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립표준기술원(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NIST)이 인공지능(AI) 기반 리튬 이온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을 개발했다. 전기차 배터리 화재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초기 인지를 통해 막대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이라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미국 국립표준기술원과 외신에 따르면 NIST 소속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Wai Cheong "Andy" Tam)은 시안과학기술대학교 연구팀과 협력해 AI를 활용한 배터리 화재 조기 경보 시스템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배터리 화재 발생 최대 2분 전 화재 발생을 경고한다. 연구팀은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고 발생을 막거나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배터리 화재 조기 경고 시스템은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이 배터리 폭발 영상을 분석하던 중 독특한 소리를 들으면서 개발이 시작됐다. 와이 청 '앤디' 탐 연구원은 배터리가 발화하기 전 '딸깍'하는 독특한 소리가 나는 것을 확인했다. 분석결과 해당 소리는 화학 반응으로 배터리 내부 압력이 상승하면서 하드
[더구루=정예린 기자] 배터리 장비 업체 '피엔티(PNT)'가 배터리·소재 자회사 '피엔티 머티리얼즈'를 통한 미국 진출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배터리 소재부터 생산 장비, 완제품까지 모두 공급해 이차전지 업계 ‘게임체인저’가 되겠다는 포부다. 20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김준섭 피엔티 대표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과 미국의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발생하는 틈새 시장을 활용해 (배터리 생산) 전체 프로세스를 사내에서 수행하고, 이 기술을 미국으로 수출해 토탈 솔루션 공급업체로 전환하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핵심은 작년 상반기 설립한 배터리 자회사 '피엔티머티리얼즈'다. 피엔티는 피엔티머티리얼즈를 통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상반기 완공을 목표로 피엔티 본사가 위치한 경북 구미에 LFP 배터리 생산 공장을 짓고 있다.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을 우선 공략할 방침이며, 현재 미국 일부 회사과 공급 논의를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김 대표는 "우리는 끊임없이 회사를 발전시키고 정교한 기술을 강화하여 더 큰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는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며 "이것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최대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Northvolt)가 자금난에 이어 생산성 저하 문제까지 직면했다. 잇따른 문제가 불거지며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기업들로서는 '반사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스웨덴 북부 스켈레프테아(Skellefteå)에 위치한 배터리 셀 공장의 생산을 축소했다. 이로 인해 목표로 한 생산량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로이터가 입수한 내부 문서에 따르면 노스볼트는 '배송 가능 셀' 생산 목표를 지속적으로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문서에는 올해 말까지 주당 5만1000개 생산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노스볼트 실제 생산량은 이를 크게 밑도는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셋째주에는 2만2000개, 마지막 목표 기간인 주에는 약 2만6000개를 생산했다. 5만1000개 생산량 목표를 달성한 것은 단 한 번 뿐이었다. 노스볼트는 고객 납품 물량에 집중하기 위해 생산 라인을 축소했다고 밝혔으나 내부 소식통들은 기계 결함 및 직원의 경험 부족, 비현실적인 목표 설정 등이 생산 둔화의 주요 원인이라고 전했
[더구루=진유진 기자] 파산 위기에 몰린 유럽 최대 전기차 배터리 업체 노스볼트(Northvolt)가 미국 리튬황 배터리 스타트업 라이텐(Lyten)에 미국 차세대 배터리 기술 스타트업 큐버그(Cuberg)를 매각했다. 이번 매각은 노스볼트가 재정난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풀이되는 가운데 리튬황 배터리가 차세대 배터리로 자리 잡을 가능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라이텐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큐버그 인수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오는 2025년 하반기 상업 생산 시작을 목표로 최대 2000만 달러를 투자해 큐버그의 샌 레안드로 생산시설을 연간 200MWh 규모 리튬황 배터리 제조 설비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인수는 라이텐의 공격적인 확장 전략으로 해석된다. 라이텐은 지난달 미국 네바다주 리노에 연간 10GWh 규모 리튬황 배터리 기가팩토리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오는 2025년 초 착공, 2027년 1단계 가동을 목표로 한다. 세계 최초의 리튬황 공장으로 리튬황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활물질(CAM)과 리튬 금속 음극을 자체 생산하고, 원통·파우치형 배터리 셀을 제조할 예정이다. <본보 2024년 10월 16일 참
[더구루=정예린 기자] SKC가 반도체 소재 자회사 SK엔펄스 산하 중국 법인 2곳의 지분 매각을 마무리했다. 비핵심 자산 처분에 속도를 내며 재무건전성을 제고, SK그룹 차원의 리밸런싱(구조조정)에 발 맞추고 있다. 19일 중국 심천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야코테크놀로지(Yoke Technology)는 지난 13일(현지시간) 자회사 '장쑤야코세미컨덕터머티리얼즈(Jiangsu Yoke Semiconductor Materials)'와 '선양신진정밀기술(Shenyang Yichuang Precision Technology)'을 통해 SK엔펄스 자회사인 SKC-ENF일렉트로닉머티리얼즈와 SKC솔믹스 홍콩 지분을 매입했다고 공시했다. 선양신진정밀기술은 야코테크놀로지가 '선양어드밴스트매뉴팩처링테크놀로지인더스트리(Shenya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y Industry)'와 공동 투자한 회사다. SK엔펄스와 장쑤야코세미컨덕터머티리얼즈, 선양신진정밀기술 간 지분 인수 계약은 지난 9월 체결된 것으로 전해진다. 이번에 지분 양도를 둘러싼 모든 절차를 마무리하면서 심천증권거래소에 공시했다. 야코테크놀로지는 "이번 거래를 기반으로 반도체 지원 습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를 공급한다. 공급처를 지속해서 확보하며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룸에너지는 미국 최대 전력회사 가운데 하나인 아메리칸일렉트릭파워(AEP)와 최대 1GW(기가와트) 규모의 SOFC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상업적 연료전지 계약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에 따라 AEP는 우선 100㎿(메가와트) 규모 연료전지를 주문했고, 내년 주문량을 확대할 예정이다. 케이알 스리다르 블룸에너지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블룸에너지의 플랫폼은 AI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이상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면서 "AEP와 협력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블룸에너지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소재한 수소 연료전지 발전기업이다. 블룸에너지는 현존하는 연료전지 중 가장 효율이 높은 고체산화물연료전지제조 역량을 토대로 전 세계 600여개 전력 다소비 고객에 전력을 공급하고 있다. 블룸에너지는 SK에코플랜트와 연료전지 사업에 협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 국영 광산기업 '안탐(ANTAM)'이 LG에너지솔루션이 주도하는 LG컨소시엄과 배터리 가치사슬 구축에 협력하겠다는 의지를 재차 내비쳤다. 현지 정부의 지지와 지원을 바탕으로 '열매'를 맺을 수 있도록 속도를 낸다는 각오다. 중국 화유의 참여 여부로 지지부진했던 LG의 인도네시아 사업에 동력이 붙을지 이목이 모아진다. [유료기사코드] CNBC인도네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니콜라스 디 칸터(Nicolas D Kanter) 안탐 최고경영자(CEO)는 13일(현지시간) LG컨소시엄과의 협력에 대해 "아직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진전을 가속화하고자 (인도네시아) 에너지광물자원부와 투자부로부터 계속 지원을 받고 있다"며 "여전히 도전적인 과제이지만 투자부 장관을 거쳐 에너지광물자원부로 온 바흐릴 라하달리아 장관도 이 컨소시엄 추진에 매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LG컨소시엄은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 LX인터내셔널, 포스코홀딩스, 중국 화유가 참여하고 있다. 지난 2022년 4월 안탐,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투자 회사 IBC와 투자 협약을 맺고 니켈 채굴부터 배터리 생산까지 아우르는 그랜드 패키지 사업을 추진했다. 약
[더구루=홍성환 기자] 독일 자동차기업 폭스바겐그룹이 유럽 최대 배터리업체 노스볼트(Northvolt AB) 이사회에서 물러났다. 심각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최대 주주 측이 경영에서 손을 뗄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노스볼트의 불확실성이 더욱 커진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스벤 푸어만 폭스바겐 투자 책임자가 11일 노스볼트 이사회에서 사임했다. 푸어만 책임자는 앞서 지난해 초 노스볼트 사외이사로 선임된 바 있다. 폭스바겐은 노스볼트 지분 21%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특히 폭스바겐 산하 트럭 브랜드 스카니아가 노스볼트 최대 고객 가운데 하나다. 아우디 역시 노스볼트의 배터리를 공급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폭스바겐 측은 "이사회 퇴임 결정은 노스볼트 보유 지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서 "우리는 두 회사 간 계약 관계의 자세한 내용이나 배경에 대한 추측에 대해서 더 이상 언급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후임자 선임 여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노스볼트 측은 "폭스바겐은 우리의 오랜 파트너이며 긴밀히 협력하고 있다"고 우려를 일축했다. 현재 노스볼트는 심각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다. 피터 칼슨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주전자재료가 인도 최대 배터리 소재 기업 엡실론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EAM·Epsilon Advanced Materials)와 손을 잡는다. 전기차 부문 고성장이 예상되는 인도 시장으로 눈을 돌려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을 꾀한다. 11일 EAM에 따르면 EAM과 대주전자재료는 최근 전기차용 리튬이온배터리에 쓰이는 흑연이 풍부한 실리콘 음극재 개발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일본 화학 전문 종합상사 '나가세산업'도 양사를 지원키로 했다. EAM과 대주전자재료는 450~600mAh/g 용량 수준의 실리콘산화물(SiOx) 방식 기반 흑연-실리콘 복합 음극재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새로운 실리콘 음극재를 통해 방전 용량이 50% 증가하고 배터리 수명이 수천 번 더 충전할 수 있을 만큼 늘어날 것이라고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양사는 올해 말까지 개발과 고객 평가를 마무리하고 배터리셀 제조사와 공급 계약을 논의한다. 이를 위해 대주전자재료는 EAM으로부터 합성 흑연을 받아 자사 연구실에서 실리콘 음극재를 생산하고 테스트를 실시한다. 만들어진 샘플을 다시 EAM에 제공해 다양한 환경에서 성능을 교차 검증한다. 실리콘 음극재는 기존 흑
[더구루=오소영 기자] 국내 전해액 제조사 '엔켐'이 프랑스 신공장에서 약 한 시간 떨어진 곳에 임시 거점을 마련했다. 엔켐은 새로이 마련한 거점을 통해 신공장 준비에 박차를 가하며 유럽 고객사와 활발히 소통한다. 유럽 배터리 기업들을 확보해 프랑스에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는 목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엔켐 프랑스 SAS(Enchem France)는 프랑스 북부 릴(Lille)시 마르크앙바룰(Marcq-en-Baoreul)에 사무소를 세우고 채용을 추진했다. 최근 총무와 통역 업무를 진행할 계약직 직원을 채용했다. 이 사무소는 덩케르크(Dunkirk) 신공장이 완공될 때까지 프랑스 내 임시 거점으로 쓰인다. 신공장 건설을 지원하고 유럽 고객사를 발굴하는 역할을 한다. 마르크앙바룰은 우수한 교통 인프라를 갖췄다. A1·A22 등 주요 고속도로와 가깝고 인근에 릴 유럽역을 통해 파리를 비롯해 대도시로 이동할 수 있다. 덩케르크와도 차로 약 1시간 거리다. 덩케르크에는 대만 전고체 배터리 업체 프롤로지움 테크놀로지(48GWh)와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어(르노향 12GWh)의 신공장이 들어선다. 엔켐은 인근에 새 거점을 추가하며 적극적으로 마케팅을 하고 잠재 고객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폴란드 국영전력공사(PGE)가 주도하는 자르노익(Zarnowiec) 에너지 저장 장치(ESS) 사업 입찰에 도전장을 냈다.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과 높은 성능을 제안하며 수주에 한발 더 다가섰다. 유럽의 전기차 판매 성장률 둔화 속에 새 먹거리로 떠오른 ESS 수주를 확대한다. 11일 PGE입찰시스템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법인인 LG에너지솔루션 브로츠와프는 자르노익 ESS 건설 사업 입찰에 참여했다. 15억5000만 즈워티(약 5700억원)에 85.20% 효율을 갖춘 ESS를 제안했다. 이번 입찰은 지난 7월15일 시작됐다. PGE는 자르노익 양수 발전소 인근에 263㎿ 출력과 900MWh 저장용량을 갖춘 ESS 건설을 추진했다. 공급사가 설계부터 시공·시운전까지 완료하는 턴키 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경제재건계획(KPO)' 기금으로부터 지원을 받기로 했다. 당초 9월30일까지 제안서를 받을 예정이었으나 지난 8일까지로 기한을 연기했다. PGE는 LG에너지솔루션 브로츠와프 법인과 함께 코랩(CORAB S.A.)으로부터 24억2136만 즈워티(약 8300억원), 효율 83% 구현이 담긴 제안서를 받았다. 향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한국에 이어 대만과 미국에서 잇따라 대규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 공급처를 확보했다. 글로벌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블룸에너지는 △한국 SK이터닉스 △대만 퀀타컴퓨터 △미국 FPM디벨롭먼트 등 세 곳과 SOFC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11일 밝혔다. 블룸에너지는 대만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사 퀀타컴퓨터와 기존 계약을 확장하기로 했다. 퀀타컴퓨터는 블룸에너지 SOFC 설비용량을 기존 대비 150% 이상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내년 초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퀀타컴퓨터는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핵심 협력사 가운데 하나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위안다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AI 서버 시장에서 퀀타컴퓨터의 점유율은 25%(4만3000대)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블룸에너지는 또 미국 에너지 기업 FPM디벨롭먼트와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 취약 계층에 전력 공급을 확대하기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에 로스엔젤레스의 전력 그리드 두 곳에 20㎿(메가와트) 규모의 SOFC를 공급한다. 불룸에너지는 SK이터닉스는가 충청북도 충주시에 개발하는 SOF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가 첨단 패키징 기술 중심 산업 클러스터 개발을 추진한다. 파트너사들과 협력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첨단 패키징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대만 디지타임스에 따르면 TSMC는 최근 난커 지역에 30헥타르(ha) 규모 토지를 매입했다. 이 곳에는 첨단 패키징을 위한 '선진 공급망 구역'이 조성될 전망이다. 축구장 30개가 들러설 정도의 부지를 갖춘 선진 공급망 구역에는 TSMC의 패키징 생산 공장이 아닌 패키징 사업 협력사들이 입주하게 된다. 연구개발부터 설계, 장비 조달, 생산까지 아우르는 산업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 목표다. 인근에 위치한 첨단 패키징 생산시설 TSMC의 자이 7공장(AP7)과 타이난 8공장(AP8)의 양산을 지원사격한다. TSMC는 입주사 모집을 위해 이날 주요 협력사 대상 설명회도 개최했다. 선진 공급망 구역 설립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자리다. △준하오정밀(均豪精密) △준화정공(均華精密工業) △치성공업(志聖工業) △신윤엔터프라이즈(辛耘企業) 등 패키징 장비 공급사와 △잉웨이테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테슬라가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파워월' 고객들을 대상으로 새로운 전기 요금제를 출시했다. 본사가 위치한 텍사스를 시작으로 점차 서비스 지역을 확대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테슬라는 최근 '테슬라 일렉트릭'(Tesla Electric)에 새로운 가정용 충전 인센티브를 도입했다. 테슬라 일렉트릭은 파워월 고객들을 위한 전기 요금제다. 이번 인센티브는 미국 텍사스주 거주자들만을 위해 마련됐다. 텍사스는 테슬라의 본사가 위치한 상징적인 지역이다. 향후 다른 지역으로 서비스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내달 31일 전 텍사스에서 테슬라 전기차를 인도받고 '테슬라 일렉트릭 픽스드 플랜'(Tesla Electric Fixed Plan, TEFP)에 가입한 운전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 경우 매월 5달러(한화 약 6988원), 연간 60달러(약 8만 원)의 요금으로 1년 동안 집에서 무제한으로 야간 충전을 즐길 수 있다. TEFP 전기차 표준 충전 요금과 비교하면 66%나 저렴한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셈이다. 통상 무제한 전기차 충전 인센티브 요금은 월 15달러, 연 180달러 수준으로 책정된다. 아울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