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기업 비피엠지(BPMG)가 내달 부산에서 열리는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23에 참가한다고 31일 밝혔다. 비피엠지는 웹3 게임 플랫폼 젬허브(GemHUB)를 소개하고 글로벌 블록체인 게임 시장 공략을 함께 할 파트너사를 모집한다. 또한 글로벌 블록체인 기업 에버스케일과 다음달 16일에 정식 론칭하는 새로운 게임 서비스 젬피온(GemPION) 알리기에 나선다. 비피엠지의 부스는 벡스코 제2 전시장 B2B관에 설치된다. 젬피온은 대전에 특화된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젬허브에 온보딩된 게임 이용자들끼리 토너먼트를 즐기거나 각종 미션에 참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에 게임 이용자들이 단순히 게임만 즐기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미션에 참여하고 서로 겨루면서 게임에 대한 몰입도가 크게 증가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비피엠지는 젬허브, 젬피온 외에도 지스타 일정에 맞춰 신작 △히어로즈9 with NFT △쥬얼던전 퀘스트 △마야 크립텍스 △팜레이드 미션 등 4개 게임의 온보딩에 들어갈 예정이다. 비피엠지는 신작 게임에도 순차적으로 젬피온을 적용시킨다는 계획이다. 차지훈 비피엠지 대표는 "젬허브는 게임사의 웹3 게임에 필요한
◇위메이드 위메이드와 위믹스 재단이 글로벌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Binance)’가 개최하는 블록체인 컨퍼런스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Binance Blockchain Week)’에 스폰서 자격으로 참가한다. 위메이드와 위믹스 재단은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에 참가해 위믹스3.0(WEMIX3.0) 생태계를 알린다. 또 글로벌 블록체인 리더들과 함께 기술 혁신을 교류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또한, 바이낸스 등 글로벌 프로젝트들과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에도 적극 나선다. 다양한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위믹스3.0과 옴니체인 이니셔티브 ‘우나기(unagi)’ 생태계를 확장할 계획이다. 한편, 바이낸스 블록체인 위크는 블록체인 산업을 이끄는 전 세계 유명 인사들이 모여 웹3(Web3) 기술의 비전을 공유하는 바이낸스의 대표 이벤트다. 올해는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11월 8일(수)부터 이틀간 열린다. 알렉산드레 드레이푸스 칠리즈 대표, 세바스티앙 보르제 더 샌드박스 공동 창립자 등이 연사로 참여해 메타버스, 웹3 등 다양한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그램퍼스 그램퍼스 블록체인 전문 자회사 그램퍼스 씨더블유씨(CWC)는 24일, 2023년 10월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네시아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를 감독할 위원회를 창설할 준비를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결정에 많은 투자자, 암호화폐 실물 거래자들은 환영의 입장을 내놓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상품선물거래감독청(CoFTRA)는 암호화폐 거래 감독을 위해 '암호화폐 자산 위원회'를 조직하고 있다. 상품선물거래감독청 측은 "암호화폐 자산 생태계의 거버넌스를 개선하기 위해 암호화폐 자산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암호화폐 자산 위원회는 암호화폐 자산 거래 활동 및 개발과 관련해 고려 사항을 제공하는 기관이 된다. 이를 위해 암호화폐 자산 위원회에는 암호화폐 거래와 관련된 대부분의 이해당사자들이 집결하게 된다. 암호화폐 자산 위원회에는 상품선물거래감독청을 비롯한 관련 부처 및 기관, 선물 거래소, 선물 청산소, 협회, 학계, 실무자, 커뮤니티 등이 참여할 예정이다. 한편 인도네시아 정부는 암호화폐를 상품이 아닌 증권으로 규정하고 지난 1월 규제 부처를 CoFTRA에서 금융감독청(OJK)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률을 통과시켰다. 해당 작업은 2년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지갑 해치랩스가 일본 블록체인 기업 T2WEB과 손잡았다. 해치랩스는 페이스월렛의 일본 내 확대에 속도를 낸다. T2WEB은 26일 해치랩스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포괄적인 협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첫 협업으로 T2WEB가 개발하고 있는 '체인 콜로세움 피닉스'에 페이스월렛를 적용하기로 했다. T2WEB는 일본의 웹3 게임 블록체인 오아시스를 기반으로 체인 콜로세움 피닉스와 리.몬스터를 개발하고 있다. T2WEB은 별도로 밝히지 않았지만 리.몬스터에도 페이스월렛 적용이 기대된다. 오아시스는 2022년 2월에 발족했으며 일본 게임과 IP(지식재산)를 활용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오아시스는 블록체인 게임이 현재 거래속도, 수수료, 보안 등 여러 진입장벽이 되는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 문제를 해결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오아시스 프로젝트에는 반다이 남코를 비롯해 세가, 유비소프트, 넷마블 등 국내외 대형 게임사들이 초기 검증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DMM닷컴 등의 투자도 유치했다. T2WEB은 페이스월렛 적용으로 한국, 일본 등 아시아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봤다. 페이스월렛은 넥슨, 넷마블 등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블록체인 리플과 웹3 금융 플랫폼 업홀드가 국경 간 거래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손잡았다. 리플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블록체인의 위치를 확고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리플은 24일(현지시간) 국경 간 암호화폐 결제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업홀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했다고 밝혔다. 리플과 손잡은 업홀드는 184개 이상의 국가에서 운영되고 200개 이상의 암호화폐 및 법정화폐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하고 있다. 업홀드는 이런 높은 유동성에 대한 접근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디지털 자산 간의 원활한 전환을 촉진하는데 많은 경험을 가지고 있다. 리플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업홀드의 암호화폐 유동성 자원을 리플의 국경 간 결제 인프라에 통합한다는 목표다. 이를통해 효율적인 국경 간 결제를 구현하기 위한 유동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리플과 업홀드의 파트너십을 통해 암호화폐 시장에 더 많은 유동성이 공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효율적인 국경 간 거래가 가능해지면 전세계 기업, 금융기관의 접근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리플 관계자는 "업홀드와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통해 우리는 기본 인프라를 강화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블록체인 컨설팅 기업 디스프레드가 차세대 하드웨어 지갑 '라이더(Ryder)와 손잡고 디지털 자산 자체 수탁((self-custody) 문화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블랙록 BTC(비트코인) ETF(상장지수펀드)를 승인할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최고 5만6000달러(약 7600만원)까지 치솟을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암호화폐 서비스 제공업체 매트릭스포트(Matrixport)는 23일 분석 보고서를 통해 블랙록 BTC ETF가 미국 SEC의 승인을 받을 경우 비트코인 가격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조명했다. 매트릭스포트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상정했다. 우선 보수적인 추정치의 경우 비트코인 가격이 4만2000달러(약 5700만원)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비트코인 투자 수단에 대한 시장의 강력한 수요 증가와 함께 SEC 승인이 촉발할 수 있는 긍정적인 정서가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보다 낙관적인 시나리오도 있다. 매트릭스포트는 블랙록 BTC ETF 승인으로 인해 시장에 500억 달러(약 67조6500억원)의 자금이 유입된다면 비트코인 가격은 보다 큰 폭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 경우 비트코인 가격은 5만6000달러까지 상승할 것이란 전망이다. 비트코인은 보관과 이동이 용이해 달러나 금을 대신할 수 있는 안전 자산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러시아·우크
◇인피닛블록 인피닛블록이 법인을 위한 ‘커스터디 기반 이더리움 스테이킹 서비스’를 오픈하였다고 16일 밝혔다. 스테이킹(Staking)이란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성을 활용한 서비스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 가상자산을 동결하고 보안, 검증에 기여하고 보상을 받는 행위를 뜻한다. 스테이킹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분산을 향상시켜 산업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글로벌 대표 가상자산인 이더리움(ETH)은 스테이킹된 자산이 전세계 공급량의 20% 이상 차지할 정도로 활성화되어 있다. 하지만 일반고객들은 기술적 난관으로 인해 여전히 스테이킹에 대한 참여도가 낮은 편이다. 국내에서는 대형 거래소들이 개인 고객을 대상으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아직 법인 전용서비스는 존재하지 않는다. 인피닛블록은 자체 커스터디 플랫폼, ‘카본(KARBON)’을 통해 법인이 보유한 이더리움 수탁을 전제로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이더리움을 소유한 법인은 수탁된 자산을 외부 지갑주소로 전혀 유출하지 않고 스테이킹 기간동안 보상을 얻게 되어 높은 안전성과 편의성을 얻을 수 있다. 이용 법인은 연 4% 내외의 스테이킹 보상율을 사전에 약정된 비율만큼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최초로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인정한 엘살바도르가 투자 활성화 목적으로 새로운 암호화폐 거래법을 만들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의 전기차 기업 테슬라가 비트코인 보유 현황을 공개했다. 테슬라가 큰 관심을 보였을때보다는 보유량이 줄었지만 여전히 1만개 가까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어 그 이유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업비트 싱가포르가 가상자산 결제기관 라이선스 승인 받았다. 업비트 싱가포르는 사업을 본격화하며 확장에 나선다. 업비트 싱가포르는 16일 싱가포르 통화청(MAS)로 부터 주요 결제 기관(MPI) 라이선스를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2018년 설립 이후 약 5년여만의 결실이다. 업비트 싱가포르는 MPI 라이선스를 획득함에 따라 싱가포르 결제 서비스법에 따라 디지털 결제 토큰(DPT)을 통한 디지털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정식 라이선스를 승인받게 되면서 업비트APAC에서 운영하는 규제 대상 디지털 자산 거래소 그룹에 합류하게 됐다. 업비트 싱가포르는 기관 투자자들의 투자 유치를 최우선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투자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업비트 싱가포르 관계자는 "우리는 2018년부터 아시아 최고의 금융 허브인 싱가포르에서 디지털 자산 사업을 위한 기반을 구축해왔다"며 "이번 MAS의 승인은 디지털 자산 혁신의 최전선에 있는 싱가포르에서 우리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싱가포르는 DP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식 라이선스를 빠르게 발급,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네오핀 글로벌 씨디파이(CeDeFi) 프로토콜 네오핀은 글로벌 리딩 게임 기업 미투온 그룹의 블록체인 메인넷 미버스와 글로벌 블록체인 생태계 확장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네오핀 프로토콜과 블록체인 메인넷 미버스(MEVerse)의 다양한 플랫폼을 연동하기로 협의했다. 고객확인제도(KYC)와 자금세탁방지(AML)을 완료한 검증된 글로벌 사용자를 유치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이와 더불어 네오핀이 보유한 글로벌 사용자 커뮤니티에 미버스를 소개하는 동시에 양사의 글로벌 파트너사 네트워킹 상호 지원, 블록체인 핵심 역량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 고도화와 생태계 확장 등에 협력할 계획이다. 블록체인 메인넷 미버스는 블록체인 캐주얼 게임 플랫폼 ‘미버스 게임즈(MEVerse GameZ)’, 대체불가토큰(NFT) 마켓플레이스, 미버스 덱스(DEX), 스캔, 브릿지 등 다양한 블록체인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첫 웹3 게임인 ‘포켓배틀스 NFT 워’를 출시했고 글로벌 P2E 랭킹 사이트인 플레이투언닷넷에서 트렌딩 1위를 차지할 만큼 관심을 모았다. 미버스는 자체 메인넷 생태계와 크로스체인 기술을 통해 다양한 메인넷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엑스박스(Xbox)가 에이수스(ASUS)와 협력해 새로운 휴대용 콘솔을 내놓으면서 하드웨어 전략이 변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등장했다. MS는 자체 콘솔도 개발하고 있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일각에서는 전략 자체가 잘못됐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