지능) 기업과 MR 헤드셋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구체적인 업체명과 공급 물량은 공개되지 않았다. 이노빅스는 이번에 공급하는 배터리가 스마트 안경, 증강 현실 장치 및 기타 MR 분야의 선구적인 제품의 혁신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약 조건에 따라 이노빅스는 올해 중순까지 초도 물량을 출하할 계획이다. 이노빅스는 “MR 헤드셋은 높은 에너지 밀도와 소형 폼 팩터 및 탁월한 성능에 대한 까다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하는 만큼, 자사의 고유한 3D 실리콘 음극 기술에 이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이라고 강조했다. 이노빅스는 올해 EX-1M에 이어 내년 EX-2M을 잇따라 출시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차세대 디바이스를 강화하는 맞춤형 배터리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MR 생태계 확대에 일조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계약한 물량은 말레이시아 페낭에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그룹 산하 기업형벤처캐피털(CVC)인 GS퓨처스가 바이오리액터(생물반응장치) 개발 스타트업 바이오스피어(Biosphere)에 투자했다. 바이오스피어의 비용 효율적인 기술력에 주목한 결정으로 해석된다. 바이오스피어는 10일 로워카본 캐피털과 VXI 캐피털이 주도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880만 달러(약 130억원)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GS퓨처스는 파운더스 펀드, 카페인 캐피털, B37 벤처스 등과 함께 이번 시드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GS퓨처스의 이번 투자는 바이오스피어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현재 바이오 제품 산업은 여전히 값비싼 증기 멸균 원자로에 의존하고 있어 신생 업체들에게 막대한 초기 비용을 요구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바이오스피어의 독점적인 UV(자외선) 지원 설계는 바이오리액터 하드웨어를 단순화해 고가의 복잡한 인프라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동일한 전체 투자로 10배의 생산 능력을 제공한다. 더불어 바이오스피어는 업계의 자본 집약도를 줄임으로써 중요한 화학물질과 첨단 치료제부터 생분해성 포장재와 혁신적인 식품 원료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제품을 현지에서 제조할 수 있도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민연금공단이 영국 단독주택 투자펀드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 영국 단독주택 시장은 최근 몇 년 동안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투자 가치가 높은 곳으로 평가 받는다. 영국 주거 전문기업 롱 하버(Long Harbour)는 10일 국민연금으로부터 3억 파운드(약 5400억원) 규모로 단독주택 투자펀드의 시드 투자를 받았다고 밝혔다. 국민연금공단이 투자한 금액은 레버리지를 포함해 최대 6억 파운드(약 1조800억원)까지 영국 전역의 단독주택에 투자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다. 롱 하버는 펀드 전체 투자 목표액을 16억 파운드(약 2조8800억원)로 설정했다. 잭 스피어먼 롱 하버 전무이사는 이 펀드에 총 8억~12억 파운드(약 1조4400억~2조1580억원)의 약정을 모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안에 펀드를 두 번째로 마감하고 오는 2027년 최종 마감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영국 부동산전문매체 PERE에 따르면 이번 투자는 영국 단독주택에 대한 국민연금의 첫 번째 펀드 투자다. 최근 5년 동안 국민연금이 민간 부동산 펀드에 약정한 금액 중 가장 큰 규모이기도 하다. 국민연금은 부동산 플랫폼 투자 전담팀을 통해 이번 작업을 진행했다. 데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지난해 우수한 경영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BIDV에 투자한 하나은행에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IDV는 지난해 31조 동(약 1조8000억원)의 세전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보다 12.4% 증가한 수치이며 베트남 은행 중 비엣콤뱅크에 이어 두 번째로 큰 규모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02%,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9.09%, 자본적정성비율(CAR)은 8.6%로 각각 집계됐다. 총 자본 규모는 13조6320억 동(약 7840억원)으로 전년 대비 18.4% 증가했으며, 시가총액은 259조 동(약 14조9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4.6% 성장했다. 시가총액은 베트남 주식시장에서 상위 3개 기업 중 하나에 포함되는 수준이다. BIDV 상업은행 부문 총 자산은 270억 동(약 15억원)에 이르렀다. 전년보다 19.4% 성장한 수준이다. 총 미결제 신용 잔액은 20억1000만 동을 돌파해 15.3% 증가했으며, 신용시장 점유율은 13.1%로 확인됐다. BIDV는 지난해 그린 금융 분야에서의 선도적인 역할도 지속적으로 강화했다. 베트남 최대 규모인 5조5000억 동(약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가 싱가포르 해양설비 제조업체 다이나맥(Dyna-Mac)에 대한 잔여지분 강제 매수를 마무리 했다. 이로써 다이나맥은 싱가포르거래소(SGX)에서 상장 폐지됐다. 9일 싱가포르거래소에 따르면 다이나맥은 이날 오전 9시부터 메인보드에서 상장 폐지됐다. 이와 관련해 다이나맥은 “한화오션 SG홀딩스가 자발적으로 진행한 조건 없는 현금 공개매수가 마감되고, 한화의 제안에 따라 인수되지 않은 모든 공개매수 주식에 대한 강제 인수가 완료된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한화는 지난해 9월 다이나맥에 대해 주당 0.60 싱가포르 달러의 자발적 조건부 현금 공개매수를 제안했다. 이후 지난해 10월 최종 제안가를 주당 0.67 싱가포르 달러로 인상했으며 지분 95.15%를 취득하며 다이나맥 경영권을 확보했다. 다이나맥은 한화에 인수된 이후 지난달 16일 사업 검토를 거쳐 임아청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를 해고했다. 다이나맥 이사회는 사업 전략 방향과 운영의 개선점을 파악하기 위해 임 회장을 해임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부터 4년 동안 다이나맥을 이끌었던 임 회장은 파산 직전까지 몰렸던 다이나맥을 위기에서 구해내며 회생을 이끌
[더구루=정등용 기자] 영국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제조업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Vertical Aerospace)가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 기업 모노리스(Monolith)와 기술 협력에 나섰다. 이를 통해 두 번째 풀스케일 eVTOL 시제기인 'VX4'의 시장 출시를 가속화 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모노리스와 기술 협력을 추진한다. 모노리스는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의 eVTOL 테스트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최적화 해 성능을 개선하고 시장 출시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도움을 줄 예정이다. eVTOL의 비행·지상 테스트는 그 과정이 매우 복잡한데다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엔지니어는 수만 개의 파라미터와 작동 조건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검증하는 데 수백 시간을 들여야 한다. 버티컬 에어로스페이스는 모노리스를 통해 새로운 설계 인사이트를 얻고 더 짧은 시간에 더 효율적인 테스트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VX4 개발을 가속화 할 예정이다. 첫 번째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펠러와 전기 모터 구조 및 성능 요구사항의 지상 테스트를 위해 VX4 지지 철탑 구조를 테스트하고 시뮬레이션 하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자산운용 베트남 펀드가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의 유상증자에 참여한다. 주식 인수 규모는 196만5851주에 이른다. BIDV 이사회는 8일(현지시간) 사모 발행을 통해 1억2380만 주를 발행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 주식은 지난해 3분기 기준 은행 장부가인 주당 1만9300동의 2배가 넘는 주당 3만8800동에 판매된다. 이번 주식 발행은 BIDV 발행 주식의 1.8%에 해당한다. 삼성 베트남 증권 마스터 투자신탁(SSMIT)은 196만5851주를 매입한다. 이 밖에 드래곤캐피탈의 대표 펀드인 VEIL(베트남기업투자) 펀드가 5897만5515주, 하노이 인베스트먼트 홀딩스가 1572만6804주, DC 개발 시장 전략 유한회사가 851만8686주, 베트남 국가자본투자공사(SCIC)가 3865만9793주를 각각 인수한다. 주식 발행은 올해 1분기로 예정돼 있으며 주식에 대한 보호예수 기간은 1년이다. 이번 주식 발행은 지난 2023년 말 기준 정관 자본의 2.89%에 해당하는 약 1억6500만 주를 발행하려는 BIDV 계획의 일환이다. 첫 번째 단계는 올해 1분기에 이뤄질 예정이며 주식 매각은 시장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업체 노스볼트(Northvolt)가 배터리 생산 재개와 관련해 주주들의 동의를 얻는 데 성공했다. 지난해 파산보호(챕터 11) 신청 이후 경영 정상화에 속도를 내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노스볼트는 8일(현지시간) 주주 대다수가 스웨덴에서 생산을 계속하는 데 찬성 투표를 했다고 밝혔다. 노스볼트 대변인은 “이번 투표는 주주들이 노스볼트 경영진의 행동 방침에 대해 폭넓은 지지를 보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고 설명했다. 앞서 블룸버그 통신은 노스볼트 이사회가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주요 주주들에게 배터리 생산을 계속할 수 있도록 요청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노스볼트는 지난해 9월 스웨덴 전체 직원 4분의1에 해당하는 1600명을 해고하고, 지난달 미국에서 파산보호를 신청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약 53억 달러(약 7조7400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다. 노스볼트는 올해 1분기 중 파산 절차를 마무리 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많은 현금이 투입돼야 하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해 노스볼트 대변인은 “파산 절차는 독립 기업으로서 미래를 설계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동안 채권
[더구루=정등용 기자] 싱가포르 무선충선 솔루션 스타트업 엑스너지(Xnergy)가 현대자동차그룹에 이어 우리금융그룹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엑스너지는 8일 우리금융그룹 벤처캐피털(VC) 계열사인 우리벤처파트너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우리벤처파트너스는 엑스너지의 획기적인 기술이 새로운 에너지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주도할 것이라는 판단 아래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앨런 앙 우리벤처파트너스 이사는 “우리는 전세계 배터리, 모빌리티, 로봇 공학 스타트업에 투자해왔다”면서 “새로운 에너지 산업을 위한 무선 충전 분야의 글로벌 리더가 되고자 하는 엑스너지의 야망을 지원하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우리벤처파트너스에 앞서 현대차그룹 벤처캐피탈 부문을 담당하는 현대 크래들은 지난해 10월 자율주행 엔지니어링 기업 아큐론(Accuron)과 파트너십을 맺고 엑스너지에 대한 투자를 진행한 바 있다. 지난 2018년 싱가포르에서 설립된 엑스너지는 로봇·모빌리티용 무선 충전 솔루션을 개발하는 업체다. 특히 자율 이동 로봇 충전 시장과 중국에서 성장하고 있는 전기차 충전 부문에서 굳건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엑스너지 제품은 유럽, 미국, 아시아
[더구루=정등용 기자] 버크셔 해서웨이의 주주이자 영국계 행동주의 펀드인 튤립셰어(Tulipshare)가 워런 버핏에 인공지능(AI) 감독위원회 구성을 요구하고 나섰다. AI의 부적절한 사용이 데이터 유출 같은 심각한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유료기사코드]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튤립셰어는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례회의에 AI 감독위원회 설립을 위한 주주 결의안을 제출했다. 튤립셰어는 결의안을 통해 AI의 부적절한 사용이 데이터 유출, 사생활 침해, 비즈니스 중단, 인권 침해 같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버핏이 공유한 AI 악용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버핏은 최근 자신과 닮은 외모에 비슷한 목소리를 내는 이미지를 공개하면서 “결코 내가 만든 것이 아니다”라고 말하며 투자자들의 주의를 당부한 바 있다. 지난해 5월에는 버크셔 해서웨이 연례주주총회에 참석해 주주들에게 “AI에 대해 아무것도 모른다”고 말하면서도 “선과 악의 잠재력이 엄청나다”며 AI의 중요성을 부인하지 않았다. 이와 함께 튤립셰어는 AI 감독위원회가 설치되면 버크셔 해서웨이가 보유한 기업들이 AI 거버넌스의 리더가 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버크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화의 미래 혁신기술 분야를 담당하는 한화임팩트가 애그테크(AgTech) 스타트업 이나리 애그리컬처(Inari Agriculture)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벌써 네번째 투자다. 지난해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한화임팩트 신임 대표에 부임한 이후 신사업 발굴과 투자에 더욱 힘을 쏟는 모양새다. 이나리 애그리컬처는 8일 21억7000만 달러(약 3조1560억원)의 기업가치로 1억4400만 달러(약 2100억원)의 신규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기업가치는 지난해 1월 16억5000만 달러(약 2조4000억원)보다 약 32% 증가한 수준이다. 이로써 이나리 애그리컬처는 총 7억2000만 달러(약 1조470억원) 이상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이번 신규 자금 조달에는 아부다비투자청(ADIA)의 전액 출자 자회사가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으며 한화임팩트와 NGS 슈퍼, 미시간주 은퇴 시스템, 플래그십 파이오니어링 등이 기존 투자자로 참여했다. 한화임팩트는 지난 2021년 이나리 애그리컬처에 첫 투자를 진행했다. 당시 약 1188억원을 투입해 이나리 애그리컬처 지분 8.56%를 인수했으며, 지분 투자 대가로 경영 참여 권한도 얻었다. 유문기 한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최대 D램 제조사 창신메모리테크놀로지스(CXMT, 중국명 长鑫存储技术)가 D램 가격 표준이 되는 DDR4형 메모리 가격을 인상할 것으로 보인다. CXMT는 지난해 DDR4 생산량을 대폭 늘리는 한편 가격 인하까지 동반하며 D램 시장에서 빠르게 존재감을 키웠지만 불과 1년이 안된 사이 가격 인상을 고민하고 있는 것이다. 최근 몇 년간 메모리 가격이 하향 안정화된 가운데 CXMT의 가격 상승이 반도체 업계에 어떤 영향을 또 불러올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일 대만 최대 IT전문매체 디지타임스(DIGITIMES)에 따르면 CXMT는 범용 메모리인 DDR4의 수요와 공급 안정화 추세가 지나면 가격 인상에 나설 전망이다. CXMT은 그동안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DDR4 가격 덤핑을 해왔다. 자국산 D램을 우대하는 보조금 정책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가격에 중국 디바이스 제조자들에게 D램 공급을 늘려왔다. <본보 2025년 2월 19일 참고 D램 국제가격 하락세 가속...中 자국산 생산·사용 확대가 주요인> CXMT 외 중국 대표 메모리 제조업체인 푸젠진화(福建晉華·JHICC)도 DDR4을 50% 할인된 가격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