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물산이 미쓰비시중공업(MHI)에 수소 연료 기반 가스터빈을 발주했다. 작년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규모 석유화학단지 건설 사업 '아미랄 프로젝트' 일환으로, 현지 탈탄소 인프라 구축을 돕는다. 29일 미쓰비시중공업에 따르면 산하 전력 솔루션 브랜드 '미쓰비시 파워'는 최근 삼성물산 사우디아라비아법인으로부터 수소 연료 기반 복합사이클(CCGT) 가스터빈 'M501 JAC' 주문을 확보했다. 정확한 계약 물량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다. 가스터빈은 삼성물산이 설계·조달·시공(EPC)을 수행하고 있는 '아미랄 열병합 독립 증기 및 발전소(ISPP)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이 프로젝트는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 국영전력회사(TAQA)와 일본 최대 발전 회사 '제라(JERA)'가 각각 51%와 49%의 지분으로 컨소시엄을 꾸려 사우디 동부 주베일에 열병합 발전소를 짓는 사업이다. 발전소는 사우디 국영 기업 아람코와 프랑스 토탈에너지의 합작법인인 사토프(SATORP)가 진행 중인 사우디 아미랄 석유화학 플랜트 건설 프로젝트에 전력을 지원한다. 아미랄 플랜트는 완공시 사우디 최대 규모 석유화학단지가 될 예정이다. 1만7200제곱미터(㎡)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석유·가스 회사 '멕시코퍼시픽'과 손을 잡았다. 안정적인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망을 구축, LNG 트레이딩 사업 기반을 강화해 향후 증가할 수요에 대응한다. 멕시코퍼시픽은 지난 28일(현지시간) 포스코인터내셔널과 LNG 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향후 20년간 연간 70만 톤(t)의 LNG를 구매할 예정이다. LNG 70만t은 작년 국내 LNG 소비량(3710만t)의 50분의 1 수준으로 규모가 크지는 않다. 다만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북미산 LNG를 들여온다는 데 의미가 있다. 수출항에서 계약 물품을 인도·인수하는 선적지 거래 조건인 본선인도조건(FOB)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양사는 초기 상업적 파트너십을 확장하기 위해 추가 협력 방안도 검토한다. 정확한 수입 개시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다. 멕시코퍼시픽이 건설을 추진중인 1500만t 규모 LNG 터미널 '사과로 에네르지아'와 시에라 파드레 파이프라인 최종투자결정(FID)이 완료된 후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멕시코퍼시픽은 시에라 파드레 파이프라인을 통해 멕시코 소노라주 푸에르토 리베르타드에 위치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이집트 투자무역부 신임 장관과 회동했다. 이집트 정부 고위관계자와 스킨십을 확대하고 당국과 공고한 파트너십을 구축, 현지 사업에 드라이브를 건다. 28일 이집트 투자무역부에 따르면 정준수 삼성전자 이집트 생산법인(SEEG-P) 법인장(상무)은 최근 하산 엘-카팁 투자무역부 장관을 예방했다. 호삼 헤이바 이집트 투자청(GAFI) 청장, 아마니 알 와셀 협정·대외 무역 부문 책임자를 비롯해 정부와 삼성전자 관계자들도 동석했다. 카팁 장관과 정 법인장은 이 자리에서 삼성전자의 이집트 사업 현황을 폭넓게 살폈다. 이집트 시장에 대한 삼성전자의 투자·확장 계획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카팁 장관은 "정부는 이집트 시장에서 활동하는 현지 및 외국인 투자에 대해 지원해 대내외적으로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일 것"이라며 "전자제품은 국내 시장의 수요를 충족하고 해외 시장으로 수출하는 데 기여하는 국가 경제에서 가장 중요한 생산 부문 중 하나"라고 밝혔다. 정 법인장은 "삼성전자 이집트 공장은 TV 생산량의 85%를 55개국 이상으로 수출하며 2015년부터 지금까지 엔지니어링 부문 수출 1위를 차지하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이집트를 중동, 유럽,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대만에서 온라인상 긍정 콘텐츠를 확산하는 '소셜미디어, 미소로 채우다(Optimism your feed)' 캠페인을 가속화한다. 디지털 시대에 낙관주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소비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기업의 선한 영향력을 제고한다. 28일 LG전자에 따르면 대만법인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미소로 채우다' 캠페인 일환으로 포럼을 개최했다. 약 100명이 참석한 이날 행사에는 저명한 심리학자와 유튜버 등이 소셜미디어 장단점과 이를 긍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 등을 주제로 강연과 질의응답(Q&A) 세션을 진행했다. 심리학자인 덩 후이웬 박사와 영화 평론가인 유튜버 '레슨즈 프롬 무비스(Lessons from Movies)'는 소셜미디어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문적인 통찰력과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했다. 이를 기반으로 소셜미디어 사용과 관련된 보이지 않는 압박감과 불안을 해소하고, 낙관주의를 유지할 수 이는 방법 등을 제안했다. 후이웬 박사는 특히 알고리즘을 통해 소셜미디어를 긍정 콘텐츠로 채우는 것을 목표로 하는 LG전자의 '소셜미디어, 미소로 채우다' 캠페인이 실제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패소한 미국 TV 전파 송수신 기술 특허 분쟁에 대해 항소를 제기한 것으로 뒤늦게 확인됐다. 특허 로열티에 따른 비용 증가로 차세대 4K UHD 방송 규격이 물거품이 될 위기에 놓이자 일각에서 LG전자 지원 사격에 나선 가운데 법적 공방의 판세를 뒤집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지난 5월 연방순회항소법원(CAFC)에 '콘스텔레이션 디자인(Constellation Designs)'과의 ATSC 3.0 특허 침해 소송에 대한 항소장을 제출했다. 이에 펄TV는 최근 법원에 변론서를 내고 LG전자를 지지한다는 뜻을 전달했다. 펄TV는 미 대형 방송사, 제조 업체 등으로 구성된 협회다. 펄TV가 LG전자 '편'을 들고 나선 것은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 소니, 하이센스, TCL 등 다른 TV 제조사들도 '넥스트젠(NEXTGEN) TV'라고 불리는 새로운 방송 전송 규격 'ATSC 3.0' 지원 중단을 선언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주요 기업의 도움 없이는 새로운 방송 규격 생태계를 구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방송국에서 4K UHD 콘텐츠를 만들어도 이를 전송받아 송출할 기기가 없는 것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퓨리오사AI'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AI 가속기 '레니게이드(RNGD)’ 알리기에 나섰다. 우수한 칩 성능을 입증하며 내년 출시 준비에 속도를 낸다. 28일 퓨리오사AI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5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열린 반도체 업계 컨퍼런스 '핫칩스(Hot Chips) 2024'에 참여했다. 백준호 퓨리오사AI 대표가 직접 2세대 레니게이드 성능 벤치마크를 발표하고 라이브 데모를 선보였다. 레니게이드는 퓨리오사AI가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기반으로 설계한 2세대 AI 가속기다. 올 4월 미국 산타클라라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TSMC 2024 테크놀로지 심포지엄'에서 처음으로 실물을 공개한 바 있다. 지난달 일부 고객을 대상으로 조기 샘플링을 개시하고 첫 번째 비공개 데모를 실시했다. 오는 2025년 초 공식적으로 시장에 내놓는다는 계획이다. 추론용 AI 반도체 최초로 4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3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TSMC의 5나노미터(nm) 공정으로 생산된다. 엔비디아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에 쓰이는 TSMC의 첨단 후공정 기술 '칩 온 웨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가 미국 인공지능(AI) 기반 플랫폼 회사 '오나인솔루션즈(o9 Solutions)'와 손을 잡았다. 업무 전반에 혁신 기술을 접목,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오나인솔루션즈의 플랫폼을 도입한다. 포스코는 오나인솔루션즈와의 협력을 토대로 공급 마스터 플래닝(supply master planning) 기능을 디지털 방식으로 혁신한다. 오나인솔루션즈의 플랫폼은 기업의 '디지털 브레인(Digital Brain)' 역할을 수행한다. 지능형 알고리즘을 활용해 비즈니스의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생성, 기업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디지털 통합 비즈니스 계획 프로세스에 대한 비전은 물론, 사용편의성이 뛰어난 인터페이스도 갖추고 있다. 포스코는 플랫폼을 활용해 발생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를 실행·평가한 뒤 전체 기능 계획을 단일 플랫폼에 연결하여 통합적인(end-to-end) 의사결정을 내린다. 디지털 방식으로 비즈니스를 전환해 사업 영업·운영 계획 역량을 강화하고, 고객 경험·만족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는 최근 비즈니스의 디지털 혁신에 드라이브를 걸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의 북미이노베이션센터인 'LG 노바(LG NOVA)'가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에 신규 지사를 오픈했다. 동부에 새로운 거점을 구축, 서부부터 동부까지 미 전역에서 미래 성장 동력을 발굴한다. LG 노바는 26일(현지시간) 웨스트버지니아주 모건타운에 사무실을 개소했다고 발표했다. 웨스트버지니아주와 협력해 조성한 펀드를 전략적으로 운용하고, 동부에서 헬스케어·클린테크·인공지능(AI)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전망이다. 헌팅턴에도 추가 사무실을 오픈할 예정이다. 웨스트버지니아주 내 2개 사무실을 합쳐 275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 현재 두 사무실을 책임질 지역 운영 책임자를 모집 중이다. 몇 달 내 엔지니어링과 기술 직책을 포함한 여러 직군에 대한 채용도 본격화할 계획이다. LG 노바는 지난 1월 웨스트버지니아주에 신규 투자를 단행한다고 발표했다. 웨스트버지니아주와 임팩트 펀드인 ‘노바 웨스트버지니아 인베스트먼트 펀드(NOVA West Virginia Investment Fund)’를 조성했다. 향후 5년간 7억 달러 규모를 투자한다. <본보 2024년 1월 4일 참고 LG전자, 美 웨스트버지니아에
[더구루=정예린 기자] 이강명 성일하이텍 대표가 스페인 나바라주 주지사와 회동했다. 당국과의 안정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삼성물산과 공동으로 진행중인 현지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속도를 낸다. 27일 나바라주에 따르면 이 대표는 최근 나바라주를 방문, 마리아 치비테(María Chivite) 주지사와 만나 '비사이클(Beecycle)' 배터리 재활용 공장 설립 현황을 보고하고, 향후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나바라주 산업부 장관 등 정부 고위관계자는 물론 재활용 공장 합작 파트너사인 삼성물산과 현지 배터리 재활용 기업 비플래닛팩토리(BeePlanet Factory) 관계자도 동석했다. 비사이클은 삼성물산, 성일하이텍, 비플래닛팩토리 등 한국과 스페인 기업이 컨소시엄을 만들어 설립한 합작사다. 나바라주 내 3만1000㎡ 규모 부지에 신공장을 짓는다. 1850만 유로를 투자해 연간 1만 톤(t) 규모 블랙매스(폐배터리를 재활용해 만든 금속 물질) 처리 용량을 갖춘다. 60~70명 규모 직원을 고용한다. 당초 내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오는 2026년 1분기로 가동 목표 시점을 미뤘다. 공장 건설 프로젝트는 성일하이텍과 비플래닛팩토리가 주
[더구루=정예린 기자] 샤오미가 자체 개발하는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가 내년 상반기 베일을 벗을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졌다. 7년 만에 AP 시장에 다시 뛰어든 가운데 성공적으로 반도체 자립을 이룰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IT 분야 팁스터 ‘요게시 브라(Yogesh Brar)’에 따르면 전날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샤오미가 만든 스마트폰용 시스템온칩(SoC)이 "내년 상반기에 공개될 것"이라고 올렸다. 샤오미는 칩셋 자체 개발을 위해 중국 팹리스(반도체 설계업체) 'UNISOC'와 손을 잡았다. UNISOC의 5G 모뎀을 장착한다. 생산은 TSMC의 2세대 4나노미터(N4P) 공정으로 이뤄진다. 퀄컴 플래그십 칩인 '스냅드래곤8 젠1(1세대)' 수준의 성능을 제공할 것이라는 게 요게시 브라의 관측이다. 스냅드래곤8 젠1은 지난 2021년과 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 브랜드의 하이엔드급 기기에 탑재된 SoC다. 샤오미가 첨단 공정을 기반으로 하는 자체 칩 생산에 성공할 경우 칩 공급망에도 변화가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반도체 공급사였던 퀄컴, 미디어텍, 삼성전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을 전망이다. 샤오미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김동철 한국전력 사장이 원자력 발전의 '현재'와 '미래' 알리기에 나선다. 산학계 전문가들과 머리를 맞대고 산업 현황을 살피고 성장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세계원자력협회(WNA)에 따르면 김동철 사장은 내달 4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영국 런던 파크 플라자 웨스트민스터 브릿지에서 열리는 '세계원자력협회 심포지엄'에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다. 한전은 전시회 오프닝 다과회 후원사로 이름을 올렸다. 김 사장이 참여하는 고위급 패널 토론은 행사 이튿날인 5일 오후 1시45분부터 오후 3시까지 열린다. '새로운 영역 개척-시간, 예산 및 규모에 맞춰 제공'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의견을 교환한다.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발간하는 '월드 뉴클리어 뉴스(World Nuclear News)'의 클레어 메이든 컨설턴트 편집자가 토론을 주재한다. 김 사장 외 △베르나르드 폰타나 프라마톰(Framatome) 최고경영자(CEO) △아멧 토크피나르 베히텔파워 수석 부사장 겸 핵 전력 사업부 총괄 관리자 △스테판 오바르비에 아시스템(Assystem) 부사장 △정밍광 중국 국가전력투자집단공사(SPIC) 수석과학자 △에스라 송구르 악쿠유 원
[더구루=정예린 기자] GS칼텍스가 쉐브론이 호주에서 추진하는 해상 이산화탄소 저장소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거세지고 있는 탈탄소화 움직임에 발 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 26일 GS칼텍스에 따르면 회사는 쉐브론과 호주 최대 석유개발업체 '우드사이드'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 지분 5%를 양도 받는다. 쉐브론이 가진 지분 70% 중 5%를 GS칼텍스에 넘기고, 우드사이드는 30%를 보유한다. GS칼텍스는 이후 양도 승인 등 기타 절차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쉐브론에 직접적으로 지분 가치 만큼 금전적인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진행될 탐사 활동에 참여하는 대신 지분에 대한 권리를 얻는다. 프로젝트 초기 단계인 만큼 GS칼텍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수행할지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추후 양사 간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쉐브론과 우드사이드는 서부 호주 해상 북부 카나번 분지에 위치한 G-18-광구를 활용해 CCS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G-18-광구는 쉐브론이 운영하는 휘트스톤 천연가스 시설이 있는 서호주 온슬로 인근에 위치한다. 면적은 약 8467제곱킬로미터(k
[더구루=홍성일 기자] 수명이 다한 폐 태양광 패널을 분쇄하지 않고도 고순도의 은을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새로운 추출 기술은 태양광 발전 폐기물 문제를 해결하면서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안정시킬 수 있는 '21세기 연금술'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매쿼리 대학교(Macquarie University) 연구팀은 폐 태양광 패널에서 은을 정밀하게 추출할 수 있는 '제트 전기화학 은 추출(Jet Electrochemical Silver Extraction, JESE)'이라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광물 자원 기업 리튬 유니버스(Lithium Universe)와 상용화를 위한 파트너십도 체결했다. 매쿼리 대학교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약산성 용액을 제트기류처럼 빠르게 분사해 수 초 내에 은만 선택적으로 녹여내는 방식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JESE 기술은 태양광 패널의 다른 구성 요소는 그대로 둔 채 은 전극에만 직접 작용해 분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기존에는 폐 태양광 패널 전체를 분쇄한 뒤 화학 처리를 해 자원을 회수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이에 은 외에 실리콘, 유리 등을 재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출하량이 두 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과 중국 빅테크의 시장 참가가 스마트 안경 시장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올해 중국의 스마트 안경 출하량이 전년 대비 121% 증가한 290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올해 1분기 출하량은 49만4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116% 급증했다.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이 빠르게 성장한 원인으로는 AI 기능의 발전과 경쟁 심화로 평균 판매 가격이 1000위안(약 19만5000원)대로 낮아졌다는 점이 뽑히고 있다. 실제로 올해 1분기 출하량의 78%를 AI 탑재 스마트 안경이 차지했다. AI는 스마트 안경은 실시간 번역, 건강 관리, 사물 인식,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또한 샤오미와 화웨이가 이커머스를 중심으로 스마트 안경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알리바바와 바이트댄스 등 빅테크들의 시장 참여가 이어지고 있다. 빅테크 외에도 로키드, 엑스리얼 등 스마트안경 전문 기업들도 기술력을 앞세워 경쟁을 벌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