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 국영 상업은행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대규모 증자에 나선다. BIDV 2대 주주인 하나은행의 선택에 관심이 쏠린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IDV는 최근 열린 연례주주총회에서 13조6000억 동(약 7400억원) 규모의 자본금 증액 계획안을 제출했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BIDV는 우선 전체 발행 주식의 21%에 해당하는 약 12억주를 올해와 내년 중 추가 발행할 예정이다. 구체적인 발행 시기는 이사회에서 결정하며 베트남 금융당국의 승인이 필요하다. 사모 계획과 관련해 BIDV는 전체 발행 주식의 2.89%에 해당하는 1억6490만주를 공모할 것으로 예상된다. 공모 대상은 증권 전문 투자자와 국내외 투자자, 기존 주주 등이다. 투자자 수는 100명 미만이며 외국인 투자자의 최대 지분 비율은 제한된다. BIDV는 추가 증자를 통해 정관자본금을 70조 동(약 3조8100억원) 이상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BIDV가 대규모 증자를 결정하면서 2대 주주인 하나은행의 선택에도 이목이 집중된다. 하나은행은 베트남 중앙은행(80.99%)에 이어 BIDV 지분 15%를 보유해 2대 주주로 있다. 하나은행은 지난 2019년 말
[더구루=홍성환 기자] OK금융그룹 인도네시아법인의 1분기 순이익이 감소했다. 법인세가 부과된 영향이다. 다만 이자수익을 증가하면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OK뱅크 인도네시아는 올해 1분기 순이익 43억 루피아(약 3억6700만원)를 기록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 줄어든 수치다. 이는 1분기 15억 루피아(약 1억3000만원) 규모 법인세가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앞서 지난해에는 법인세를 납부하지 않았다. 1분기 순이자이익은 1421억 루피아(약 120억원)로 전년 1397억 루피아(약 120억원) 대비 소폭 증가했다. 1분기 말 기준 신용 분배는 8조4400억 루피아(약 7200억원)로 1년 전보다 6% 늘었다. OK금융은 지난 2016년 안다라뱅크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에 진출했고, 2018년 디나르뱅크를 추가로 인수했다. 이듬해 두 은행을 합병해 통합 은행을 공식 출범했다. 한편, 지난해 순이익은 286억5000만 루피아(약 24억4400만원)로 전년 132억1000만 루피아(약 11억2700만원) 대비 117% 늘었다. <본보 2024년 3월 26일자 참고 : 최윤 ‘OK금융’ 종합금융그룹 도약 꿈 성큼…인니법인 실적 개선&
[더구루=정등용 기자] 하나은행이 지난해 인도네시아 사업에서 전년과 비슷한 실적을 거뒀다. 올해는 디지털 서비스 강화에 힘을 쏟는다는 방침이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지난해 4532억 루피아(연결기준 약 381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대비 0.96% 감소한 수치다. 총자산은 전년 대비 0.39% 증가한 46조8839억 루피아(연결기준 약 3조9775억원)를 기록했다. 대출은 전년보다 5.13% 늘어난 34조3240억 루피아(연결기준 약 2조8210억원)를 기록했으며,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0.86%로 업계 평균보다 낮은 수준을 나타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 개선에 힘입어 대손충당금(CKPN) 비용도 전년 대비 82.14% 감소한 5402억 루피아(약 460억원)로 감축했다. 영업이익 대비 영업비용(BOPO) 비율은 81.90%를 기록했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총자본은 11조634억 루피아(연결기준 약 9210억원)를 기록했으며, 자본적정성비율(CAR)과 예대율(LDR)은 각각 28.35%와 128.27%를 나타냈다.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은 올해 디지털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마이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인 KB뱅크가 고정이하여신비율(LAR)을 35% 아래로 낮추는 데 성공했다. 지난 2021년 이후 추진해 온 자산건전성 개선 프로그램이 주효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KB뱅크의 고정이하여신비율은 지난 2022년 말 50%대에서 지난해 말 40%대로 낮아진 데 이어 최근 35% 아래로 하락했다. 지난 2021년에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65%에 육박하기도 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 하락에는 KB뱅크가 지난 2021년부터 추진해 온 자산건전성 개선 프로그램이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KB뱅크는 자산유동화증권(ABS) 제도를 통해 2조8770억 루피아(약 2450억원) 상당의 저등급 자산을 이전했다. 로비 몬동 KB뱅크 부행장은 “긍정적인 실적 성과가 양질의 여신 확대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더욱 밝게 하고 있다”면서 “올해는 도매 부문을 사업 생태계의 앵커로 삼아 중소기업과 소매 부문 성장을 도모하는 데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KB뱅크는 올해 자산건전성 개선 프로그램을 완료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한 국민은행과 KB금융그룹에서 도입한 최신 뱅킹 시스템인 ‘차세대 뱅킹시스
[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과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현지 니켈 채굴기업 하룸 에너지(Harum Energy)에 자금을 지원한다. 하룸 에너지는 이 자금을 자회사의 니켈 사업 강화에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22일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 따르면 하룸 에너지는 최근 현지 금융기관들과 9조8400억 루피아(약 8400억원) 규모의 대출 신용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는 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KB뱅크와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이 참여했다. 이 밖에 △유나이티드 오버시 뱅크 △뱅크 UOB 인도네시아 △OCBC △뱅크 OCBC NISP △DBS 뱅크 △뱅크 DBS 인도네시아 △뱅크 페라마타 △뱅크 CIMB 니아가 △뱅크 CTBC 인도네시아 △뱅크 BTPN 등이 참여기관으로 이름을 올렸다. 하룸 에너지는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 정보 공시를 통해 “이번 계약은 투자 자금 조달의 목적이 있다”며 “자회사인 타니토 하룸 니켈(Tanito Harum Nickel)에 제공된 주주 대출 재융자와 운전 자본, 대출 시설 관련 비용을 처리하는 데 사용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하룸 에너지는 자회사인 타니토 하룸 니켈과 하룸 니켈 페르카사(Harum Nickel
[더구루=정등용 기자] OK금융 인도네시아법인 OK뱅크 인도네시아가 이사진 개편을 진행한다. 기존 멤버였던 왕인효 OK뱅크 인도네시아 전략기획담당 이사가 갑작스럽게 자리에서 물러나면서다. OK뱅크 인도네시아는 17일(현지시간) 왕인효 전략기획담당 이사로부터 사직서를 제출 받았다고 밝혔다. 이에 OK뱅크 인도네시아는 정관에 명시된 규정에 따라 내달 15일 주주총회를 열고 왕 이사 사임에 대한 주주 승인을 구할 방침이다. OK뱅크 인도네시아는 “왕 이사의 사임이 회사 운영과 재무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왕 이사 사임과 관련해 OK금융그룹 관계자는 “일신상의 이유”라며 말을 아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졸업한 왕 이사는 지난 2005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에서 이사로 재직했으며 2016년 OK저축은행에 합류했다. 이후 지난 2020년 OK뱅크 인도네시아 전략기획담당으로 승진했으며, 지난해 5월 OK뱅크 인도네시아 임시 주주총회에서 신용 및 IT 담당 이사로 선임됐다. OK금융은 지난 2018년 인도네시아로 진출해 OK뱅크 인도네시아를 설립했다. 지난해 당기순이익 286억5000만 루피아(약 24억원)를 기록,
[더구루=진유진 기자]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법인 KB뱅크(구 KB부코핀은행) 사외이사가 사임했다. 인도네시아 은행업계의 원로가 KB뱅크 이사회에서 발을 뺀 배경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정보 공시를 통해 이우열 KB뱅크 행장이 16일 사외이사 중 한 명인 유진 키스 갤브레이스(Eugene Keith Galbraith)의 사직서를 접수했다고 밝혔다. 유진 K. 갤브레이스는 8일 사직서를 제출했다. 유진 K. 갤브레이스의 사외이사직은 올해 6월 만기인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사임 이유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으나, 통상적인 업계 상황을 미루어 보았을 때 만기까지 두 달여 남은 터라 일찍 자리에서 물러난 것으로 보인다. 앞서 그는 지난 2021년 11월 임시 주주총회에서 KB뱅크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KB뱅크는 해당 사임안에 관해 관련 규정에 따라 조만간 개최될 회사 주주총회에서 결정할 방침이다. 이우열 행장은 "회사의 비즈니스 활동과 운영은 평소와 같이 정상적으로 계속 운영되고 있다"며 "유진 K. 갤브레이스의 사임이 회사 운영 활동과 법률, 재무 상태, 사업 연속성에 미치는 영향은 없다"고 말했다. 유진 K. 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사 피치가 KB국민은행 인도네시아 법인 KB뱅크에 대한 신용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피치는 17일(현지시간) KB뱅크의 장기 신용등급을 ‘AAA’로,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각각 부여했다. 피치는 “KB뱅크의 등급은 모기업의 지급능력등급(VR)과 연계돼 있다”며 “국민은행의 독자적인 재원으로부터 지원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피치는 국민은행의 독자적인 신용 건전성과 모기업 대비 매우 작은 KB뱅크의 규모를 고려할 때 국민은행의 지원 여력이 높다고 평가했다. 실제 KB뱅크의 총자산은 지난해 9월 말 기준 국민은행 연결자산의 2% 미만에 불과하다. 특히 인도네시아 시장이 한국 시장보다 더 높은 성장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할 경우 국민은행이 KB뱅크를 지원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피치는 인도네시아의 다양한 금융 부문에서 KB금융그룹의 공통 브랜드와 입지를 고려할 때 KB뱅크가 디폴트 할 경우 모기업과 그룹 평판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이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피치는 “매우 취약한 자산건전성과 수익성에 반영된 KB뱅크의 재무적 상황은 모기업의 KB뱅크 지원 성향에 대한 평가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네옴시티 사업비 조달을 위해 채권 발행에 착수했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역점 사업인 네옴 프로젝트의 투자 축소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1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은 리얄화 표시 수쿠크 채권 발행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HSBC와 이슬람권 최대 은행 알라지뱅크, 사우디내셔널뱅크 등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이르면 올해 하반기 발행할 예정으로, 발행 규모는 13억 달러(약 1조8000억원)에 이를 전망이다. 최근 사우디아라비아가 자금 부족 등을 이유로 네옴 프로젝트를 축소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된다. 블룸버그통신은 앞서 이달 초 소식통을 인용,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 의존 경제를 다각화하려는 빈 살만 왕세자의 계획 가운데 가장 큰 프로젝트인 네옴시티의 중기 목표를 축소했다"고 보도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네옴 핵심 프로젝트인 초연결 선형 신도시 '더라인(The Line)'의 인구 목표를 2030년까지 150만명으로 예상했는데, 최근 전망치를 30만명 이하로 낮춰 잡은 것으로 알려졌다. <본보 2024년 4월 8일자 참고 : 사우디 네옴시티 '사막의 신기
[더구루=홍성환 기자] 하나금융그룹이 중국 랑자그룹과 손잡고 설립한 자산운용사 알란AMC(랑자하나자산관리)가 약 2000억원 규모로 헬스케어 펀드를 조성했다. 의료, 건강 소비재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알란AMC는 18일 블루메이지 바이오테크놀로지(화희생물)과 10억 위안(약 1900억원) 규모로 의료 및 건강 소비재 산업 펀드를 조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의료 및 건강 소비재 분야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자 대상은 성장 단계에 있는 기업이다. 양사의 전문성을 결합해 투자 기업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이다. 알란AMC 측은 "블루메이지와 2021년부터 생명공학 회사에 공동으로 투자하며 놀라운 성과를 거뒀다"면서 "새롭게 조성한 펀드를 통해 중국 의료·건강 소비재 산업의 성장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블루메이지는 중국 최대 미용재료 공급업체 가운데 하나로, 중국 내 히알루론산(HA) 필러 시장 2위다. 알란AMC는 하나금융그룹이 중국 자산관리시장 진출을 위해 지난 2017년 중국 패션·뷰티기업 랑시그룹과 함께 설립한 자산운용사다. 하나금융그룹 지분율은 22%다. 지난해 이 회사와 관련된 하나금융그룹의 지분법
[더구루=정등용 기자] 우리은행 베트남 법인이 증자를 단행하며 자본금 확충에 성공했다. 우리은행의 동남아 사업 강화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 베트남 법인은 16일(현지시간) 2억 달러(약 2800억원) 규모의 증자를 통해 전체 자본금이 12조5000억 동(약 6900억원)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기존 7조7000억 동(약 4200억원)에서 60% 이상 늘어난 수준이다. 앞서 우리은행은 올해 상반기 중 동남아 3대 법인(인도네시아·베트남·캄보디아)에 약 5억 달러(약 7000억원)의 증자를 추진한다고 밝힌 바 있다. 증자 규모는 베트남과 인도네시아에 각각 2억 달러, 캄보디아에 1억 달러(약 1400억원) 수준이다. 이를 통해 우리은행은 베트남 법인을 외국계 리딩뱅크로, 인도네시아 법인을 한국계 1위에서 현지 톱10 은행으로, 캄보디아 법인을 현지 톱5 은행으로 성장시킨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우리은행 동남아 3대 법인의 실적은 부진했다. 순이익 측면에서 인도네시아 법인은 602억원, 베트남 법인은 596억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9%, 5.6% 감소했다. 캄보디아 법인은 전년 대비 57.9% 줄어든 252억원의 순이익을 내는 데 그쳤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수출입은행이 브라질 최대 은행 브라데스코(Bradesco) 은행과 전대금융 한도설정 계약을 체결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수출입은행은 최근 로베르토 데 제주스 패리스 브라데스코 은행 부행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대금융 한도설정을 2억 달러(약 2800억원)로 체결하는 행사를 진행했다. 전대금융은 수출입은행이 해외 현지 은행과 신용 한도(Credit line)를 설정하면, 현지 은행이 신용 한도 내에서 현지 고객 앞으로 필요한 자금을 대출해 주는 간접금융상품이다. 수출입은행이 대출한 금액을 다시 빌려주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수출입은행이 자금을 해외 현지 은행에 빌려주면, 현지 은행에서 바이어에게 한국 물품을 수입하는 조건으로 돈을 다시 빌려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 기업이 수출을 하거나 해외에 투자를 할 경우 필요한 자금은 해당 기업의 신용이나 담보를 기반으로 수출입은행으로부터 직접 대출을 받는다. 반면 전대금융의 경우 전대은행이 현지 기업의 신용이나 담보를 기반으로 대출을 해준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