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강구영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사장이 폴란드향 경공격기 ‘FA-50’의 수출 지연 최소화를 약속했다. 폴란드 정계를 중심으로 전투 성능과 인도 일정 등을 문제 삼으며 FA-50 무용론이 불거지자 현지 부정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23일 폴란드 일간지 제치포스폴리타(Rzeczpospolita)에 따르면 강 사장은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FA-50PL 인도 일정과 관련해 "9개월 지연된다는 정보가 있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며, 한 달 정도 지연될 것"이라며 "우리는 가능한 한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사장의 답변은 체자리 톰치크 폴란드 국방차관의 FA-50PL 인도 지연설(說)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톰치크 국방차관은 지난달 의회에서 FA-50PL의 인도가 9개월 간 지연될 가능성을 제기하며 KAI와의 계약 건에 대해 감사를 요청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바 있다. 강 사장은 △장비 불량으로 가동률 저하 △전투용 부적합 △무기 미탑재 등 FA-50PL을 둘러싼 논란들에 대해서도 답했다. 강 사장이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해명에 나선 것은 작년 12월 폴란드 신정부가 전 정권의 정책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스토니아가 미국 록히드마틴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 인도 지연으로 인한 대안을 모색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연장로켓포 '천무'가 후보로 꼽힌다. K9 자주포가 쏘아올린 한화와 에스토니아의 방산 협력이 천무로 이어지는 분위기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폴란드 정부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으로부터 공급받은 경공격기 'FA-50'에 장착할 탄약 조달 문제로 곤혹스럽다. 입찰에 참여하는 업체가 없어 공고가 번번이 무산되면서다. 22일 폴란드 군비청(Armament Agency)에 따르면 군비청은 FA-50용 20x120mm 탄약 납품 건에 대한 절차 무효를 공지했다. 신청서 제출 마감일이 지나도록 공급을 제안하는 기업이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군비청은 지난 4월30일 'FA-50 항공기용 20mm 탄약 납품'이라는 제목의 주문서를 고시했다. 고폭소이탄(HEI) M56A3과 연습탄(TP) M55A2을 각각 9만 개 공급할 기업을 물색했다. 특히 한국 탄약 생산업체로부터 공급받기를 원했다. 하지만 마감일인 지난 6월5일까지 제안서가 들어오지 않았다는 게 군비청의 설명이다. 폴란드 정부가 한국산 탄약 조달을 시도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군비청은 작년 3월에도 고폭소이탄 7만2000개를 납품 받기 위한 1차 입찰을 진행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당시에도 제안서가 들어오지 않아 입찰이 무효화됐다. 국내에서는 풍산에서 군비청이 원하는 고폭소이탄 M56A3과 연습탄 M55A2 등 2종을 생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폴란드 제2 군용항공공장(Wojskowe Zakłady Lotnicze nr 2, 이하 WZL-2)실사에 나섰다. 항공기 정비·수리·분해조립(MRO) 사업 역량을 살피고 KAI와 FA-50 경공격기 후속 지원 협력을 점검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방산 시장의 '큰 손'으로 떠오른 폴란드와 파트너십을 다진다. 21일 WZL-2에 따르면 조현기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이 이끄는 한국 대표단은 지난 18일(현지시간) 비드고슈치에 위치한 WZL-2를 방문했다. 조우래 KAI 고정익사업 수출그룹장과 이부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유럽법인장이 동행했다. 다리우스 소콜스키(Dariusz Sokólski) WZL-2 대표의 안내를 받아 시설을 둘러보고 항공기 MRO 사업 현황을 확인했다. 한국 기업들과의 방산 협력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KAI는 WZL-2와 작년 말 FA-50 후속 지원 프로그램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올해 6월 협업 합의서(Teaming Agreement)를 맺어 협력을 구체화했다. 폴란드 공군이 항공기 수명주기(30~40년) 동안 안정적으로 운용하도록 보급과 정비, 기술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자율주행 전문 소프트웨어 회사 '블루스페이스(BlueSpace.ai)'와 손잡고 차세대 무기 체계 개발에 나선다. 첨단 기술을 접목해 미 국방부(DoD) 수주를 적극 공략하는 한편 글로벌 방산 업체로 한 단계 더 도약한다. 21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따르면 미국 생산법인(한화디펜스 USA)은 지난 14일(현지시간) 미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미 육군협회(AUSA) 2024 방산전시회'에서 블루스페이스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제품에 블루스페이스의 인공지능(AI) 기반 고급 자율주행 솔루션을 통합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블루스페이스와의 협력을 통해 군수품의 치명성과 민첩성 등을 강화, 고객이 전쟁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가장 먼저 다목적무인차량, 병전투차량 등에 블루스페이스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가 적용될 가능성이 높다. 블루스페이스는 지난 2019년 한국계 미국인 크리스틴 문(한국명 홍수연) 사장이 미 자율주행 스타트업에서 동고동락했던 동료들과 함께 창업한 회사다. 방위, 광산, 철도 산업 분야 고객을 위한 차세대 오프로드
[더구루=홍성일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9 자주포를 운용하는 에스토니아와 폴란드가 합동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으로 K9 자주포의 상호 운용성이 입증됐다는 평가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에스토니아, 폴란드 포병대는 최근 에크툴리(Äkktuli) 2024 훈련을 개최하고 K-9 자주포를 활용한 합동 사격 훈련을 실시했다. 이번 훈련에는 에스토니아 1월 화력포대, 폴란드 1포병여단이 참여했다. 에스토니아와 폴란드 군은 이번 훈련을 통해 간접 사격 기술을 연마하면서 공동 방위를 위한 준비태세를 강화했다. 이번 훈련은 폴란드가 K-9 자주포를 도입하면서 진행됐다. 폴란드는 2022년 7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K-9 자주포 672문 기본계약(Framework)을 체결했다. 첫 인도 물량 24문은 그해 12월 폴란드에 도착했다. 에스토니아는 핀란드 K9 자주포 도입 과정에 참여했다. 에스토니아는 2017년 2월 중고 K-9 자주포 12문 구매 의사를 밝혔으며 최종 계약은 2018년 6월 진행됐다. 2020년 10월 최초 물량이 인도됐다. 양 국은 이번 훈련을 통해 K-9 자주포를 통한 포병대 간의 시너지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폴란드 군은 이번 훈련으로 북대서
[더구루=홍성일 기자] 루마니아를 방문한 성일 국방부 자원관리실장이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K2 전차와 레드백 장갑차의 루마니아 현지 생산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가 현지 유력 방송에 직접 출연해 방산 세일즈에 나서면서 루마니아의 선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루마니아 인터넷매체 DC뉴스 TV는 14일(현지시간) 임갑수 주루마니아 대사와 성일 국방부 자원관리실장과의 인터뷰를 공개했다. 이번 인터뷰는 지난 10일 루마니아 부쿠레슈티에서 개최된 '한국-루마니아 국방·방산 협력 콘퍼런스' 주관을 위해 성일 실장이 루마니아를 방문하면서 진행됐다. 이날 인터뷰에서 임갑수 대사와 성일 실장은 한국 방산 무기 도입의 장점을 소개하고 도입시 루마니아 방산 산업의 성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미 도입을 확정한 K9 자주포에 이어 K2 전차와 레드백 장갑차에 대해서 상세하게 소개했다. 루마니아는 현재 운용 중인 노후 전차 TR-85M1 교체하기 위해 탱크 300여대 구매를 추진하고 있다. 작년 11월 미국과 M1A2 에이브람스 전차 54대와 16대의 구난전차(ARV)를 공급받는 25억3000만 달러(약 3조45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했다. 남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통신보안업체 '울트라 I&C(Ultra Intelligence & Communications)'와 손을 잡았다. 다연장로켓(MLRS) 천무에 울트라 I&C의 솔루션을 더해 전장 관리 시스템을 강화, 글로벌 방위 산업 리더십을 공고히 한다. 울트라 I&C는 미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미 육군협회(AUSA) 2024 방산전시회'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K-239 천무 다연장로켓 발사대와 울트라 I&C의 지휘통제(C2) 아키텍처 ‘ADSI’를 통합한다. 양측은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상호 운용 가능하고 네트워크화된 C2 아키텍처를 만들어 미 국방부(DoD)의 합동전영역지휘통제(Combined Joint All-Domain Command and Control, CJADC2) 전략을 지원사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CJADC2는 미 국방부가 지난 2021년부터 추진 중인 사업이다. 유·무인 복합 전투 영역 체계와 육·해·공군과 해병대, 우주사령부 등의 지휘통제 연결망을 합치고, 이를 핵심 동
[더구루=정등용 기자] 폴란드가 치누크(CH-47) 헬기 도입을 추진한다. 최근 자연재해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페루 국영 시마(SIMA)가 STX의 지원으로 현지 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해상 경비함 2척을 공개했다. STX와의 협력이 페루 조선 산업 발전에 미칠 긍정적인 영향에 주목했다. 해군 현대화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페루가 한국과 협력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K-조선'의 수혜가 전망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미국 육군 자주포 대규모 수주 발판을 마련했다. 기술력을 앞세워 경쟁사를 제치고 최종 사업권을 확보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미 육군은 14일(현지시간) 자주포 성능 시연을 위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미국 생산법인(한화디펜스 USA)를 비롯한 글로벌 방산 기업 5곳과 약 400만 달러(약 54억원) 규모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오는 11월부터 실증 테스트를 시작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외 △미국 아메리칸 라인메탈 비히클스(American Rheinmetall Vehicles) △스웨덴 보포르스(BAE BOFORS) △독일 GDELS(General Dynamics Land Systems) △이스라엘 엘빗 시스템즈(Elbit Systems) 등 4개사가 후보에 포함됐다. 미 육군은 연내 모든 공급업체의 성능 시연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결과를 토대로 적합한 솔루션이 있는지 확인하고, 후속 경쟁 평가를 실시해 향후 생산 계약 파트너사를 결정한다. 미국은 육군의 핵심 무기 체계인 자주포를 현대화하는 '자주포 현대화(SPH-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과거 사거리 연장 자주포 사업(Extended Range Cannon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호주향 'K9 자주포'인 AS9 '헌츠맨(Huntsman)' 시제품이 포착됐다. 연말 호주 공장 가동을 앞두고 한국에서 테스트에 분주한 모양새다. 적기 납품 경쟁력을 입증해 글로벌 '베스트셀링' 자주포인 K9 판매를 확대한다. 14일 디펜스블로그와 소셜미디어 '엑스(X)' 등에 따르면 한국 방산 소식을 다루는 '하쿠 메이슨(ハクMason)'은 지난 12일 'X'에 AS9 헌츠맨 시제품을 실은 차량 사진을 올렸다. 해당 사진은 충남 태안군 연포해수욕장 인근에서 찍혔다. AS9 헌츠맨은 K9을 호주 육군의 요구에 맞춰 개량한 모델이다. K9는 지난 2020년 9월 호주 육군 현대화 프로젝트 중 하나인 'LAND 8116' 자주포 도입 사업의 단독 후보 기종으로 선정됐다. 최종 협상 끝에 이듬해 말 9320억원 규모의 공급 계약이 체결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2027년까지 호주 육군에 K9 자주포 30문과 K10 탄약운반장갑차 15대를 공급한다. 무기 생산을 위해 국내 방산 기업 최초로 해외 생산기지도 지었다. 지난 8월 호주 빅토리아주 절롱시에서 한화 장갑차 생산센터(H-ACE)를 완공했다. 이르면 연말부터 양산할 예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가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IFV)로 독일 라인메탈의 링스를 선정했다는 보도를 정정했다. 라인메탈의 장밋빛 전망과는 뚜렷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면서 사업자 선정이 아직 열려있다고 분명히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도 유력 후보로 검토하며 막판까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국가전략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Rapidus)가 3년 내 1.4나노미터(nm, 이하 나노) 공정 반도체 양산을 목표로 생산시설을 구축한다. 라피더스는 1.4나노 반도체로 초미세 공정 경쟁에 본격 참여해 TSMC와 삼성전자 등 파운드리 선두 기업의 경쟁 구도에 변화를 예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