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 피아우이주가 국내 조선소인 HD한국조선해양에 러브콜을 보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라파엘 타즈라 폰테레스(Rafael Tajra Fonteles) 브라질 피아우이주 주지사는 21일(현지시간)부터 14박 15일 일정으로 중국, 일본, 한국을 방문한다. 폰테레스 주지사의 순방 목적은 공공 서비스를 최적화하고 국가에 대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함이다. 폰테레스 주지사는 먼저 중국을 방문해 중국 투자자들에게 올 12월에 운영을 시작하는 주 최초의 항인 루이스 코레이아(Luís Correia) 항을 소개했다. 또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와 기술 서비스를 전문으로 하는 또 다른 중국 대기업인 중국종합기술기업인 '중궈퉁융지슈'를 방문해 '발레 두 파르나이바 인터모발'(Vale do Parnaíba Intermodal) 프로젝트를 알리고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발레 두 파르나이바 인터모발은 피아우이주를 넘쪽 세라도(Cerrado) 지역과 연결하는 순환 도로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피아우이주는 발레 두 파르나이바에서 수로와 철도서를 통해 루이스 코레이아 항구까지 생산물을 운송하는 복합 운송을 구축한다. 철도와 수로 공사를 수행할 회사는 내년 3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비용 절감과 인력 조달을 위해 해외 거점을 확보할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박승용 HD현대중공업 부사장은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와의 인터뷰를 통해 "한국의 조선소들이 새로운 조선 시설을 찾기 위해 한국을 떠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며 "해외 시설에서 비용을 낮추고 더 큰 노동 자원을 확보해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부사장은 중국 내 경쟁력 있는 신조선가와 조기 인도일 등이 선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며 한국 조선소는 중국의 저가 수주를 따라잡기 위해 해외 시설을 활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그는 "중국 조선소가 선박 건조비용을 어떻게 책정하는지 모르겠다"며 "아마도 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기자재와 엔진 제조업체가 있어서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조선소의 경우 조선 기자재 비용과 인건비를 감당하지 못하면 선박을 건조할 수 없다"며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비용을 낮추고 더 큰 노동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해외 조선소에 인력과 자원을 확보해 건조하면 선박 건조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HD한국조선해양은 해외 조선소로 베트남 중부 칸호아성에 위치한 현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중동에 초대형 가스운반선(VLGC) 1척을 인도했다. 지난 6월 첫 번째 선박을 인도한 후 3개월 만에 두 번째 선박을 납품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아랍에미리트(UAE) 소재 조선·해운기업 알 시어 마린(Al Seer Marine)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합작사 ABGC DMCCD(Al-Seer Marine & BGN)에서 초대형 가스선 '노스 가스(North Gas)'호를 전달받았다. ABGC DMCC은 UAE의 조선·해운기업 알 시어 마린과 에너지기업 BGN 인터내셔널이 2021년 합작해 설립한 회사이다. 선박은 ABGC DMCCD 인도 전 지난 8월 29일 HD현대중공업 울산조산소에서 명명식을 가졌다. 명명식에는 공동 프로젝트의 양대 축인 '알 시어 마린'과 'BGN 인터내셔널'을 비롯해 HD현대중공업, 영국 선급협회 '로이드 레지스터' 등의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ABGC DMCC에 인도된 선박은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한 8만4326cbm급 LPG추진 초대형가스운반선(VLGC)이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 2021년 중동 합작사(JV) ABGC DMCC로부터 8만6000㎥ 규모의 신형 VLGC 2척을 수주
[더구루=길소연 기자] 조선업계의 신조 발주 모멘텀이 2024년에도 이어진다는 기대가 크다. 21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내년 친환경 선박, 해양플랜트 부문의 신조 수요가 강하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된다. 클락슨 리서치는 해운·조선업계에 탈탄소화가 강조되면서 친환경 선박 발주가 급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글로벌 조선소들은 올해 상반기에만 총 156척의 대체연료 추진선을 수주했다. 클락슨 리서치는 내년 들어 액화이산화탄소(LCO2)운반선, 초대형 암모니아운반선(VLAC) 발주가 본격화될 것으로 내다봤다. 수주 잔량 비율이 2%에 불과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의 발주 강세도 예상된다. VLCC는 주로 원유의 장거리 운송에 쓰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유럽이 러시아산 에너지 도입을 막고, 러시아는 이를 우회하기 위해 인도향 수출을 늘리면서 원유의 대륙간 이동이 줄면서 원유 운송은 줄었다. 그러나 올 상반기 유조선 발주가 지난해 연간 발주량을 넘어섰다. 내년에도 신조 발주가 이어져 유조선 시장의 반등 조짐이 보인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되고, 러시아에 대한 석유수출 규제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조선업계와 철강업계가 후판 가격을 두고 기싸움을 벌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철강업계가 하반기 후판 가격을 놓고 협상을 이어가고 있다. 통상 후판 가격 협상은 상·하반기 한 번씩 진행된다. 후판은 선박에 사용되는 재료로, 두께 6㎜ 이상의 두꺼운 철판이다. 조선소는 후판이 선박 건조 비용의 20~30% 가량을 차지하기 때문에 가격 인하를 주장하고, 철강사는 후판이 핵심 매출원이라 가격을 인상해 수익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하반기 후판값 협상은 지난 5월부터 시작됐다. 후판의 주 원재료인 철광석 가격 변하면서 협상도 장기화되고 있다. 상반기에도 업계 간의 입장 차이로 협상이 한 달가량 늦게 진행됐다. 업계 관계자는 "후판값을 두고 조선사와 철강사들의 가격 줄다리기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며 "매번 철강업계는 전기요금 인상과 업황 악화로 가격 인상으로 가닥을 잡았지만 조선업계는 후판값을 인하로 실적을 안정화시키고자 한다"고 말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해양시추기업 노던드릴링이 한화오션과의 원유시추선(드릴십) 중재 소송에서 패소한 가운데 항소 절차를 밟는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노던드릴링은 한화오션과의 분쟁소송 판결에 불복해 항소한다. 심각한 부정행위를 근거로 이의 제기한다. 일반적으로 중재 판정에 대해 항소할 수 있는 근거는 제한돼 있다. 법률 사항에 대한 항소를 위해서는 법원의 허가가 필요하다. 법원이 법적인 측면에서 판정에 대해 항소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경우 항소 심리가 이어진다. 그러나 심각한 부정을 이유로 판결에 이의를 제기하는 데는 법원의 허가가 필요하지 않다. 노덜드릴링은 항소 제기를 위해 주식 공모를 통한 자금도 조달한다. 1차 주식 배정 규모는 300~350만 달러(약 40억7000만원~47억5000만원)로 예상되나, 최종 결과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총 자금은 훨씬 더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노덜드릴링은 지난달 한화오션과의 원유시추선(드릴십) 중재 소송에서 패소했다. 재판부가 한화오션의 손을 들어주면서 노던드릴링은 한화오션으로부터 할부금 이자와 손해배상금을 지급받지 못하게 됐다. <본보 2023년 9월 26일 참고 한화오션, 노던드릴링과 시추선 분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삼호중공업이 노르웨이 해운사에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을 인도했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삼호중공업은 19일 목포조선소에서 17만4000㎥급 LNG 운반선 '세인트 바바라(Saint Barbara)'와 '이그나치 루카시에비치(Ignacy Lukasiewicz)' 인도식을 개최했다. 선박은 크누센에 인도된 후 폴란드 최대 석유화학 회사 PKN 올렌(ORLEN)이 용선한다. 올렌의 자회사 PGNiG는 미국 LNG 공급량을 10년 동안 폴란드에 운송하기 위해 선박을 용선하고 있다. 신조선이 올렌 함대에 통합되면 본선인도(Free-On-Board, FOB) 조건을 기반으로 장기 계약과 현물 계약을 모두 수용하는 두 가지 목적을 수행하게 된다. 올렌은 "두 LNG 운반선이 올해 말 전에 운항을 시작해 그룹의 LNG 조달 역량을 강화하고 이를 통해 폴란드의 에너지 안보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현대삼호중공업은 올 상반기 올렌에 크누센 주문 선박 2척을 인도한 바 있다. 선박은 각각 3월과 6월에 전달됐다. 올렌은 인도 받은 4척의 크누센 선박 외 크누센으로부터 신조선 2척을 추가 용선한다. 또 그리스 마란가스로부터 2
[더구루=길소연 기자] 철강산업의 탈탄소화를 목표로 하는 시민단체 스틸워치(SteelWatch)와 환경단체 기후솔루션(SFOC)이 포스코의 고로(용광로) 개수 계획의 재고를 촉구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스틸워치와 기후솔루션은 포스코와 미국 철강 제조업체 클리블랜드 클리프스(Cleveland-Cliffs), 인도 철강기업 타타스틸(Tata Steel), 호주 철강 기업 블루스코프(BlueScope)에 고로 개수 계획 수정을 요청했다. 환경단체는 "세계 철강 산업이 여전히 지구를 구한다는 측면에서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며 "선진국이 '기후 변화에 맞서 싸우는 데 특별한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단체는 이들 4개 업체가 고로 개수 활동에 투자함에 따라 파리기후협약에 어긋난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고로 개수 작업 투자로 탄소 배출량이 증가해 국가의 기후약속의 신뢰성을 약화시킨다고 전했다. 고로는 일반적으로 수명이 10~13년이다. 노체 내부 벽돌의 손상이 심해지면 작업을 멈추고 벽돌을 교체하는데 이를 개수라고 한다. 고로 개수는 용광로 성능 개선을 위해 생산을 중단한 채 설비를 새로이한다. 보통 개수를 할 때 벽돌 뿐만 아니라 철피 장식이나 기타 부속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캐나다·필리핀·폴란드 잠수함 사업에 주목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20일까지 서울공항에서 열리는 서울국제항공우주방위전시회(ADEX)에서 캐나다, 필리핀, 폴란드에 잠수함 사업 입찰에 참여한 사실을 공식 인정했다. 한화오션은 캐나다 잠수함 프로젝트에 가장 주목하고 있다. 캐나다 해군은 노후 잠수함 교체를 위해 추진하는 '캐나다 순찰 잠수함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3000톤(t)급 잠수함 8~12척을 도입할 계획이다. 사업 규모는 60조원에 달한다. 잠수함 척당 가격은 2조원이 넘을 전망이다. 올 하반기 공고가 나와 이르면 2026년 계약자가 선정될 것으로 알려졌다. 캐나다는 동쪽으로 러시아, 서쪽으로는 중국 원자력잠수함의 위협을 받고 있다. 현재 퇴역을 앞둔 재래식 잠수함 4척만 갖고 있어 신형 잠수함을 도입을 추진한다. 캐나다가 요구하는 조건의 잠수함으로는 한화오션이 건조한 3000t급 도산안창호함이 유력하다. 도산안창호함은 장거리 잠항 및 탄도미사일(SLBM) 발사가 가능하다. 김승민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영업팀장은 "캐나다가 새로운 잠수함의 잠재적인 건조업체를 물색하고 있다"며 "한화오션이 다른 외국 경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이 한국산 송유관(Welded Line Pipe)에 부과한 관세를 하향 조정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DOC)는 2017년 12월 1일부터 2018년 11월 30일까지 출시, 판매된 한국산 송유관에 대한 반덤핑(AD) 관세율을 조정했다. 상무부는 현대제철과 넥스틸, 휴스틸에 1.12%, 세아제강은 0% 관세를 매겼다. 상무부는 지난 2020년에는 판정 당시 현대제철과 휴스틸은 11.06%, 넥스틸 15.07%, 세아제강 9.33% 부과했다. 이후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이 항소하면서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이 상무부에게 관세를 다시 산정하라는 환송명령을 내려 재조정됐다. 상무부는 재조사에서도 현대제철 등 한국 업체가 생산원가를 왜곡하는 특정 시장 상황이 존재한다고 봤다. 송유관의 원재료인 열연을 생산할 때 정부 지원을 받고 있고, 미국 제품보다 정상가 이하로 판매돼 세아제강을 제외한 제품에 관세 부과를 확정했다. 송유관은 유전에서 원유나 정유 등을 끌어올리는 데 쓰는 관이다. 한국 기업 중에선 현대제철과 세아제강의 수출 비중이 가장 높다. 현대제철의 송유관은 전체 수출량 중 3~4% 수준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상무부가 현대제철의 유정용강관에 덤핑 마진율을 매기지 않았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상무부는 최근 현대제철의 유정용강관에 대한 반덤핑 관세(AD) 심사 예비결과를 발표했다. 상무부는 현대제철이 2021년 9월부터 2022년 8월까지의 기간 동안에 유정용강관을 정상가로 판매한 것으로 보고 덤핑마진을 0%로 책정했다. 현대제철의 유정용강관이 미국의 공정가치 보다 낮지 않은 가격에 수출해 가중덤핑 마진율을 매기지 않은 것이다. 기타 국가의 경우 덤핑마진은 1.18%로 잠정 결론 내렸다. 유정용 강관은 주로 원유·천연가스 채취에 사용되는 고강도 강관이다. 한국산 유정용 강관의 98%가 미국으로 수출된다. 코트라에 따르면 미국의 강관 수입 규모는 2021년 1445만4000달러에서 지난해 2748만6000달러로 90% 넘게 증가했다. 이 중 54%가 한국에서의 수입한 물량이다. 현대제철은 "유정관 8차 재심 예비판정 결과로 덤핑 제로를 받았다"며 "내년 2~4월 정도에 최종판정이 나올 예정"이라고 밝혔다. 상무부의 덤핑 제로 예비 판결에 따라 현대제철의 미국 유정용 강관 수출이 늘어날 전망이다. 미국은 원유채굴 시추기 수가 늘고 있어 유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2050 탄소중립 달성 전략의 일환으로 호주에서 그린수소를 활용해 HBI(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한 환원철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가공품)의 생산 가능성을 타진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프랑스 에너지 전문 기업 '엔지(Engie)'와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PFS)를 실시한다.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해 물을 전기분해해 탄소 배출 없이 청정하게 만들어진 수소이다. 포스코는 전기로에 사용하는 전력도 탄소 배출 없는 재생 에너지로 만들고자 한다. 타당성 조사는 내년 초에 완료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는 포스코가 제안한 것이다. 호주에서 가장 큰 철광석 선적항구인 포트 헤드랜드(Port Hedland)에서 HBI 공장에 그린 수소를 사용해 전력을 공급하는 타당성을 결정한다. HBI를 만들기 위한 환원제로 천연가스가 아니라 수소를 사용해 전기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HBI는 철광석에서 산소를 제거해 환원시킨 직접환원철(DRI)을 조개탄 모양으로 성형한 제품이다. 전기로 조업 시 고급강 생산을 위한 필수 원료다. HBI는 이미 산소가 분리돼 있어 석탄(탄소)을 태워 산소를 분리하는 용광로(고로)에 넣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