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생명보험업계 1위 삼성생명이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 추가로 편입하기 위해 주주환원 정책에 속도를 높일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홍원학 삼성생명 대표가 실적 성장과 기업가치 제고 등 두 마리 토끼를 잡을지 주목된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생명은 자본시장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시행 상황을 고려해 밸류업 공시(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나설 예정이다. 밸류업 공시는 한국 증시 저평가(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해 상장사가 자발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일 구체적인 계획을 주주와 투자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삼성생명은 앞서 지난달 말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코리아 밸류업 지수에서 탈락했다. 보험 섹터 시가총액 1위인 삼성생명이 포함되지 않아 논란이 됐다. 삼성생명은 업종 대표성과 수익성, 주주환원 등에서는 업계 최고였지만 자본효율성과 시장평가 면에서 낮은 점수를 받아 밸류업 지수에 포함되지 못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삼성생명의 자기자본수익률(ROE)은 5.63%에 그친다. 주가순자산비율(PBR)도 수년째 0.3배 수준에 머물고 있다. 다만 한국거래소는 밸류업 지수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확산하면서 구성 종목을 내년 정기 변경에 앞서 연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에서 소형 전기차 인스터(한국명 캐스퍼 일렉트릭) 출시를 앞두고 가격과 기본 사양을 공개했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영국법인은 인스터의 가격을 상급 모델 기준으로 최소 2만6745파운드(약 4700만원)로 책정했다. 현대차는△인스터01 △인스터02 등 2개 모델로 선보인다. 이들 모델 모두 49㎾h 배터리를 탑재한다. 한번 충전으로 최대 229마일(약 370㎞) 주행이 가능하다. 인스터01 모델은 15인치 합금휠이 적용되며, 최고 출력은 97ps·115ps 두 가지 옵션이 있다. 인스터02 모델은 17인치 합금 휠이 적용되고, 최고 출력은 115ps다. 인스터는 220V 전원을 자유롭게 공급할 수 있도록 실내외 V2L 기능을 적용했다. 상위 차급에 적용됐던 고속도로 주행 보조(HDA)를 비롯해 내비게이션 기반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NSCC), 차로유지보조(LFA) 등 다양한 주행 편의 장비를 탑재했다. 가격은 인스터01 모델은 2만3495파운드(약 4100만원)부터, 인스터02 모델은 2만6745파운드(약 4700만원)부터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이지스자산운용이 영국·프랑스·스페인 소재 아마존 물류센터의 재융자에 성공했다. 자산 가치 하락으로 자산 매각에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다소 숨통이 틔게 됐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지스자산운용은 지난달 말 인베스코자산운용과 영국·프랑스·스페인에 위치한 아마존 물류센터와 관련해 2억7300만 유로(약 4000억원) 규모의 리파이낸싱(재융자) 계약을 맺었다. 영국계 로펌인 애셔스트가 이번 딜을 자문했다. 대출 만기는 3년으로 조건을 충족할 경우 1년 연장할 수 있다. 대출 금리를 보면 유로화 대출 1억7325만 유로는 3개월 유리보 금리(3M EURIBOR)에 3.175%를 더한 수준이고, 파운드화 대출 8300만 파운드는 영국 3개월 소니아 금리(3M SONIA)에 3.175%를 더한 수준이다. 기존 대출은 0.90~1.984% 고정금리였다. 이지스자산운용은 앞서 지난 2019년 7월 이지스글로벌공모부동산투자신탁 281호(파생형)를 조성해 영국 브리스톨·프랑스 파리·스페인 바르셀로나 등에 위치한 아마존 물류센터 3곳을 약 5500억원에 인수했다. 이 가운데 2000억원은 공모펀드로, 6000억원은 사모펀드로 조달했다. 나머지는 현지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공지능(AI) 코딩 도우미 스타트업 풀사이드AI(poolsideAI)가 엔비디아, LG, 이베이 등 글로벌 기업으로부터 투자금을 유치했다. AI 코딩 스타트업에 뭉칫돈이 몰리는 모습이다. 풀사이드AI는 5억 달러(약 670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4일 밝혔다. 풀사이드AI는 이번 자금조달에서 기업가치를 30억 달러(약 4조원)로 평가받았다. 이번 라운드는 글로벌 사모펀드 베인캐피탈이 주선했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 엔비디아, 이베이벤처스, 씨티벤처스, HSBC벤처스, 캐피탈원벤처스 등이 글로벌 기업이 다수 참여했다. 아울러 DST글로벌, 스텝스톤그룹, 슈로더스캐피탈, 핀캐피탈 등 기관 투자자도 투자했다. 풀사이드AI는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와 프랑스 파리에 기반을 둔 AI 코딩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깃허브(GitHub) 최고기술책임자(CTO) 출신 제이슨 워너와 세계 최초 AI 온 코드(AI on Code) 기술기업 source{d} 설립자인 에이소 켄트가 2023년 4월 공동으로 설립했다. 프랑스 억만장자 기업가 그자비에 니엘(Xavier Niel)이 투자한 것으로 유명하다. 제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 수처리 자회사 GS이니마가 1600억원 규모 포르투갈 해수 담수화 플랜트 공사를 수주했다. 매각을 앞두고 기업가치가 더욱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알가르브 수자원공사는 3일(현지시간) GS이나마·아쿠아포르 컨소시엄을 해수 담수화 플랜트 설계·조달·시공(EPC) 및 운영 사업자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포르투갈 남부 알가르브 지역에 연간 1600만㎥ 규모의 해수를 처리할 수 있는 담수화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이다. 개발 상황에 맞춰 2400만㎥ 규모로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26년 상업 운전이 목표다. GS이니마 컨소시엄은 사업비는 1억792만 유로(약 1600억원)를 제시하며 이 사업을 따냈다. 이는 최소 입찰가보다 1792만 유로(약 260억원) 높은 금액이다. <본보 2024년 7월 17일자 참고 : GS이니마, 포르투갈 담수화 플랜트 수주전 '2파전'> 알가르브 수자원공사는 "해수 담수화 플랜트 건설을 통해 최근 몇 년 간 심해진 가뭄으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GS이니마는 스페인에 본사를 둔 글로벌 수처리 기업으로 해수담수화 기술, 하·폐수 정화시설 등을 갖췄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부동산 투자운용사 하이트만(Heitman LLC)이 국내 물류센터에 대한 투자를 확대했다. 하이트만은 4일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물류센터를 인수했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투자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해당 물류센터는 강남업무지구(GBD)에서 차로 1시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주요 고속도로에 인접해 있어 제3자 물류운영자와 제조업체에 매력적인 위치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하이트만은 "소비자 트렌드 변화와 현대화된 유통 시설에 대한 수요 증가로 물류 자산에 대한 관심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하이트만은 500억 달러(약 67조원) 규모 자산을 관리하는 글로벌 부동산 투자운용사다. 앞서 지난 2020년 경기도 여주에 위치한 물류센터 2곳을 인수하며 처음 한국 부동산 시장에 진출한 바 있다.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에서 물류센터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기업 CBRE코리아가 발표한 '2024년 2분기 국내 상업용 부동산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4~6월 물류 거래액은 1조3222억원으로 전체 상업용 부동산 거래액(3조7686억원)의 35%를 차지했다. 오피스 거래액은 1조2345억원(33%)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SK가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기업 SES AI코퍼레이션(SES AI)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 올해 들어 주가가 절반 넘게 꺾이는 등 부진이 이어짐에 따라 일부 손절한 것으로 풀이된다. 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SK는 9월 30일과 10월 1일 2거래일에 걸쳐 SES AI 주식 총 97만9354주를 매도했다. 매도액은 약 60만 달러(약 8억원) 규모다. SES AI는 MIT 출신 치차오 후 최고경영자(CEO)가 2012년 설립한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두고 싱가포르와 중국 상하이에 연구소와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전기차를 비롯한 여러 응용처용 고성능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과 생산 분야에서 선도적 기업으로 꼽힌다. SK그룹 투자전문회사인 SK가 SES의 2대 주주로 있다. 이외에 현대차와 LG테크놀로지벤처스, 혼다, 제너럴모터스(GM), 지리자동차, 상하이자동차그룹(SAIC), 폭스콘 등이 이 회사에 투자했다. 충북 충주에 생산시설을 두고 있는 SES는 향후 서울 가까운 곳에 UAM용 배터리셀과 모듈, 팩 등을 생산할 공장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SES는 중국에 2개, 한국에 3개의 생산라
[더구루=홍성환 기자] 칠레가 배터리 에너지 저장 시스템(BESS)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다만 전력망 확장이 더뎌 심각한 전력 낭비에 시달리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일 코트라 칠레 산티아고무역관의 '2024년 칠레 에너지 저장산업 정보' 보고서에 따르면 칠레는 7개 BESS 시설을 시험 가동 중이다. 총설치 용량은 342㎿, 저장 용량은 1328㎿h에 달한다. 이 시스템은 모두 리튬이온 기반의 BESS로 구성돼 있다. 칠레 북부 안토파가스타 지역의 설치 용량이 133㎿, 저장 용량이 655㎿h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현재 9개 BESS 시설이 추가로 건설 중으로, 총투자액은 8억6400만 달러 규모다. 9개 신규 BESS의 설치용량은 596㎿, 저량용량은 2231㎿h다. 설치 용량의 88%, 저장 용량의 94%가 안토파가스타 지역에 집중돼 있다. 엔지가 개발한 BESS 코야 프로젝트는 라틴 아메리카 에너지 산업에서 중요한 이정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시스템의 총 저장 용량은 638㎿h, 설치 용량은 139㎿로 리튬 배터리를 기반으로 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가운데 라틴 아메리카 대륙에서 가장 크다. 칠레는 에너지 저장 문제에서 심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축전지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3일 캐나다 토론토무역관의 '캐나다 축전지 시장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 축전지 시장 규모는 3억5450만 캐나다달러로 전년 대비 9.6% 성장했다. 올해는 0.5% 증가한 3억5630만 캐나다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오는 2029년까지 연평균 1.6% 성장해 3억8610만 캐나다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캐나다 축전시 시장 성장은 기술 발전과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기술 발전은 수익 성장을 이끄는 주된 원동력으로 특히 자동차,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되는 배터리 수요 증가가 이를 뒷받침했다. 코로나19 대유행, 고물가, 금리 인상 같은 경제적 도전에도 불구하고 기술 발전 덕분에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글로벌 경쟁이 배터리 분야에 대한 투자를 자극하면서 시장 확장에 기여하고 있다. 재생 에너지원의 확산으로 배터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환경적 영향을 고려한 지속 가능한 배터리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 또한 커지고 있다. 다만 최근 공급망 중단이 배터리 생산에 있어 도전 과제로 부각되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투자 전문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인공지능(AI) 기반 자율 메디컬 코딩 스타트업 님(Nym)에 투자했다. 님은 2일 4700만 달러(약 620억원) 규모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PSG가 주도한 이번 자금조달에는 삼성넥스트와 구글벤처스, 다이내믹루프캐피탈, 에디션 등이 참여했다. 님은 AI 기반 메디컬 코딩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메디털 코팅은 임상시험 결과나 환자 의료 차트 등을 암호화하는 것을 말한다.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의료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보통 구어체로 기록한 증상과 의학적 관찰 내용은 의료 코딩을 통해 수작업으로 의료 사전 항목에 매핑해야 하는데, 이는 시간과 오류 발생 위험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님은 자사 소프트웨어를 통해 의료 시스템을 단순화하고 국가의 막대한 행정 부담을 줄여 의료 서비스 제공하자 환자 치료에 집중하고 증가하는 치료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NYM의 메디컬 코딩 기술은 인간의 개입 없이 프로세스를 자동화해 기존 수작업으로 진행하던 코딩 대비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올해 두 번째 사무라이본드 발행에 착수했다. 일본 시장에 대한 투자를 더욱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2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버크셔해서웨이는 엔화 표시 채권 발행을 위해 BofA증권과 미즈호증권을 주간사로 선임했다. 사무라이본드는 외국 정부나 기업이 일본 내 투자자를 대상으로 일본에서 발행하는 엔화 표시 채권이다. 원리금 상환과 지급은 엔화로 계산하며, 이율은 일본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한다. 초저금리와 역대급 엔저가 장기화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사무라이본드 발행 수요가 늘었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 2019년 이후 꾸준히 옌화 표시 채권 발행에 나서고 있다. 작년 6월 11억 달러 규모로 엔화 채권을 발행했고, 11월에도 8억300만 달러 규모로 사무라이본드를 찍었다. 올해 4월에는 17억 달러 규모로 발행했다. 이는 버크셔해서웨이가 발행한 엔화 표시 채권 가운데 2019년 이후 두 번째로 큰 액수다. <본보 2024년 4월 9일자 참고 :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 올해 첫 사무라이본드 찍는다> 버크셔해서웨이는 일본 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서 확대하고 있다. 특히 미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출입은행이 루마니아 소형모듈원전(SMR) 개발 사업에 대한 첫 자금 지원에 나섰다. 2일 루마니아 에너지부에 따르면 미국 수출입은행은 루마니아 SMR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9900만 달러(약 1300억원) 규모 대출을 승인했다. 이 자금은 부지 개발과 규제 승인, 세부 설계 작업 등에 투입될 예정이다. 이 사업은 루마니아 도이세슈티 지역에 위치한 석탄화력발전소를 462㎿ 규모의 SMR로 교체하는 것이다. 뉴스케일파워의 SMR 모델이 적용된다. 2030년 가동이 목표다. 미국 정부는 이 사업에 40억 달러(약 5조2800억원)를 지원할 방침이다. <본보 2024년 3월 20일자 참고 : [단독] 美, '삼성물산 참여' 루마니아 소형원전 5.4조 지원> 삼성물산은 미국 플루어·뉴스케일파워·사전트앤룬디 등 세 곳과 이 사업의 기본설계(FEED)를 공동으로 수행한다. 기본설계는 프로젝트 사전 계획 수입 및 설계·조달·시공(EPC) 수행을 위한 준비 단계에 해당한다. 삼성물산이 업무협약과 투자를 제외하고 글로벌 SMR 프로젝트 설계 단계까지 참여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기본설계 참여로 향후 EPC 최종 계약에서도 유리한 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프랑스가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개발을 위해 약 15조원 규모의 보조금을 투입한다. 중국산 기자재 의존도를 줄이고 현지 공급망을 확대하며 재생에너지 도입을 가속화, 유럽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에 따르면 EC는 최근 프랑스가 110억 유로(약 15조원) 규모의 국가 보조금을 쏟아 브르타니 해안과 지중해에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3곳을 건설하는 개발 지원 계획을 승인했다. 각각 500MW급 규모를 갖춘 해상풍력 단지는 연간 2.2TWh를 생산해 약 45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보조금은 유럽연합(EU)의 '청정산업협정 국가보조금 프레임워크(CISAF)'에 근거해 집행되며, 입찰 참여자는 공급망 회복력을 입증해야 한다. 이는 사실상 중국산 기자재를 배제하고 유럽산 중심으로 조달 체계를 재편하겠다는 의미로, 태양광·배터리와 마찬가지로 풍력 분야에서도 중국 의존도를 줄이려는 흐름으로 해석된다. 지원은 양방향 차액계약제(CfD) 방식으로 진행되며, 구역별 경쟁입찰을 통해 단일 사업자가 선정된다. 시장가격이 기준가격보다 낮으면 정부가 차액을 보전하고, 반대로 높을 경우 사업자가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원자력 기업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미국 뉴저지주(州) 오이스터 크릭 원자력 발전소 부지에 소형모듈원전(SMR) 4기를 건설할 계획이다. 현대건설의 수혜가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홀텍에 따르면 크리스 싱 홀텍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4일 뉴저지 상원 및 주의회 공청회에 참석해 오이스터 크릭 SMR 개발 사업 계획을 발표했다. 홀텍은 오이스터 크릭 원전 부지에 300㎿(메가와트)급 SMR 4기를 배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태양광 발전 시설과 배터리 에너지 저장장치(BESS)도 구축할 계획이다. 싱 CEO는 "오이스터 크릭은 미국 최초의 원자력·태양광 하이브리드 발전소가 될 것"이라며 "2019년 원전 폐쇄 이전 생산량의 두 배 이상인 1350㎿의 청정 에너지를 생산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사업에는 현대건설이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건설은 2021년 홀텍과 SMR 개발 및 사업 동반진출 협력 계약을 맺고 SMR 개발 및 사업 추진, 원전 해체 사업, 사용후 핵연료 임시저장시설 구축 등 원전 밸류체인 전반의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해 왔다. 두 회사는 현재 미국 미시간주에 팰리세이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