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완성차 업계 '빅3' 수장의 '연봉'이 엇갈렸다. 토요타와 폭스바겐 최고경영자(CEO)는 실적 개선에 힘입어 연봉이 증가한 반면 정의선 회장은 상여금 축소로 인해 연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요타는 지난 18일 공시를 통해 도요타 아키오 회장이 지난해 19억4900만엔(약 185억 원)에 달하는 연봉을 받았다고 밝혔다. 전년 16억2200만엔(153억원) 대비 약 20% 증가한 수준이다. 토요타의 전반적인 실적 호조가 반영된 결과다. 올리버 블루메 폭스바겐그룹 회장은 지난해 총 1035만 유로(약 163억 원)를 수령했다. 전년 970만 유로 대비 5.4% 증가했다. 폭스바겐 이사회 전체가 고정 급여의 5%를 자진 반납했음에도 불구, 포르쉐에서 보수가 오르면서 블루메 회장 연봉을 끌어올렸다. 반면 정의선 현대차 회장의 경우 감소했다. 현대차와 현대모비스에서 각각 70억8700만원, 44억3100만원 연봉을 받아 총 115억18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122억100만원) 대비 5.6%( 6억8300만원) 감소한 수치다. 다만 기아 등기임원이기도 한 정 회장은 지난해까지는 기아에서 별도 연봉을 받지 않았다. 주목할 점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최대 석유화학기업 '타이쑤치예(台塑企業·포모사 플라스틱 그룹, 이하 타이쑤)'가 전고체 배터리 시범생산을 시작했다. 타이쑤는 시범생산을 통해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타이쑤에 따르면 자회사 '타이쑤신지능(台塑新智能·포모사 플라스틱 뉴 인텔리전스)'은 18일(현지시간) 전고체 배터리 시범 생산 라인 가동을 개시했다. 타이쑤신지능 전고체 배터리 시범 생산 라인은 대만 신베이시에 위치한 밍치이공대학교(明志科技大學) 그린에너지센터에 구축됐다. 타이쑤신지능이 전고체 배터리 시범 생산 라인 구축을 발표한 것은 지난 2023년 9월이다. 당시 타이쑤신지능은 전고체 배터리 시범 생산 라인 구축에 2억2000만 대만달러(약 100억원)을 투입하고, 밍치이공대학교 그린에너지센터와 산학협력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밍치이공대학교 그린에너지센터는 전고체 배터리 관련 글로벌 특허를 19건 보유하고 있다. 타이쑤신지능은 시범 생산 시설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핵심 소재 합성과 생산 공정 기술 등을 검증한다. 또한 전고체 배터리 시제품을 생산해 충·방전 과정에서 단락과 과충전 현상이 발생하는지 확인하고 충격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이스라엘과 이란의 무력 충돌로 인해 해상 물류비 '폭탄'이 예고된다. 유조선 공격과 해협 기뢰 설치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해 선박의 항로 우회와 지연에 따른 해상 운임 인상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이스라엘·이란의 충돌이 확전될 경우 해상운임은 더욱 오를 가능성이 높아 사태 전개에 대한 시장 현황 점검이 필요해보인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이스라엘의 이란 기습 공격으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운임이 상승했다. VLCC의 하루 평균 운임은 5만 5000달러로, 일주일 전 2만 달러 중반대에 비해 두 배 이상 치솟았다. LR2탱커(중대형 유조선)도 하루 운임이 4만 5000달러선을 웃돌면서 작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에 따르면 이번 전쟁으로 중동발 석유 공급 차질 우려가 커지면서 VLCC 운임이 20% 이상 상승하고,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을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세계 경제에 불안이 가중되고 있다. 코트라는 이란의 유조선 공격과 해협 기뢰 설치 등 위험 요인이 상존해 선박의 항로 우회와 지연이 지속되는 경우 해상 운임 인상이
[더구루=김은비 기자] 7년 만에 새롭게 돌아온 현대자동차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The all-new NEXO, 이하 2세대 넥쏘)’는 전기차보다 조용했고, 내연기관차보다 강력했으며, 하이브리드보다 여유로웠다. 수소라는 연료가 아직 생소하다는 점을 감안해도 2세대 넥쏘의 완성도는 부족함이 없었다. 지난 18일 서울 강서구 메이필드호텔에서 진행된 시승 행사를 통해 2세대 넥쏘를 경험했다. 2세대 모델인 디 올 뉴 넥쏘는 2018년 1세대 모델 출시 이후 7년 만에 완전 변경된 모델이다. 넥쏘는 현재까지 글로벌 누적 4만여 대가 판매되는 등 세계 최다 판매 수소차이자, 현대차 기술 리더십을 상징하는 모델로 평가 받는다. 이날 시승은 메이필드호텔에서 인천 용유도에 위치한 동양염전 베이커리카페까지 약 50㎞. 2세대 넥쏘의 첫인상은 단단해 보인다는 느낌이다. ‘아트 오브 스틸(Art of Steel)’ 디자인 콘셉트를 증명하듯 금속의 질감과 견고함이 드러난다. 현대차그룹 수소 브랜드 ‘HTWO’ 심볼을 형상화한 램프는 넥쏘의 정체성을 증명하는 듯 하다. 2세대 넥쏘는 첫 시동에서도 놀라움을 안겼다. 시동의 정숙함이 오히려 당혹스러울 정도였다. 엔진음은 물론
[더구루=홍성일 기자] 풍력타워 제조기업 씨에스윈드의 북미 핵심 생산시설인 '푸에블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화재로 인한 피해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20일 미국 콜로라도 주 푸에블로 소방서(The Pueblo Fire Department)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전 7시 씨에스 윈드 공장 부지 내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푸에블로 소방서에 따르면 해당 화재는 들불(wildfire)로, 공장 부지 내 공터에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푸에블로 소방서는 소방차 3대를 화재 진압에 투입했다. 정확한 화재 규모와 원인에 대해서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화재 피해가 크게 발생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푸에블로 소방서도 "소방관들이 예방 차원에서 출동했다"며 "지역사회에 위협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씨에스윈드 푸에블로 공장은 세계최대 규모 풍력타워 생산공장으로, 북미 시장 공략 핵심 기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씨에스윈드는 지난 2021년 8월 덴마크 초대형 풍력타워 기업 '베스타스'(Vestas)로부터 해당 공장을 인수했다. 인수 규모는 1억5000만 달러(약 2060억원). 씨에스윈드는 2022년부터 푸에블로 증설을 추진하기 시작했다. 공장 증설에는 총
[더구루=길소연 기자] 모로코가 방위산업 생산 능력을 강화를 위해 조성하는 방위 산업 특구가 한국 방산기업의 유치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중동 군사 매체인 디펜스-아라빅닷컴(Defense-arabic.com)에 따르면 모로코 정부는 최근 방위산업에 특화된 산업단지 개발과 관리를 전담하는 회사 설립을 공식 승인했다. 회사는 군사 주택 및 장비국(ALEM)과 방위산업관리국(CDG)의 자회사인 MEDZ의 합작 투자로 설립될 예정이다. 1994년 군 주택 및 장비 기금(Military Housing and Equipment Fund)을 대체해 운영되어 온 ALEM은 군인 주택 건설 및 인프라 개발을 전문으로 한다. MEDZ는 산업 단지 개발 및 관리에 전념하는 모로코 최고의 기관 투자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방위산업단지 관리회사(Defense Industrial Zones Management Company, DIZMC)라는 이름으로 설립될 회사의 자본금은 30만 모로코 디르함(약 4500만원)으로 책정됐다. ALEM과 MEDZ이 나눠서 출자한다. 이 회사의 주요 임무는 방위 산업 관련 활동을 위한 산업 단지의 설계, 개발,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국과 루마니아가 방위산업 협력 강화를 위한 긴밀한 파트너십 구축 의지를 재확인했다. 양국 방산 산업의 동반 성장과 함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와 기술 교류가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루마니아 상공회의소(CCIR)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수도 부쿠레슈티에서 '한-루마니아 방위산업의 날(Defense Industry Day)' 경제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국 정부 관계자 및 한국과 루마니아 주요 방산기업 40여 곳이 참석, 국방력 현대화와 산업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포럼은 루마니아 상공회의소(CCIR)와 주루마니아 대한민국 대사관, 루마니아 방위산업협회(Patromil)가 공동 주최한 행사다. 루마니아군의 전력 현대화, 기술이전, 공동 생산 등 구체적 협력 방안을 다룬 기술 세션과 B2B(기업 간 거래) 상담회가 이어지며 실질적 협의가 이뤄졌다. <본보 2025년 6월 16일 참고 韓·루마니아 방산업계 19일 뭉친다> 임갑수 주루마니아 대한민국 대사는 개회 연설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현대로템 등 국내 주요 방산기업을 언급하며, 현지 생산 확대와 기술 이전이 양국 방산 산업 경쟁력 강화의 핵심
[더구루=정등용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SMR(소형모듈원자로) 협력을 추진하는 에스토니아가 원자력 에너지 우선 정책을 천명했다. 20일 에스토니아 공영 방송사 ERR에 따르면, 안드레스 수트 에스토니아 기후부 장관은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100% 전력을 생산한다는 계획을 재검토 하고 있다”며 “원자력 에너지가 우선 순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트 장관은 “풍력과 태양광 에너지로 전력 소비를 완전 충족시키는 것이 현실적이지도 않고 최적의 방안도 아니다”라며 “100% 청정 전력은 2035년 가능할 수 있지만, 원자력 에너지 역시 청정 에너지 범주에 포함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에스토니아는 지난달 국가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위한 국가 계획 수립을 시작했다. 600MW 용량의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함께 330kV 전압의 송전선로, 기존 330kV 변전소의 확장 및 기타 전력 전송 관련 시설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4월에는 에스토니아 민영 원전기업인 페르미 에네르기아(Fermi Energia)가 삼성물산과 SMR ‘BWRX-300’ 건설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BWRX-300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의 합작사인
[더구루=길소연 기자] 그리스 선사 차코스에너지네비게이션(Tsakos Energy Navigation, TEN)이 한국 조선소의 기술력과 품질, 납기 신뢰도를 바탕으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을 신조 발주한다. 메이저 석유 회사들의 유조선 장기 용선 수요가 증가하고, 지정학적 혼란과 노후선 교체로 선대 개편이 늘자 유조선을 주문했다. TEN의 수주 이력이 있는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수주가 유력시되고 있다. 20일 노르웨이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TEN은 VLCC 2척 신조 발주를 앞두고 있다. 앞서 TEN은 한국의 조선소 3곳과 VLCC 신조 발주 협상을 진행해오며 유조선 발주 가능성을 시사했다. TEN은 최근 1분기 경영실적을 보고하면서 "21척의 석유화학제품선(PC선), LR1(Long Range1) 석유화학제품선, 수에즈막스급 유조선으로 구성된 오더북이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실적에 대해 낙관적인 입장을 밝히면서 "지속되는 지정학적 혼란과 노후화된 선대로 인해 고운임이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TEN의 선단 계약 매출 잔고는 37억 달러(약 5조원), 21척에 달한다. 최근 2척의 신조선이 인도돼 신조선 물량은 △셔
[더구루=홍성일 기자] '방산업계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 안두릴 인더스트리(Anduril Industries, 이하 안두릴)가 유럽 무인항공기 시장 확대를 위해 독일 방산기업 라인메탈(Rheinmetall)과 손잡았다. 안두릴은 라인메탈과 협력으로 유럽 내 안정적인 생산 역량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안두릴과 라인메탈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양사가 보유한 유럽 내 공급망과 파트너사 네트워크를 통합해 무인항공기를 공동 개발하기로 했다. 안두릴과 라인메탈은 3가지 사항을 중심으로 무인항공기 개발을 진행한다. 먼저 안두릴의 자율무인비행체(AAV)인 바라쿠다(Barracuda)를 라인메탈의 전투운영시스템인 배틀스위트(Battlesuite)와 통합한다. 바라쿠다는 안두릴이 개발한 자율무인비행체로 무인비행체와 순항미사일의 개념이 합쳐진 시스템이다. 이에 탄두를 부착하지 않을 경우 정찰용 무인비행체로 사용되지만, 탄두를 장착할 경우 공대지·지대지·함대지 미사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바라쿠다는 경쟁제품 대비 생산시간과 부품 수가 50% 절감돼, 생산 비용을 30% 이상 아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미국 공군 협동전투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르노코리아가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에서 6월 한 달간 프랑스 문화를 접목한 고객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프랑스 문화예술 강연과 콘서트, 체험형 전시 등을 통해 르노 브랜드 고유의 감성과 철학을 전달한다. 르노코리아는 6월 한 달간 플래그십 스토어 르노 성수에서 ‘타임리스 드라이브(Timeless Drive)’를 테마로 한 프랑스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프로그램은 ‘R 클래스(R:Class)’와 ‘R 콘서트(R:Concert)’ 두 가지 테마로 구성됐다. R 클래스는 주한 프랑스 대사관 문화과와 협업한 강연 콘텐츠로, 프랑스 문학과 언어, 현대 사회에 대한 인문학적 접근을 선보인다. R 콘서트는 프렌치 재즈와 샹송 공연을 통해 감각적인 음악 경험을 제공한다. 북토크도 눈길을 끈다. ‘파노라마’, ‘쓰라린 태양’ 등의 작품으로 주목받은 프랑스 작가 릴리아 아센은 지난 18일 현대 사회와 인간 관계에 대한 섬세한 해석을 청중과 나눴다. 이어 28일에는 유튜브 채널 '침착맨' 출연으로 얼굴을 알린 프랑스 언어학 박사 정일영 작가가 ‘극내성인’ 주제로 강연에 나선다. 재즈 공연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에 이어 삼성전자도 사우디아라비아 최대 건설사인 '알 바와니(Al-Bawani)'와 협력한다. '비전 2030'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네옴시티와 홍해 개발 등 사우디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 참여 기회를 얻고 삼성의 디지털 기술을 이식한다. 19일 인덱스이코노믹과 샤파크 등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 사우디 판매법인(SESAR)은 최근 알 바와니와 스마트 인프라 개발 사업에 협력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MOU에 따라 SESAR는 알 바와니가 개발하는 대형 부동산 사업에 참여한다. 스마트 솔루션을 공급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과 빌딩 개발을 지원한다. 1991년 설립된 알 바와니는 사우디 왕실과 친밀한 알 샤와프(Al Shawaf) 가문 소유의 기업이다. 사우디 역사 도시인 디리야 인근에 고급 호텔과 골프·승마 시설 등을 짓는 초대형 복합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사우디 국부펀드 공공투자펀드(PIF) 산하 사우디 엔터테인먼트 벤처스(SEVEN)로부터 엔터테인먼트 허브 구축 사업을 따냈으며, 네옴시티와 홍해 개발 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미래 지향적인 도시 개발을 표방하며 작년 8월에는 LG전자의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