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페루 육군 산하 국영기업인 육군 조병창(FAME)이 특수 차량 조립 공장을 짓는다. 방위산업 활성화와 전투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투자로 향후 기아와 현대로템, KG모빌리티(이하 KGM), STX 등 한국 기업들과의 현지 생산·기술 이전 협력도 진전을 보일 전망이다. 28일 페루 정부에 따르면 FAME은 특수 차량 조립 공장 건설에 돌입한다. 총 2000㎡ 규모의 시설에는 조립라인과 품질 관리 구역, 시험 구역, 물류·저장 시설 등이 갖춰질 예정이다. 수주 안에 장비 설치에 들어간다. FAME은 군 현대화를 위해 신규 차량을 생산하고자 투자를 단행했다. 구체적으로 어떤 차량을 조립할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현지 기업의 참여와 현지인 고용을 우선시한다는 계획이다. 새 공장을 활용한 한국 기업과의 협력도 기대되는 요소다. FAME은 공장 건설을 공식 발표하며 기아와 현대로템, KGM, STX 등 한국 기업들과 협력을 강조했다. 그간 기술 이전과 현지 생산에 대한 논의을 이어온 만큼 FAME의 이번 투자가 한국 기업들과의 후속 협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로템과 STX는 작년 5월 페루 FAME과 약 6000만 달러(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방한한 적도기니 '서열 2위'와 회동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해외 사업을 알리고 유지·보수·정비(MRO) 사업 협력을 모색했다. 아프리카 방산 시장까지 저변을 넓히고 후속 시장에 본격 뛰어든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테오도로 응구에마 오비앙 망그(Teodoro Nguema Obiang Mangue) 적도기니 부통령은 최근 서울 중구 한화빌딩에서 장성원 MRO사업부 상무와 만났다. 그는 적도기니에서 두 번째로 서열이 높은 인물이다. 테오도로 오비앙 응구에마 음바소고 적도기니 대통령의 아들로 2016년부터 부통령을 맡고 있다. 이번 방한 기간 한국과의 방산 협력을 검토하며 대표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를 찾았다. 테오도르 응구에마 부통령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출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무기체계의 MRO와 운영 등 후속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 감시와 정찰에 활용할 수 있는 위성 개발을 검토하고, 한화오션과 에너지 인프라 개발을 위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원유 생산 플랫폼 사업에 협력하는 방안도 모색했다. 테오도르 응구에마 부통령은 링크드인을 통해 "국방·안보 책임자로, 해군에 최첨단 기술과 인력 교육을 제공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화 '스타워즈'를 연상케 하는 레이저 대공요격무기가 현실화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무인기 파트너인 글로벌 무인기 전문기업 제너럴 아토믹스 에어로노티컬 시스템(GA-ASI, 이하 제너럴아토믹스)이 드론 공격용 공대공 레이저를 개발 중이다. '하늘의 암살자'인 첨단 드론(무인기) MQ-9 리퍼(Reaper, 저승사자)에 공대공 레이저 무기를 탑재해 공중 표적 드론을 격추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세계적인 해군 전문지 네이벌뉴스(Naval News)에 따르면 제너럴 아토믹스는 현재 미 공군과 미 해병대에 배치된 무인기 MQ-9 함대를 위한 공중 레이저 무기를 개발 중이다. 제너럴 아토믹스는 미 국방부의 '대(對)드론 체계' 공동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MQ-9 제품군에 새로운 공대공 레이저 무기를 추가하고자 한다. 이는 전장에 지속적인 대 무인 항공기(C-UAS) 존재감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레이저 대공무기는 별도의 탄 없이 전기만 공급하면 발사할 수 있다. 광섬유에서 생성된 고출력의 광원 레이저를 쏴 근거리의 공중 표적(소형무인기, 멀티콥터 등)을 파괴하는 방식이다. 제너럴 아토믹스 대변인은 "국방부 공동 프로그램에 따라 공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산 '하늘의 방패'에 중동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사우디 아라비아가 방공망 구축 과정에서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에 이어 장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시스템(Long range Surface to Air Missile·L-SAM) 도입을 검토한다. 요격 고도 40~60㎞인 L-SAM을 배치해 고고도 방어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28일 소셜미디어 '엑스(X)'에 따르면 한국 방산 소식을 다루는 유명 밀리터리팁스터 '하쿠 메이슨(ハクMason)'은 지난 24일(현지시간) "사우디 아라비아의 경우 K239 다연장로켓 천무, 중거리 지대공 유도무기 '천궁-II(M-SAM)' 등을 구매했다"며 "다음으로 (구매할 무기는) L-SAM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고 밝혔다. 사우디는 한국형 '통합 다층 방공 솔루션'으로 저고도에서 고고도를 아우르는 다층 방어 방공 시스템 구축해 방어망을 강화하고자 한다. 지난해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천궁-II를 도입한 사우디는 L-SAM에도 관심을 보여왔다. 중고도 이하를 천궁-II로 방어했다면 요격 고도의 상층부는 L-SAM으로 방어한다는 전략이다. '한국형 사드'라는 별명이 붙은 L-SAM은 고도 40∼6
[더구루=오소영 기자] LIG넥스원이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열린 방산 전시회에 참가해 현지 군·정부 수뇌부와 미팅을 가졌다. 이라크에서 방공 무기체계의 기술 이전과 투자 등을 모색했다. 천궁II 지대공 미사일 수출에 성공하며 현지 환경에 최적화된 제품을 토대로 영토를 확장하고 있다. 28일 글로벌디펜스인사이트 등 외신에 따르면 LIG넥스원은 지난 19일부터 22일까지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개최된 'IQDEX 2025(International Defense Exhibition Iraq)'에 참가했다. 현지 군·국방부 인사들과 만나 기술 이전과 현지 생산, 합작 투자에 대해 폭넓게 논의했다. LIG넥스원은 작년 9월 이라크 국방부와 3조7135억원 규모의 천궁II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 이어 세 번째로 조 단위 수출이었다. LIG넥스원은 작년 9월 사우디와 3조7000억원 규모 천궁II 계약을 맺고 기술 이전과 유지보수·운영 서비스 제공을 약속했었다. 수출국을 대상으로 단순한 무기 공급을 넘어 국방 역량 구축의 핵심 파트너로 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현지에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이라크는 군 현대화를 추진하며 국방예산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호주 육군의 차세대 궤도형 보병전투장갑차량(IFV) '레드백' 공급 사업을 위해 현지 협력사 공개 모집에 나섰다. 공급망 확대와 호주 내 산업 생태계 강화를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27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호주법인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공식 링크드인 계정을 통해 "랜드(LAND) 400 3단계 사업과 관련된 여러 작업 패키지가 곧 포털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라며 "벤치온(BenchOn) 플랫폼을 통해 입찰 참여를 원하는 기업들이 회사 프로필과 보유 역량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해달라"고 밝혔다. 벤치온은 호주 정부가 운영하는 산업 연계 포털로, 방산·우주·제조 분야 대기업과 중소 협력업체를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모든 입찰 기회를 이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며, 자사 공급망에 합류하기를 원하는 호주 기업들은 해당 포털에서만 참여가 가능하다고 명시했다. 공개된 작업 패키지는 총 13개 부문이다. 중·대형 강재 및 합금 가공, 박판 금속을 활용한 경량 구조물 제작, 정밀 가공 등 금속 가공 전반을 포함하며, 전기·전자 시스템, 유압 제어 장치, 냉각 시스템, 전력 및 통신용 케이블·하네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 소속 직원이 캐나다 방산 업계에서 선정한 올해의 인물로 뽑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글로벌 인재 영입 전략이 가시적인 성과를 내며 방산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26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 '한화디펜스USA'에 따르면 김민정 과장은 캐나다 방산산업협회(CADSI)로부터 '2025 주목할 리더(Remarkable Leader)'로 선정됐다. 2000명이 넘는 후보 가운데 이 상을 받은 김 과장은 정밀유도무기(PGM) 부문에서 캐나다 사업을 이끄는 핵심 인물로, 전략 수립과 현지 조율을 담당해왔다. CADSI는 캐나다의 방산 및 보안 분야를 대표하는 기관으로, '주목할 리더'는 산업 전반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친 인물을 대상으로 선정된다. 한국 기업 출신 인사가 이 리스트에 이름을 올린 것은 드문 일로,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국내 기업과 인재의 위상이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로 읽힌다. 김 과장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 본사에서 경력을 시작한 뒤, 세계 각지에서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한화디펜스USA의 비즈니스 개발 매니저로 근무하고 있다. 앞서 한화에서 비즈니스 개발 및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대관 조직을 확충한다. 미 육군과 상원에서 두루 경험을 쌓은 새 인물을 대관 담당으로 뽑았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 소통 접점을 넓히고 북미 방산 시장에서 기회를 잡는다. 25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과 업계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미국법인인 한화디펜스 USA는 최근 스티븐 볼린(Stephen Voline) 대관 담당 디렉터를 영입했다. 볼린 디렉터는 미군과 의회를 두루 거친 인물이다. 1998년부터 작년까지 미군에 복무하며 일본 자마 주둔지 정보대대 부지휘관, 미 307정보대대 대대장 등을 역임했다. 2022년 1월부터 2년 이상 미 상원 정보위원회와 군사위원회 등 관련 위원회와 소통하고 정책 수립에 목소리를 내는 역할을 맡았으며, 조니 언스트 상원의원(공화당·아이오주)실에서 국가 안보 보좌관으로도 약 1년 4개월 동안 일했다. 한화디펜스 USA는 현지 국방 정책 정통하고 의회 경험이 있는 인물을 영입해 대관 조직을 보강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수혜 기업으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일(현지시간)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국방예산을 승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피트 헤그세스 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이 튀르키예의 미래 기동 무기체계 기술력을 확인했다. '드론 강국'인 튀르키예의 무인 항공기(UAV) 기술력과 노하우를 국내 방위산업에 접목하고 구현하기 위해 고도화된 기술을 살펴봤다. 석 청장의 이번 방문은 향후 양국의 방산 협력 확대를 위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석종건 방사청장은 최근 방위사업청(DAPA) 관계자들과 함께 튀르키예 이스탄불에 위치한 외즈데미르 바이락타르(Özdemir Bayraktar) 국립기술센터를 방문했다. 석 청장은 기술센터에서 튀르키예의 진보한 무인기 기술력과 성능을 파악했다. 외즈데미르 바이락타르 국립기술센터는 튀르키예 방위산업 기업인 바이카르의 무인기를 개발하는 연구센터이다. 바이카르는 이곳에서 무인기 시스템, 항공 플랫폼, 지상 구성품 및 하위 시스템을 설계·개발한다. 튀르키예 산업기술부의 인증을 받았다. 튀르키예는 2019년 러시아의 방공시스템인 지대지 미사일 S-400을 구매하면서 F-35 전투기 도입을 중지했다. 이후 운영비용이 저렴한 무인기를 운용하도록 변경되면서 드론 전용 항모가 됐다. 튀르키예의 무인기를 생산하는 바이카르는 튀르키예 최대의 방위 산업 수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르투갈 군 장성이 자국 공군의 차기 전투기로 미국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가 유일한 대안이라며 재검토설을 일축했다. 첨단 무기 체계의 '킬스위치(장비를 원격으로 무력화시킬 수 있는 시스템)' 우려가 제기됐음에도 불구하고 F-35 스텔스 전투기 구매 의사를 분명히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포르투갈 공군(FAP) 참모총장 주앙 카르탁소 알베스 장군은 최근 포르투갈이 현재 사용 중인 F-16AM/BM 파이팅 팰컨을 대체하기 위해 록히드 마틴의 F-35A 라이트닝 II 다목적 전투기를 구매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선언했다. 포르투갈 공군은 록히드마틴의 F-16AM/BM 파이팅 팰컨 전투기 후속 기종으로 F-35A 라이트닝 II을 선정, 구매를 추진해왔다. F-35는 록히드마틴이 제조한 전투기로 스텔스 기능과 고급 센서, 멀티태스킹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단일 프랫 앤 휘트니 F135 엔진을 장착하고 있으며, 최고 속도 마하 1.6(1930km/h)을 자랑한다. 최근에 우크라이나에 제공된 F-16이 킬 스위치로 인해 운항이 종료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포르투갈과 캐나다가 F-35 추가 구매 계획을 재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이 미국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이 제작한 컨테이너형 미사일 발사대 도입을 추진한다. 중국 해상 확장에 대응해 방위력을 강화하려는 일본은 해상자위대 함정에 미사일 발사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컨테이너형 미사일 발사대 라이선스를 활용해 생산에 나설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세계적인 해군 전문지 네이벌뉴스(Naval News)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은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MHI)과 Mk70의 라이선스 생산과 관련해 예비 논의 중이다. 예비 논의는 도입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현재 미쓰비시 중공업(MHI)은 Mk41 VLS 생산 라이선스를 보유한 세계 유일의 기업이다. 탑재체 운반 시스템(Payload Delivery System, PDS)으로도 알려진 Mk70은 미국과 외국 군함에서 많이 사용되는 Mk 41 수직 발사 시스템(VLS)을 기반으로 하는 컨테이너형 수직발사시스템이다. 록히드마틴이 개발·제조한 Mk41 VLS를 40피트 컨테이너에 통합한 시스템으로, 다목적 표준 미사일-6(SM-6)과 토마호크 지상 공격 미사일(TLAM)을 포함한 다양한 미사일을 수용할 수 있다. 공중 및 미사일 위협에 맞서 방어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가 노르웨이 극한의 환경에서도 탁월한 성능을 입증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일 비즈니스 소셜미디어 '링크드인(LinkedIn)'에 노르웨이 육군의 노르웨이 수출형 자주포 'K9 비다르(VIDAR)의 훈련 모습을 공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3월 노르웨이 육군의 K9 비다르 운전병 훈련 프로그램을 참관하는 기회를 가졌다"며 "훈련병들이 K9 자주포와 K10 탄약 보급 차량의 기술적 세부 사항과 운용법을 부지런히 익히는 모습은 매우 인상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K9 비다르는 뛰어난 기동성을 자랑하며, 험난한 설원 지형에서도 쉽게 작전을 수행할 수 있었다"고 평가하며 노르웨이군 전력 강화에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K9 자주포의 운전병 훈련 프로그램은 노르웨이 육군 레나기지(Rena Camp)에서 수행됐다. 적설량이 70cm 이상에 달하는 혹독한 환경에서 K9 자주포를 안전하게 운전하는 훈련이다. 레나 기지는 노르웨이 수도 오슬로에서 북쪽으로 140km 떨어진 산악지역에 있다. 이곳에서 노르웨이 주력전차 사업의 K2전차 동계시험평가도 진행됐다. K9 자주포는 이번 노르웨이 훈련으로 우수한 성능을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코발트 황산염 정제소의 확장·재개 건설을 위한 자금을 확보했다. 일렉트라와 황산코발트 공급 계약을 체결한 LG에너지솔루션도 한숨을 돌릴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업체는 전환사채의 60%를 대출기관을 위한 지분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출기관은 주당 0.6달러의 주식을 받게 되며, 나머지 채권은 3년 만기 대출 형태로 전환된다. 이번 거래로 일렉트라의 부채는 기존 4000만 캐나다 달러(약 400억원)에서 2700만 캐나다 달러(약 270억원)로 감소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일렉트라는 3000만 캐나다 달러(약 300억원) 규모의 주식형 자금 조달도 추진한다. 주당 가격은 0.75달러이며, 대출기관은 1000만 캐나다 달러(약 100억원) 규모의 조건부 약정을 제공한다. 여기에는 일렉트라의 운영 자금으로 200만 캐나다 달러(약 200억원) 규모의 브릿지 대출도 포함된다. 이에 대한 대가로 일렉트라는 이사회 인원을 기존 5명에서 7명으로 늘리는 동시에 1명의 지명권을 대출기관에 부여하기로 했다. 일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BYD가 세계 전기차 레이싱 기록을 새롭게 썼다. 전기 슈퍼카 ‘양왕(Yangwang) U9 트랙 에디션’이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리막(Rimac) 네베라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자리에 올랐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BYD 전기 슈퍼카 양왕 U9 트랙 에디션은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파펜부르크(Papenburg) ATP 자동차 테스트 트랙에서 시속 472.4km(293.5마일)을 기록,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로 자리매김했다. 기존 최강자로 꼽히던 리막 네베라의 기록인 431.4km를 넘어선 것이다. U9 트랙 에디션은 4개의 전기모터를 탑재, 총 2960마력(hp)의 출력을 발휘한다. 이는 리막 네베라가 보유한 1989마력 성능을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차량 중량 대비 출력 비율 역시 톤당 1000마력이 넘어 리막(800마력/톤)을 압도한다. BYD는 지난해 양왕 U9 일반형 모델로도 최고 시속 391.9km를 기록했으나, 당시에는 네베라의 431.4km 기록을 넘지 못했다. 하지만 이번 트랙 에디션은 공기 저항을 최소화한 세팅으로 네베라의 벽을 단숨에 돌파했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