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의 갤럭시 S20의 다크모드가 구글 어플에서 작동하지 않는 버그가 발생하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갤럭시 스마트폰에 적용된 다크모드가 구글의 자체 앱에서 작동하지 않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다크모드는 안드로이드10 OS가 출시되면서 등장한 모…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텔이 내년에 모든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에 144단 낸드플래시를 장착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144단 낸드를 개발해 연내에 이를 탑재한 SSD도 출시한다. 인텔이 고용량 낸드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며 반도체 업계 간 적층 경쟁은 더욱 심화될 전망이다. 11일 업계에 따르…
[더구루=홍성일 기자] 샤오미의 새로운 '언더스크린 카메라' 적용 풀스크린 스마트폰 특허가 등장했다. 지난달 29일 중국지식산권국(CNIPA)은 샤오미가 출원한 언더스크린 카메라 기반 풀스크린 스마트폰 디자인 특허를 공개했다. 특허 속 스마트폰의 후면에는 좌측 상단에 일자로 트리플 카메라가 배치…
[더구루=오소영 기자]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탑재한 갤럭시S20+가 속도 테스트에서 삼성전자의 엑시노스 지원 기기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엑시노스의 성능이 스냅드래곤과 비교해 뒤떨어진다는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유명 스마트폰 유튜버 '폰버프(PhoneBuff)'는 지난달 25일 퀄컴 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LG디스플레이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특허가 한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출원된 것으로 확인됐다. 7일(현지시간) 미국특허청(USPTO)은 LG디스플레이가 지난 2016년 12월 9일 출원한 '롤러블 디스플레이'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는 지난 2016년 6월 20일 한국특허청에도 출원…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전자가 아마존 웹 서비스(AWS) 클라우드 플랫폼을 기반으로한 화상 통화를 세계 최초로 시연했다. 6일(현지시간) 삼성전자 미국법인은 MCPTX (Mission Critical Push-to Talk)를 사용해 AWS 플랫폼에서 세계 최초의 화상 통화 시연을 성공했다고 밝혔다. MCPT…
미국특허청(USPTO)이 71개의 새로운 애플 특허들을 공개했다. 17일(현지시간) 패턴틀리애플은 USPTO가 71개에 이르는 애플의 새로운 특허를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패턴틀리애플은 이번에 공개된 특허 중 몇 가지의 눈길을 끄는 특허들도 함께 전했다. 애플은 이번 특허를 통해 '포스터치'를 이용한 드롭…
애플에 새로운 랩어라운드(기기 전체를 둘러싸고 있는)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특허가 공개됐다. 20일(현지시간) 미국 특허청(USPTO)은 애플이 지난해 8월 15일 출원한 '유리로 둘러싸인 전자기기'라는 제목의 특허를 공개했다. 해당 특허 속 스마트폰은 전체가 디스플레이로 둘러싸인 '랩어라운드 디스플레…
원본소스 : https://nl.letsgodigital.org/smartphones/galaxy-s20-ultra-camera/ 삼성전자가 영국에서 갤럭시 S20 울트라 모델에 적용하는 새로운 카메라 기술인 '노나셀'의 상표등록을 진행했다. 6일(현지시간) 네덜란드의 IT전문매체 '레츠고디지털'은 삼성전자가 5일…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인공지능(AI) 스마트 스피커에 대한 특허가 공개됐다. 3일(현지시간) 인도 IT전문매체 91모바일은 삼성전자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AI 스마트 스피커 특허를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특허 속 스피커는 삼성전자의 AI비서 '빅스비'가 내장된 스마트 스피커로 보인…
삼성전자의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 노트20의 케이스 디자인 특허가 공개됐다. 오는 8월 출시 예정으로 노트10 라이트와 S10 라이트와 유사한 사각형 카메라 모듈을 후면에 장착할 전망이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특허청은 지난 10일 삼성전자의 갤럭시 노트20 케이스 디자인 특허를 공개했다. 이…
사진소스:https://nl.letsgodigital.org/opvouwbare-telefoons/lg-smartphone-wraparound-display/ LG전자의 '랩 어라운드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특허가 공개됐다. 2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17일(현지시간)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는 지난해 7월…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