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영국 반도체 설계기업 암(Arm)이 설립 40주년을 맞아 지금까지의 성과와 향후 계획을 공개했다. Arm은 향후 데이터센터와 인공지능(AI), 엣지 컴퓨팅 분야에 주목, 시장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Arm은 최근 설립 40년만에 2500억번째 칩을 출하했다. ARM은 "1100억명이 살아온 동안 2500억개 이상의 Arm 반도체가 출하됐다"며 "이는 전세계에 존재했던 팔(arm)보다 Arm이 더 많이 존재한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Arm은 1978년 크리스 커리(Chris Curry)와 헤르마 하우저(Hermann Hauser)가 케임브리지에서 설립한 에이콘 컴퓨터스(Acorn Computers, 이하 에이콘)에서 시작됐다. 에이콘은 모든 교실에 컴퓨터를 배치하겠다는 영국 정부의 계획에 따라 BBC 마이크로(BBC Micro)를 개발·납품하면서 빠르게 회사규모를 확장했다. 에이콘은 BBC 마이크로를 개발하며 자체 프로세서도 개발하기로 결정했다. 에이콘의 운명을 바꾼 반도체는 1985년 출시됐다. 소피 월슨(Sophie Wilson)과 스티브 퍼버(Steve Furber)가 ARM1이라는 반도체를 개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세계 최초의 그리드 스케일(전력망 사용 배터리)용 나트륨 이온 배터리 '표준'을 만들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2차전지 전문기업 하이스타(Highstar Battery Manufacturing)의 나트륨 이온 배터리 자회사 '하이타르 NA(High Tar Na)'가 중국 최초로 그리드 스케일용 나트륨 이온 배터리 기술 인증을 받았다. 해당 인증은 베이징 종합인증센터(Beijing General Certification Center, CGC)에서 GB/T 44265-2024 표준에 따라 발급했다. GB/T 44265-2024는 지난해 8월 발표된 최초의 그리드 스케일용 나트륨 이온 배터리 표준으로 올해 3월부터 시행됐다. 표준에서는 그리드 스케일용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설계와 제조, 테스트, 검사, 운영, 유지 보수 등에 대한 기술 요구사항과 테스트 방법이 규정돼 있다. 중국 국가시장규제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 등에 따르면 GB/T 44265-2024 표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영상 5도의 기온에서는 83% 이상의 에너지 효율을 보여줘야 하며, 최대 영상 70도에서도 정상적으로 작동해야한다. 또한 배터리 수명에 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의 대형 전기 화물트럭 '세미(Semi)'의 본격 양산이 임박했다. 본격적인 양산을 앞둔 테슬라는 생산시설 구축 마무리와 함께 관련 인력 구인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28일(현지시간) 세미 팩토리 건설 현장의 모습을 담은 영상을 공개하고 향후 계획을 공유했다. 테슬라는 지난 2023년 1월 세미 양산을 위해 네바다 기가팩토리를 확장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 초 기초 공사를 시작했다. 공개된 영상에는 세미 팩토리의 기초공사와 구조물 설치, 바닥재 시공 모습 등이 담겼다. 댄 프리스틀리(Dan Priestley) 세미 프로그램 총괄은 "향후 수 개월간 진행될 장비 설치 작업 등이 마무리되면 연산 5만대 규모의 공장이 완성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첫 번째 양산은 올해 말 시작될 예정"이라며 "2026년에는 일년 내내 생산이 진행될 것"이라고 전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세미의 새로운 로고를 공개하기도 했다. 세미의 본격적인 양산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테슬라도 관련 인재 영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테슬라는 세미와 관련해 83개 구인 공고를 발표했다. 채용 범위는 미국 전역이며 세미 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자율주행 기술 스타트업 오로라 이노베이션(Aurora Innovation, 이하 오로라)이 텍사스에서 무인 트럭을 상용화한다. 이번에 투입되는 무인 트럭은 미국 공공도로에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자율주행 트럭이 배치된 최초의 사례다. 미국 상용차 업계에서는 텍사스를 시작으로 북미 전역으로 자율주행 무인 트럭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미국 인터넷 매체 악시오스(axios)에 따르면 오로라는 이달 중 최종 안전 보고서를 제출한 이후 댈러스와 휴스턴을 잇는 I-45 고속도로에 무인 트럭 1대를 투입한다. 해당 무인 트럭에는 자율주행 기술인 '오로라 드라이버'가 탑재된다. 총 320km 구간을 달리는 이 트럭은 사람의 개입이 전혀 없는 완전 자율주행으로 운행된다. 오로라는 우선 무인 트럭 1대를 운영하며, 향후 차량 대수를 확대할 계획이다. 오로라가 무인트럭 상용화에 나서면서 다른 기업도 상용화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현재 미국 육상 물류업계는 높아지는 비용, 운전 인력 부족 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오는 2050년까지 화물 운송량을 50% 이상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상황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에 이어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이하 다르파)이 메릴랜드주에 양자컴퓨팅 시설을 구축한다. 주정부의 적극적 지원과 투자를 토대로 메릴랜드주가 글로벌 양자 기술 메카로 부상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웨스 무어(Wes Moore) 메릴랜드 주지사는 28일(현지시간) 메릴랜드대학교(UMD)와 다르파가 캐피탈 퀀텀 벤치마킹 허브(Capital Quantum Benchmarking Hub)를 설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르파에 따르면 캐피탈 퀀텀 벤치마킹 허브는 UMD 내 디스커버리 구역(Discovery District)에 위치하며, 세계 최대 규모 양자 컴퓨팅 테스트 시설이 구축된다. 다르파는 해당 시설을 활용해 퀀텀 벤치마크 이니셔티브(Quantum Benchmarking Initiative, QBI)를 진행한다. QBI는 다르파가 진행하는 양자컴퓨팅 기술 검증 이니셔티브다. 다르파는 QBI를 통해 어떤 양자컴퓨터 기술이 가장 빠르게 유틸리티 스케일(Utility Scale, 양자 유용성 단계)을 달성할 수 있을지 검증한다. 양자 유용성 단계는 계산 가치가 비용을 초과하는 단계를 말한다. 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신규 풍력발전 전력 구매 계약을 맺었다. MS는 올해 내로 운영하는 모든 데이터센터의 RE100(100% 재생에너지로 운영)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MS는 28일(현지시간) 클리어웨이와 335메가와트(MW) 규모 장기 전력 구매 계약(PPA)를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클리어웨이는 웨스트버지니아주 그랜트 카운티에 위치한 마운트 스톰 풍력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 전부를 MS에 공급한다. MS는 이번에 확보한 전력을 버지니아주 북부 등에 위치한 데이터센터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MS는 신규 에너지 공급 계약을 바탕으로 올해 중 모든 데이터센터를 100% 재생에너지로 가동한다. MS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넘어 탄소를 흡수하는 '탄소 네거티브'를 달성하고, 2050년에는 회사 설립 이후 배출한 모든 탄소를 제거하겠다는 목표다. 클리어웨이 관계자는 "MS와 함께 마운트 스톰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돼 기대가 크다"며 "마운트 스톰 프로젝트는 MS의 지속 가능성·탈탄소화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KT의 위성사업 자회사인 케이티샛(KT SAT) 경영진이 한국을 찾은 적도기니의 부통령과 회동했다. 케이티샛은 이번 회동으로 적도기니 국가 위성 프로젝트와 통신 인프라 개선 사업 참여를 모색했다. 르완다 사업 실패로 주춤한 KT의 아프리카 진출이 다시 탄력을 받게 될지 주목된다. 28일 적도기니 정부에 따르면 테오도로 응구에마 오비앙 망그(Teodoro Nguema Obiang Mangue) 적도기니 부통령은 최근 서영수 케이티샛 대표와 만났다. 이날 회담에는 케이티샛 경영진과 함께 적도기니 교통부, 국방부, 공공사업부 등 주요 부처 수장이 참석했다. 케이티샛은 회담에서 적도기니 국가 위성 프로젝트 개발과 지상 통신 인프라 개선 사업 등에 협력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케이티샛은 모회사인 KT가 접경국인 가봉에 초고속통신망과 7개지역 운영센터를 구축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테오도르 응구에마 부통령은 케이티샛의 제안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했다. 특히 케이티샛의 제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관계자의 적도기니 방문을 제안하기도 했다. 또한 프로젝트 진행 시 필요한 자금 조달 창구 마련에 대해서도 강조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차세대 추론모델 'R2'의 일부 정보가 공개됐다. 업계는 공개된 정보가 사실일 경우 글로벌 AI 시장에 '두번째 쇼크'를 줄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중국 온라인 커뮤니티 지우얀공서(韭研公社)에 공개된 보고서에 따르면 딥시크 R2의 토큰당 단가는 오픈AI GPT-4 터보에 비해 2.7%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GPT-4 터보의 입력 토큰 100만 개당 비용은 10달러, 출력 토큰 100만 개당 비용은 30달러다. 지우얀공서에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R2는 딥시크가 독자 개발한 하이브리드 MoE(Mixture of Experts) 3.0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하며, 매개변수(파라미터)는 1조2000억개다. 이전 모델인 R1의 2배에 달하는 수치다. 파라미터가 많아지면 AI가 명령에 대해 더 정확한 반응을 내놓다. MoE의 경우 AI모델이 가지고 있는 매개변수 중 필요한 부분만 활성화해 연산 성능을 높일 수 있는 기능이다. 또한 딥시크 R2는 화웨이의 자체 AI칩인 어센드(Ascend) 910B로 구성된 AI클러스터에서 82%의 활성도를 달성했다. 82%
[더구루=홍성일 기자]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미국 최초의 양자 컴퓨팅·네트워킹 허브를 설립한다. 아이온큐는 새롭게 만들어지는 허브를 기반으로 양자컴퓨팅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아이온큐는 테네시주 채터누가 지역 에너지·통신기업 EPB(EPB of Chattanooga)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아이온큐와 EPB는 파트너십에 따라 2200만 달러(약 320억원)를 투자, 채터누가 지역에 'EPB 퀀텀센터(EPB Quantum Center)'를 공동 설립하기로 했다. 아이온큐는 EPB 퀀텀센터가 미국 최초의 양자 컴퓨팅·네트워킹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EPB 퀀텀센터에는 아이온큐의 플래그십 양자컴퓨터 '포르테 엔터프라이즈(Forte Enterprise)'가 설치된다. 포르테 엔터프라이즈는 포르테(Forte) 양자컴퓨터와 하이브리드 컴퓨팅 시스템을 통합해 제작된 데이터센터용 양자컴퓨팅 시스템이다. 포르테 엔터프라이즈는 36 알고리즘 큐비트(#AQ) 성능을 갖춰 아이온큐 양자컴퓨터 중 가장 뛰어난 성능을 보여준다. 포르테 엔터프라이즈는 현재 워싱턴 DC와 시애틀, 스위스 바젤에 설치돼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크래프톤이 인도를 비롯한 글로벌 게임시장에서 투자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크래프톤의 연이은 투자에 대해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새로운 지식재산권(IP) 확보를 위한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크래프톤이 지원하는 블루 오션 게임즈(Blue Ocean Games)가 30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인디게임 투자 펀드를 출시했다. 블루 오션 게임즈는 향후 3년간 100곳 이상의 인디 게임 개발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블루 오션 게임즈는 2021년부터 2023년까지 크래프톤 투자 책임자로 근무했던 이용섭 전 실장이 창립했다. 이용섭 전 실장은 매니징 파트너로 투자를 진두진휘한다. 크래프톤은 해당 펀드의 유일한 투자자로 알려졌다. 블루 오션 게임즈는 전통적인 투자 기준에서 벗어나 인디게임 생태계에 투자한다. 이를통해 기존에는 이용자에게 도달하기 힘들었던 콘셉트의 게임도, 시장에 출시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목표다. 크래프톤은 펀드 출자 외에도 자체 인큐베이팅 프로그램도 가동하고 있다. 크래프톤은 최근 인도 게이밍 인큐베이터 2기 기업 6곳을 발표했다. 크래프톤은 선정된 인디 게임사에 전문가 멘토링과 지원금, 개발 인프라 등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시장이 보안 수요 증가와 정부 지원 정책으로 급성장하고 있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만큼 한국 CCTV 기업도 차별화를 통한 기회 창출을 모색해야한다는 분석이다. 27일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CCTV 시장은 연평균 16.9%씩 성장해 2029년 130억8000만 달러(약 18조787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인도 CCTV 시장 성장은 보안 의식 향상과 급격한 도시화, 기술 발전 등이 주도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와 디지털 치안 등 정부 정책도 시장 성장을 이끌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 CCTV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글로벌 기업과 현지 기업간의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특히 저가 제품 시장은 중국의 하이크비전(Hikvision)과 다후아(Dahua) 등이 지배하고 있다. 하지만 보안 우려로 중국 외 국가에서 제조한 제품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은 국내기업도 적극적으로 인도 CCTV 시장을 공략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코트라 뭄바이무역관은 "중국·인도 기업과의 저가 경쟁보다는 인공지능(AI) 기술 등을 도입해 프리미엄
◇서울핀테크랩 서울시가 운영하는 핀테크 창업지원 허브 '서울핀테크랩'의 입주사인 '크로스허브'가 최근 신용보증기금의 '리틀펭귄' 프로그램과 서울관광재단의 '서울관광새싹기업' 사업에 동시에 선정됐다. 특히 리틀펭귄 선정으로 향후 2년간 최대 10억원의 자금 지원을 확보하게 됐다. 크로스허브는 차세대 하이브리드 신원인증 서비스 '아이디블록(ID Block)'과 글로벌 간편결제 플랫폼 '블록페이(Block Pay)'를 개발 중인 기술 스타트업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신원인증(DID) 기술과 간편결제 시스템을 결합한 통합 보안 결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기술은 외국인 관광객과 글로벌 이용자가 신원인증 수단 없이도 국내 서비스에 안전하고 간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여행과 배달, 모빌리티, 예약 등 다양한 편의서비스와 연계 가능한 차세대 핀테크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크로스허브는 현재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시장 진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과 일본 등에서 현지 결제 플랫폼 연동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카카오모빌리티와 외국인 사용자 신원 인증 연계 사업을 실증하고 있다. 서울핀테크랩 관계자는 "크로스허브는 기술 기반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토요타가 영국 브래드퍼드시와 손잡고 수소전기차 ‘미라이(Mirai)’를 상업용 택시로 투입한다. 토요타는 도심 내 탄소배출 저감하고 수소 기반 친환경 교통 인프라 확대에 나서는 한편 영국 수소 자동차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현지 언론 및 브래드퍼드 의회 등에 따르면 토요타는 영국 웨스트요크셔주 브래드퍼드시 의회와 협력해 수소 택시 시범 사업을 추진한다. 수소 전기차 미라이를 상업용 택시로 투입,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브래드퍼드 지역 내 지속가능한 교통수단 도입 전략의 일환이다. 영국 택시의 대명사인 '블랙캡'만큼이나 이용자들의 눈길을 사로잡는다는 목표다. 시범 사업과 함께 브래드퍼드시는 예전 가스 저장소 부지인 ‘볼링 백 레인(Bowling Back Lane)’에 수소충전소 건립도 추진 중이다. 해당 충전소는 하루 최대 12.5톤(t) 수소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된다. 특히 지역 경제에 약 1억2000만 파운드(약 2070억 원) 규모 경제효과와 최대 125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브래드퍼드시는 이미 전기택시 전환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까지 약 520대의 택시가 전기차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적용한 장거리 광섬유 초고속 데이터 전송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광통신 기술이 AI 기반 데이터 수요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 교통대학교 연구팀은 1200km 길이 광섬유에서 초당 1테라바이트(TB)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해당 연구 내용은 국제학술지 내셔널 사이언스 리뷰(National Science Review, NSR)에 게재됐다. NSR 등에 따르면 상하이 교통대 연구팀은 광섬유 통신에 새로운 통합 암호화 통신(Integrated Encryption and Communication, IEAC) 기술을 적용했다. 기존의 TLS(Transport Layer Security), IPsec(Internet Protocol Security) 등은 소프트웨어에 의존하다보니 전송 속도를 희생해야하는 경우가 많았다. 반면 상하이 교통대 연구팀이 개발한 IEAC는 딥러닝을 기반으로 개발된 GCS(geometric constellation shaping)라는 AI 기술을 사용해 초고속으로 난수를 생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빛에 물리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