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BYD가 프리미엄 브랜드 덴자를 통해 자동차 기술력을 과시했다. 중국산 전기차 기술력에 대한 의구심을 일정 부분 해소하며 향후 국내 시장에서의 BYD 전기차 판매량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덴자 Z9 GT에는 독특한 평행 주차 기능이 탑재됐다. 앞타이어를 고정한 상태로 뒷타이어를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평행 주차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자동 주차 기능과는 전혀 다른 매커니즘이다. 이 같은 기능은 전기차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앞바퀴를 구동하는 전기 모터와 뒷바퀴를 제어하는 전기 모터가 독립적으로 움직여야 한다. 전기차는 소프트웨어와 전자제어 기술이 핵심이기 때문에 각각의 모터를 컨트롤할 수 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하다. 주차 공간에 먼저 차량 전면부를 넣은 뒤 인포테인먼트 화면에서 회전할 경로를 설정하면 된다. 이후에는 전기 모터들이 작동하며 자동으로 주차가 이뤄진다. 후륜 조향 시스템이 작동되며 뒷바퀴 각도를 조정하고 좌우 바퀴에 서로 반대 방향의 토크를 가한다. 평행 주차에 어려움을 겪는 운전자들에게는 매우 유용한 기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주차 과정에서 일어나는 타
[더구루=윤진웅 기자] 북미와 유럽 글로벌 친환경차(BEV·EREV·HEV·PHEV) 지난달 성장률이 중국을 넘어섰다. 이들간 성장폭이 2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특히 중국 친환경차 시장 점유율 사실상 '제로'(0)인 현대차·기아 입장에서 글로벌 차원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성장세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14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로 모션(Rho Motion)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 규모는 130만 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17.7% 증가한 수치이다. 특히 북미와 유럽 친환경차 판매 성장률이 중국을 처음으로 넘어서 주목을 끌고 있다.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이다. 북미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2.1%, 유럽은 전년 대비 21.0% 성장했다. 반면 중국의 경우 전년 대비 11.8% 확대된 데 그쳤다. 이들 3개 국가를 중심으로 올해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 규모는 2000만 대를 돌파할 전망이다. 이는 전년 대비 18% 증가한 수치이다. 로 모션은 중국 친환경차 시장 규모가 기존 예측치인 17% 성장률보다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유럽(EU, EFTA, 영국)은 전년 대비 1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강화된 탄소배출 규제가 발효되고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지리자동차와 프랑스 르노의 '밀월'이 깊어지고 있다. 세계 무역 전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새로운 성장 모멘텀을 구축하기 위한 새로운 판매 및 생산 계획을 세웠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지리차와 르노는 이달 말 브라질 자동차 시장에서 협력하기 위한 새로운 판매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르노 현지 네트워크를 활용해 중국에서 수출하는 지리 브랜드 차량을 판매하기로 했다. 지리차가 르노 브라질 일정 지분을 인수하고 쿠리치바 르노 공장에서 자사 차량을 조립 생산하는 내용도 담겼다. 투자 규모와 생산 차종 등 구체적인 내용은 파트너십 체결식 이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양사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주요 수출 시장이 유럽인 지리차의 경우 가격 경쟁력 제고는 물론 북미와 유럽 관세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르노 입장에선 브라질 공장 생산 능력을 늘리는 것과 더불어 유럽 시장 의존도 감소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리차는 브라질 자동차 시장 변화에 주목하고 있다. 중국 승용차시장정보연석회(CPCA)에 따르면 브라질은 중국 신에너지차(NEV) 수출 국가 중 가장 빠른 성장 속도를 나타내고 있다. 지난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올해 시작부터 베트남 시장 월간 판매 1위 자리를 토요타에 내줬다. 지난해 왕좌 수성에 실패한 이후 판매량 확대에 나섰지만, 지난해 2분기 이후 분기별 정상을 지켜온 토요타의 독주를 저지하는 데 실패하고 있다. 현대차는 신형 싼타페 등 SUV 모델을 올해 정상 탈환 디딤돌로 삼을 계획이다. 하지만 현지 진출 30주년을 맞이한 토요타의 기세가 만만치 않아 지난해 못지 않은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14일 현대차 베트남 합작사 현대탄콩에 따르면 지난달 3074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3569대) 대비 13.86% 하락한 수치이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브랜드 베스트셀링카인 액센트(530대)가 실적을 견인했고, 투싼(476대)와 크레타(431대)가 뒷받침했다. 현대차는 설명절(뗏응우옌) 연휴를 부진의 배경으로 꼽았다. '뗏응우옌은 베트남을 대표하는 명절으로 음력 1월 1일부터 1월 7일까지 해당하는 긴 연휴이다. 연휴 기간에 고물가와 소비심리 약화까지 겹쳐 소비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는 설명이다. 연휴 이후에는 다시 매출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반면 이 같은 현대차의 해석과 달리 경쟁사인 토요타의 판매량은 급증했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가 브라질 주요 박람회에 참가해 자동차 정품 부품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브랜드 신뢰와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영전략에 따른 '짝퉁부품 근절 캠페인' 일환이다. 무분별한 짝퉁부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닷새간 브라질 파라나주 카스카베우에서 열린 '제37회 쿠파벨 농업 박람회'(Show Rural Coopavel)에 참가했다. 현대모비스가 쿠바벨 농업 박람회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쿠바벨 농업 박람회는 브라질 주요 박람회 중 하나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 대한 전시 공간이 마련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 HB20과 크레타 모델용 순정 부품과 액세서리 라인을 선보였다. 방문객들에게 각 부품에 대한 장점을 설명하고 부품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현지 시장 내 짝퉁 부품 근절에 대한 브랜드 의지를 나타냈다. 정품 부품과 액세서리를 사용이 자동차의 안전성과 내구성, 성능 보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소비자 인식 개선 활동에 적극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지속해서 다양한 채널과 플랫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알제리 공장 설립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다. 알제리투자청(AAPI)이 공장 설립 진행 과정과 투자 규모, 필요 공장 부지 등 핵심 내용을 담아 당국에 프로젝트 신청을 완료했다. 현대차 현지 신차 대리점 업무 수행 관련 검토도 병해되는 만큼 현대차 중동·아프리카 전략에 큰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AAPI에 따르면 최근 알제리 산업제약부에 '오만 프로젝트'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이 프로젝트는 알제리와 오만 술탄국 간 투자 협력을 토대로 현대차 알제리 반조립공장(CKD)을 설립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허가 신청에 앞서 오마르 라카쉬 AAPI장은 지난달 22일 오만 바완그룹 대표단과 만나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당시 알 무카이니 바완 살만 사드 수하일 바완그룹 회장은 AAPI에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 진행 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에 4억 달러(한화 약 5800억원) 상당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으며, 공장 설립 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공장 부지를 할당해 달라는 요청도 포함됐다. 오만 프로젝트에 대한 알제리 산업제약부의 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달 영국 순수전기차(BEV)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프리미엄 브랜드 포함 단일 브랜드 기준으로도 모두 '톱10'에 속하며 현지 BEV 시장을 이끌어가는 주요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14일 영국자동차·운전면허청(DVLA·Driver and Vehicle Licensing Agency)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영국 BEV 시장에서 점유율 9.8%를 기록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점유율 1위인 폭스바겐(8.2%)과 비교해 1.6%포인트 더 높은 수치이다. 기아가 5.6%, 현대차는 4.2%로 집계됐다. 같은 달 영국 BEV 시장 규모는 2만9634대였다. 이는 전년 대비 42% 성장했다.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3%로 나타났다. 브랜드별 점유율 순위는 기아가 5위, 현대차가 10위에 랭크됐다. 이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모두 포함한 순위이다. 1위 폭스바겐에 이어 BMW가 8.0%로 2위, 메르세데스-벤츠가 7.1%로 3위에 올랐고, 푸조는 5.6%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9위는 △테슬라(5.1%) △아우디(5.1%) △북스홀(5.1%) △포드(4.2%) 순으로 이어졌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모델 EV3가 유럽 시장에서 존재감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 네덜란드 베스트셀링카와 스페인 전기차 시장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최근 영국에서 진행된 자동차 어워즈에서 최고 영예인 '올해의 차'로 꼽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EV3는 최근 영국 전기차 전문지 드라이빙일렉트릭(DrivingElectric)이 진행하는 2025 드라이빙일렉트릭 어워즈에서 최고 영예인 올해의 자동차(Car of the Year 2025)와 최고 패밀리 전기차(Best Family EV)를 수상했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 최첨단 편의 기능 갖추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책정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국 시장에서 EV3의 존재감은 지속해서 커지고 있다. 이번 수상에 앞서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 '탑기어(TopGear)'가 주관하는 ‘2024 탑기어 어워즈’에서 ‘올해의 크로스오버’로 선정되는 등 연이은 수상 기록을 세우고 있다.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인기가 실감된다. 네덜란드 자동차산업협회(RAI Automotive Industry NL)에 따르면 EV3는 지난달 네덜란드 월간 베스트셀링카로 선정됐다. 총 1757대가 판매되며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남미 주요 자동차 시상식에서 2관왕에 올랐다. 최고 영예인 올해의 차를 비롯해 전기차 부문에서 최고점을 받았다. 올해 남미 트럭 시장에 타스만을 선보이는 만큼 내년 3관왕 달성 기대감이 모아지고 있다. 13일 국제자동차저널리스트연맹(FIPA)에 따르면 기아 K3는 FIPA이 선정한 '2025 남미 올해의 차'(AUTO DEL AÑO FIPA 2025)로 선정됐다. 총 273점을 획득하며 함께 최종 결선에 오른 BMW 5시리즈(265점)과 K4(255점)을 제쳤다. 콤팩트한 디자인과 성능에 더불어 안전성까지 두루 인정받았다. 남미 올해의 차는 남미 21개국에서 모인 90여 명의 언론인들이 차량을 직접 테스트한 결과를 토대로 이뤄진다. 최고 영예인 올해의 차와 올해의 드라이버를 비롯해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트럭,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등 부문을 나눠 우승 모델을 꼽는다. 올해의 드라이버로 선정되는 경우 다음연도 심사위원 참가 자격이 주어진다. 기아 EV5는 올해의 전기차(CARRO ELÉCTRICO DEL AÑO FIPA 2025) 부문에서 총 206점을 획득, 1위에 올랐다. 세련된 디자인과 콤팩트한 크기, 강력한 성능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KG모빌리티가 영국 딜러사들을 위한 시상식을 열었다. 딜러 네트워크와 협력을 강화하고 판매 확대를 다짐했다. 특히 지난달 40%에 달하는 판매 확대를 계기로 올해 다양한 판매 전략이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KG모빌리티는 지난 11일 영국 런던 JW 메리어트 그로스버너 하우스 호텔(JW Marriott Grosvenor House Hotel)에서 올해의 딜러 어워즈(Dealer of the Year Awards)를 진행했다. 매년 열리는 올해의 딜러 어워즈는 KG모빌리티의 73개 딜러사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행사이다. 판매와 애프터세일즈 부문에서 우수한 성과를 나타낸 딜러사를 선정한다. 이번 어워즈의 경우 브랜드 홍보대사이자 영국 드러머 퍼즈 타운센드(Fuzz Townshend)가 주최해 더욱 높은 관심을 받았다. 최고 영예인 올해의 딜러상은 스테이션 개러지 토르핀즈(Station Garage, Torphins)가 수상했다. 국가 판매 부문(National Sales Award)과 지역 판매 부문(Regional Sales Award)에서도 우승하며 3관왕을 차지했다. 케니 크룩샘크 스테이션 개러지 총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출장길에 오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이 광폭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방문에 이어 현대차∙기아의 품질 경영을 상징하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행시험장(California Proving Ground, 이하 모하비주행시험장)을 찾았다. 13일 현대차 등에 따르면 정의선 회장은 지난 10일(현지 시각) 미국 모하비주행시험장 설립 2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해 그간 완벽한 품질과 성능 확보를 위해 노력해온 연구원들을 치하했다. 이날 행사에는 정 회장을 비롯해 장재훈 완성차 담당 부회장, 호세 무뇨스 현대차 CEO, 양희원 사장(R&D 본부장) 등이 참석해 임직원들과 모하비주행시험장의 지난 역사를 돌아보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지난 20년 동안 모하비주행시험장과 연구원들의 헌신적인 노력 덕분에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룰 수 있었다”며 “우리는 미래를 내다보면서 AI, 로봇 공학, SDV, 전동화, 수소 기술과 같은 선구적인 기술에 집중해야 하고 이러한 혁신을 위해 모하비주행시험장과 같은 연구시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지 연구원들에게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마그나 인터내셔널(이하 마그나)'이 독일 메르세데스-벤츠의 오프로드 아이콘인 'G-클래스(지바겐)' 첫 전동화 모델에 핵심 부품을 공급한다.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전환을 위한 주요 파트너사로서 마그나의 역할이 커지고 있다. 13일 마그나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메르세데스-벤츠의 '디 올 뉴 메르세데스-벤츠 G580 위드 EQ 테크놀로지(이하 G580)'에 마그나의 전기 구동 시스템 'eDS 듀오'가 장착됐다고 발표했다. 오스트리아 란나흐에 위치한 마그나 공장에서 생산돼 메르세데스-벤츠에 납품된다. eDS 듀오는 듀얼 전기모터와 2단 변속기가 포함돼 고성능 전기차에 설계가 최적화된 전기 드라이브 유닛이다. 최대 240kW의 출력을 제공한다. 2개의 전기모터가 각각의 뒷바퀴에 개별적으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어 정밀한 토크 제어가 가능하고 차량을 제자리에서 360도 회전시키는 'G-턴' 기능 등을 구현, 오프로드 주행에 적합하다. 또 실리콘카바이드(SiC) 기술과 디커플링 기술이 적용돼 필요할 때만 모터를 작동시켜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 마그나는 메르세데스-벤츠와 약 50여년 동안 오프로드 차량 부품 동맹을 이어오고 있다. 1979년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의 휴대전화 제조사인 'HMD(Human Mobile Devices)'이 세계 최고 인기 축구팀 중 하나인 FC바르셀로나와 손잡고 중국에서 노키아 피처폰을 출시했다. [유료기사코드] 3일 업계에 따르면 HMD는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중국에서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레이션한 바르사 3210(Barça 3210) 피처폰을 선보였다. HMD는 클래식 노키아 휴대전화의 매력과 FC바르셀로나의 브랜드를 결합해, 노키아를 좋아하는 축구팬을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바르사 3210은 HMD와 FC바르셀로나가 맺은 파트너십에 따라 제작됐다. 양사는 지난해 8월 3년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르사 3210이 처음 출시된 것은 지난 4월이다. HMD는 바르사 3210 외에도 컬래버레이션 스마트폰인 '바르사 퓨전'도 출시했었다. 바르사 3210은 지난해 출시된 노키아 3210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4G 통신망을 지원하며 200만화소 후면 카메라 1개가 장착됐다. 디자인은 FC바르셀로나와 컬래버한 제품이라는 점을 보여주기 위해 엠블럼과 상징색이 사용됐다. 휴대전화 후면에는 FC바르셀로나를 상징하는 자주빛의 빨간색과 엠블럼이 각인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