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휴젤이 10번째 '상장폐지설'에 어떤 입장을 밝힐지 주목된다. 앞선 조회공시에 긍정도 부정도 여전히 하지 않았다. 다만 이번 공식 입장에 따라 올해 들어 줄곧 오름세를 보인 주가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휴젤의 "CBC그룹, 휴젤 상장폐지 고려"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일이 오는 8일로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이번이 어느덧 10번째다. 상장폐지 논란은 지난 2022년 7월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휴젤의 최대주주인 싱가포르 사모펀드 CBC그룹이 휴젤을 상장폐지하고 홍콩에 재상장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라는 블룸버그 통신 보도가 나오면서 시작됐다. 휴젤의 지분 구조는 최대주주인 CBC그룹 주축의 GS·IMM 연합의 지분은 43.24%이며, 소액주주 비율은 44.54%에 이른다. 휴젤 홍콩 증시 재상장 검토설은 휴젤의 글로벌 시장 확장 전략이라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휴젤은 국내 보툴리눔 톡신 업계 1위 기업으로 글로벌 시장 제패만 남겨둔 상태다. 앞서 지난 8월 관련 공시에 확정된 사항이 없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최대주주로부터 '당사의 지배구조 등과 관련해 다양한 전략적 방안을 검토 중에 있으나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은 없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SK바이오사이언스가 투자한 미국 바이오기업 노바백스(Novavax)가 영국 제약업체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출신 업계 베테랑을 영입하고 리더십을 강화했다. 의약품 개발 및 제조·글로벌 공급 분야 전문가로 통하는 인사를 전진배치하고 해외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하기 위한 결정으로 풀이된다. SK바이오사이언스는 지난해 8월 약 1102억원을 투자해 노바백스 지분 6.5%(650만주)를 확보했다.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보툴리눔 톡신 전문업체 앨러간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자사 보툴리눔 톡신 제품 '보톡스 코스메틱스'(BOTOX Cosmetic)에 대한 추가 적응증 승인을 받았다. 앨러간이 현지 시장 장악력을 높일 수 있는 길이 열린 셈이다. 업계에서는 미국 시장이 활성화되면서 국내 기업 현지 사업 확대의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 and Company)가 글로벌 헤지펀드가 주목하는 제약사 1위로 선정됐다. 일라이릴리가 당뇨병·비만치료제 덕분에 글로벌 매출이 증가하면서 덕분이다. 일라이릴리에 이어 미국 MSD·화이자(Pfizer)가 2위·3위에 올랐다.
[더구루=이연춘 기자] 메디톡스가 몰도바 파트너사 로피레나(Rofilena SRL, 대표 Elena Triboi Cebotari)와 현지 전문가 초청 행사를 진행했다.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사흘간 진행된 파트너사 초청 행사는 협력사와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현지 사업 전략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6일 메디톡스에 따르면 로피레나 관계자는 2일과 3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코리아더마 2024’에 방문해 메디톡스 전시 부스를 관람하고, 히알루론산 필러 ‘뉴라미스’와 계열사 뉴메코가 개발한 톡신 제제 ‘뉴럭스’를 활용한 강연을 참관했다. 4일에는 최첨단 생산 설비를 갖춘 메디톡스 오송 2공장과 3공장을 둘러보고 현지 맞춤형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시간도 가졌다. 메디톡스 관계자는 “몰도바 미용시장의 성장세와 K-뷰티의 인기에 힘입어 올해 현지 매출은 목표치의 25%를 상회하는 역대 최대를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뉴럭스’ 현지 등록이 목표대로 내년 말 달성되면 시장점유율 확대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몰도바를 비롯한 해외 현지 파트너사와 활발한 교류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지속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메디톡스는 로피레나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벌 콜레라 백신 제조사인 유바이오로직스(eubiologics)에 이목이 쏠린다. 지역 분쟁,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전세계에서 콜레라가 확산되는 가운데 비축량 마저 고갈되고 있는 상황이다. 유바이오로직스가 글로벌 시장에 콜레라 백신을 공급하는 유일한 기업이란 점에서 관심이 집중되는 모양새다. 유바이오로직스는 콜레라 백신 신제품 출시, 생산 라인 증설을 통해 글로벌 콜레라 백신 수요 대응에 주력하고 있다. 5일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지난해 콜레라가 발생한 국가는 45개국으로 3년 연속 증가세다. 지난 2021년은 35개국, 지난 2022년의 경우 44개국에서 콜레라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지난해 콜레라로 인한 전세계 사망자가 전년 대비 71% 4000명을 넘어서는 등 심각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글로벌 경구용 콜레라 백신 비축량은 지난달 중순 고갈된 상태다. 아프리카와 중동을 중심으로 콜레라가 퍼지면서 늘어난 콜레라 백신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생산된 콜레라 백신이 바로 접종 현장에 전달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도 지난달 23일까지 보고된 전세계 콜레라 감염자 숫자가 43만명, 사망자 숫자가 3433건에 달
[더구루=김형수 기자] 대웅제약 미국 파트너기업 에볼루스(Evolus)가 히알루론산(HA) 필러 브랜드 에스팀(Estyme·미국명 에볼리제) 제품에 대한 유럽 CE MDR 인증을 획득했다. 에볼루스가 보툴리눔 톡신에 이어 HA 필러를 내세워 글로벌 에스테틱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할 수 있게 되면서 대웅제약에도 호재로 작용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에스피씨가 미국 제약사 리포신(Lipocine)과 손잡고 국내 남성호르몬제 독점 판매에 나선다. 에스피씨는 비뇨의학과 시장 매출 확대를 위해 역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1일 리포신에 따르면 에스피씨와 테스토스테론 대체요법 경구제(먹는약) '트란도'(Tlando)의 국내 개발과 판매를 위한 독점 라이선스-인(License-In·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을 통해 에스피씨는 국내 트란도에 대한 개발·제조·판매 및 유통을 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확보하게 됐다. 트란도는 지난 2022년 3월 28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허가받았다. 트란도는 성선 기능 저하증 등 비뇨기 질환에 쓰인다. 리포신이 개발했으며 안타레스 파마(Antares Pharma)가 지난 2021년부터 북미 개발 및 판매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성선기능저하증은 테스토스테론을 충분히 생성하지 못하는 질환이다. 남성호르몬 결핍증후군(TDS)으로도 불린다. 테스토스테론 수치가 떨어지면 2차 성징 퇴행, 체성분 변화, 무기력, 성욕 감소, 발기부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는 성선기능저하증 치료를 위한 주사제 제품이 있지만 주사 부위 통증 등 부작
[더구루=김형수 기자] SK그룹이 최대주주로 있는 베트남 제약사 이멕스팜(Imexpharm)이 현지에 신규 공장을 짓는다생산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의약품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SK는 이멕스팜 지분 53%를 소유한 최대주주다. SK 동남아시아 투자법인 SK인베스트먼트비나Ⅲ(SK Investment Vina Ⅲ)는 이멕스팜에 대한 추가 투자를 통해 총 지분 65%를 확보하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이멕스팜은 베트남 남부 동탑(Dong Thap)성에 2만5000㎡ 규모의 신규 의약품 공장을 건설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깟칸 제약공장 단지 프로젝트'(Cat Khanh Pharmaceutical Factory Complex Project)에 착수했다. 이멕스팜이 이번 프로젝트에 투입할 자금 규모는 총 1조4950억동(약 816억2700만원)에 달한다. 이달 초 이멕스팜 이사회가 보유 주식 매각, 미사용 부동산 자산 청산을 승인하며 자금 확보에 나섰다.<본보 2024년 10월 2일 참고 'SK 최대주주' 베트남 이맥스팜, 신규 공장 추진…자금 확보 총력> 이멕스팜은 △제품 포트폴리오 다양화 △자국 의약품 수요
[더구루=한아름 기자]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영국에서 황반변성 치료제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의 특허 무효소송을 제기했다. 앞서 아일리아 오리지널 개발사 리제네론(Regeneron)과 미국에서의 분쟁에 이어 영국으로 법적 대결이 시작됐다. 30일 삼성바이오에피스에 따르면 영국에서 리제네론에게 아일리아 특허 무효소송을 제기했다. 리제네론이 보유하고 있는 2개의 특허 출원 건에 대해 새롭거나 독창적이지 않다고 주장한 것이다 관련 업계에선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영국 소송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특허 분쟁은 기술적인 전문성이 요구돼 다른 나라의 법원 판결을 참고하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앞서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북부지방법원은 지난 6월 리제네론이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상대로 제기한 가처분 신청을 인용했다. 당시 토마스 클리 판사는 삼성바이오에피스 오퓨비즈(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제품명)의 미국 출시에 대한 예비 금지 명령을 내렸다. 미국 법원의 가처분 신청 인용으로 인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오퓨비즈 미국 출시 계획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지난 5월 오퓨비즈로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았음에도 출시 일정이 불투명하다. 미국 사례를 봤을 때 영국에서도 출시 지연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AI 기반 신약개발 분야 스타트업 아이엠빅 테라퓨틱스(Iambic Therapeutics)가 획기적인 신약 개발 모델을 공개했다. 아이엠빅 테라퓨틱스에 투자한 국내 사이테크(Sci-tech) 기업 그래디언트에도 호재가 될 전망이다. 아이엠빅 테라퓨틱스는 29일(현지시간) 새로운 신약 개발 모델인 ‘인챈트(Enchant)’를 공개했다. 아이엠빅 테라퓨틱스는 인챈트에 대해 “신약 개발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혁신적인 인공지능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인챈트는 인체 실험 전에 약물 실험실 테스트에서 도출된 대량의 전임상 데이터로 학습됐다. 또한 개발 초기 단계에서 특정 약물의 성능을 예측하도록 설계됐다. 인챈트는 연구 과정에서 특정 약물이 인체에 흡수되는 능력을 예측하는 데 있어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아이엠빅 테라퓨틱스의 교차 검증에서도 0.74의 예측 정확도 점수를 보였는데, 이는 이전 모델의 예측 정확도 점수인 0.58보다 높은 수치다. 프레드 맨비 아이엠빅 테라퓨틱스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연구자들이 인챈트를 통해 초기 단계에서 약물의 성공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일부 의약품 개발에 필요한 투자를
[더구루=김형수 기자] 콜마비앤에이치(콜마BNH)가 한국 대표 K건강기능식품으로 꼽히는 헤모힘(HemoHim) 덕에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헤모힘 글로벌 매출 증대에 힘입어 해외 실적이 개선돼서다. 콜마비앤에이치는 해외 시장 다변화를 추진하며 글로벌 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차별화된 상품성으로 헤모힘은 글로벌 시장에서 건기식계의 메가히트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콜마비앤에이치가 지난 2분기 올린 매출은 16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매출의 48.5%를 차지하는 해외 매출이 3.9% 증가한 805억원을 기록하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글로벌 베스트셀러 헤모힘 판매 확대에 힘입어 늘어난 콜마비앤에이치 건강기능식품 수출이 실적 성장을 뒷받침한 것으로 분석된다. 콜마비앤에이치 지난 2분기 건강기능식품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5% 증가한 266억원으로 집계됐다. 콜마비앤에이치는 고객사 애터미를 통해 미국·러시아·호주·멕시코 중국 등 전세계 23개국에 헤모힘을 판매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 결과 지난 2021년 기준 '헤모힘 당귀 등 혼합추출물' 수출액은 6048만달러(약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차세대 전고체 리튬 금속 배터리 기술 분야의 선두 기업인 퀀텀스케이프 코퍼레이션(이하 퀀텀스케이프)이 새로운 분리막 제조기술 '코브라(Cobra)' 공정을 기반으로 전고체 배터리셀 'QSE-5 B'의 B1 샘플 출하를 개시했다. B1 샘플 출하로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 목표에 달성이 가시권에 들어오면서 퀀텀스케이프의 전기차(EV) 시장 진출이 앞당겨질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제품 기업 아너(HONOR)와 전기차 제조사 BYD가 스마트카 생태계 구축을 위해 손잡았다. 아너와 BYD는 서로의 강점을 결합한 인공지능(AI) 기반 스마트카 솔루션을 공동 개발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