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선급 DNV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해상풍력설치선의 부족을 경고했다. 수천개의 해상 풍력 발전 단지 개발이 예상되지만 풍력터빈을 설치할 해상 풍력선이 수요에 대응하지 못한다는 주장이다. 9일 업계에 따르면 DNV은 수십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5000개의 해상 풍력 발전 단지가 개발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아시아-태평양의 일부 시장에서는 풍력 터빈 설치선(WTIV) 부족에 직면한다고 지적했다. WTIV는 배 위에 크레인을 결합해 해상풍력 터빈을 인양, 운반, 설치하는 역할을 한다. 해상풍력 발전단지에 풍력터빈을 설치할 때 필요하다. DNV 재생에너지 자문 대만 부문장 장밍휘는 "오늘날 가장 큰 풍력 터빈은 허브 높이가 150~160미터이고 블레이드가 100미터로 전체 구조물의 높이가 싱가포르의 랜드마크인 마리나 베이 샌즈 호텔과 거의 비슷하다"고 말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5000개의 풍력 발전 단지가 추가로 건설될 것"이라며 "각 풍력 발전 단지에 마리나 베이 샌즈 크기의 터빈이 설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중국, 대만, 일본, 그리고 베트남과 호주와 같은 신흥 시장에서 주요 해상 풍력 발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탱커 해운 시황이 활황세다. 탱커 시장의 호조로 향후 신조선 수주가 기대된다. 9일 프랑스 선박 브로커 업체 BRS(Barry Rogliano Salles) 그룹에 따르면 선주사들의 견조한 운임 수익을 배경으로 올해 탱커 신조선 64척(3만4000DWT급 이상)이 발주됐고, 2027년까지 385척이 인도될 전망이다. 현재 파악된 세계 조선소들의 탱커 수주잔량 규모는 385척이다. 기존 선대 대비 비율은 작년 말 대비 4.5%나 증가한 7.1% 수준이다. BRS는 "대부분 탱커가 2026년까지는 일선에 투입되지 않을 것이라며 "2026년에 대한 전망은 '공급과잉'보다는 수요와 공급의 '밸런스'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영국 해운시황 분석기관 MSI(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가 발간한 '2023년 1분기 MSI 시황보고서'에서도 벌크선과 컨테이너선은 수급 악화로 시황 약세가 지속되지만 탱커는 상당히 좋을 것으로 예측됐다. 탱커는 중국의 경제활동 재개와 미국의 원유 수출 확대로 인해 시황 강세가 이어진다. 러시아 석유 금수에 따른 항해 거리 증가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 탱커 발주량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발 철강 가격 인상으로 포스코도 철강 가격을 올렸다. 이차전지 사업 등 비철강사업 비중이 커지고는 있지만 철강사업이 주력인 만큼 제품 가격 인상으로 매출 증대에 나선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는 철강 가격 t당 39달러(약 5만2000원)으로 인상했다. 포스코는 올해 꾸준히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지난 1월부터 4월까지 열연강판 가격을 t당 매달 5만원씩 인상 후 5월 한차례 동결했다. 이어 6월에는 t당 3만원 인하했다. 그러다 9월에 다시 5만원대로 인상했다. 스테인리스 강판의 경우 지난해 6월 이후 15개월만에 t당 10만원 인상에 나섰다. 냉연강판 가격을 t당 5만원 이상으로 올렸다. 포스코의 철강가격 인상은 중국 영향이 크다. 중국 12개 제철소들은 지난 1일(현지시간) 철강가격을 일제히 인상했다. 연초 이후 지속된 철강가격 하락과 위안화 약세로 인해 중국 철강사들 중 55%가 손실을 내자 가격 인상을 결정했다. 포스코의 철강 가격 인상으로 국내 완성차 업계와 조선업계에 긴장감이 흐른다. 완성차업계는 포스코와 하반기 자동차 강판 가격 인상을 협상 중이다. 포스코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부품사)에 전기강판을 공급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가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기업 '톱3'에 이름을 올랐다. 8일 뉴스위크에 따르면 HD현대는 '2023 최고의 에너지&유틸리티(Energy&Utilities) 기업' 평가에서 3위를 차지했다. 에너지&유틸리티 분야에서 순위권에 오른 국내 기업은 HD현대가 유일하다. 세계 1위 기업으로는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기업 트랜스알타(Transalta)가 선정됐다. 2위는 스페인 가스회사 네이처지(Naturgy)가 올랐다. 뉴스위크는 글로벌 조사기관 스타티스타(Statista)와 공동으로 7만 명이 넘는 참가자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설문조사를 통해 고객과 투자자, 직원으로서 신뢰하는 기업에 대한 26만9000개에 달하는 평가자료를 수집·분석했다. HD현대는 조선 사업을 통해 축적된 기술로 해양∙플랜트, 엔진기계, 전기전자시스템, 그린에너지, 건설장비 사업에 진출했다. HD현대는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 30조 8953억원, 영업이익 1조60억원 성적표를 받았다. 조선부문이 흑자전환에 성공했으며, 건설기계 및 전력기기 등 다른 주요 사업들은 견조한 실적을 이어갔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싱가포르가 '바다 위 LNG 터미널'로 불리는 부유식 LNG 저장·재가스화설비(FSRU)를 도입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LNG 수입국인 싱가포르는 FSRU 인수를 위한 공식 절차를 시작한다. FSRU는 해상에서 액화천연가스(LNG)를 기화한 뒤 육상의 소비처에 직접 공급할 수 있는 선박 형태의 설비다. 육상 LNG 수입터미널보다 투자할 부대설비가 적고 건조 기간도 절반에 불과해 경제성과 편의성이 높다. 싱가포르 정부는 LNG 수입 계획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지역에 더 많은 에너지 안보를 제공하며 탈탄소화 노력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FSRU 인수를 추진한다. 아시아 가스 소비가 2020년에서 2050년까지 두배로 증가할 것을 대비해 LNG 인프라를 확장하고 있다. 신규 FSRU는 싱가포르 국영 가스회사 싱가포르 LNG(Singapore LNG Corporation, 이하 SLNG)가 제어할 전망이다. FSRU 건조사 입찰은 아직이다. 선가는 3억5000만 달러(약 46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된다. 전 세계적으로 FSRU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혼란에 대비하고 연료 공급을 보장하고자 LNG 부유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아르헨티나서도 '여성'을 위한 행복한 일터를 만든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아르헨티나는 최근 살타 주정부와 민간 기업이 만나 돌봄 공간 구현을 논의하는 자리에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포스코는 이타티 카리케(itati carrique) 살타 주정부 여성부 장관과 노동계약법(LCT) 179조의 이행에 관해 논의했다. 아르헨티나는 노동계약법 제 179조에 따라 3월 23일부터 100명 이상의 사업장에서는 근무일 동안 근로자를 관리하는 태어난 지 45일부터 3세까지의 여아와 남아를 위한 돌봄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법안은 근무 시설 내에 돌봄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이행 대안으로 제안한다. 혹은 가까운 거리에 있는 다른 회사와 연계해 돌봄 공간을 하도급으로 제공하거나 단체 교섭을 통해 고용주가 돌봄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이타티 카리케 장관은 "더 공정한 돌봄 조직에 기여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여성과 다양성을 직장에 통합한다"고 돌봄 공간 구현을 촉구했다. 포스코는 살타주에서 리튬 사업을 벌이는 국내 대표 기업이다. 포스코홀딩스는 2018년 8월 갤럭시리소스로부터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의 광권을 인수해 리튬 개발에 나섰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너지 시장 개선세로 시추리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유휴 설비 활용률과 리그 일일 운임이 회복세를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해양 시추리그 시장은 △가이아나, 브라질, 중동 내 사업 △ 서아프리카 내 추가 사업 △나미비아, 인도, 동지중해 내 탐사 재개 등을 배경으로 성장세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14년 피크에 달했던 해양 시추 사업 사이클이 2021년을 거치며 둔화세에 접어들었다가 코로나19 팬데믹 회복 이후 다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해양 시추 부문 글로벌 투자액은 현재 약 2000억 달러(약 263조원)에 달한다"며 "이는 반잠수식(semi-submersible), 드릴십(drillship) 등 부유식(floating) 리그 수요가 큰 회복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휴 설비도 회복 조짐을 보인다. 지난 2014년 부유식 리그 수가 270기에서 146기로 줄어들었으나 최근 활용률이 87%로 회복됐다. 유휴 설비는 22기 수준이다. 이 중 20기는 향후 수 년 내 일선에 복귀할 전망이다. 시추리그의 일일 운임도 회복세다. 저사양 리그 운임은 50만 달러에서 20만 달러 미만으로 급감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일본 미쓰이 OSK 라인(Mitsui OSK Lines, 이하 MOL)이 용선할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탑재한다. 선박의 에너지 효율을 높여 에너지 비용을 절감시킨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2021년도와 2022년도에 수주한 17만4000㎥급 LNG 운반선 6척에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amrotor Marine Compressors, 이하 TMC)의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장착한다. TMC는 유럽에서 장비를 제조해 한화오션으로 배송할 예정이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적으면 컴프레서에 필요한 속도가 줄어들어 전력 소비가 줄어든다. 연료 소비와 관련된 배기가스 배출량도 감소시킨다. 전세계 해양 산업은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로 선박의 배출량을 낮추는 데 점점 더 집중하고 있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글로벌 자산관리회사 아틀라스(Atlas)의 자회사 시스팬(Seaspan)에 컨테이너선을 인도했다. 시스팬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공식 페이스북에 "1만5000TEU LNG 이중 연료 시리즈의 다섯 번째 선박인 'ZIM 마운트 레이니어(ZIM Mount Rainier)'의 인도를 발표하게 돼 매우 기쁘다"고 밝혔다. 시스팬은 "현재 LNG는 상업적으로 실행 가능한 청정 연소 연료원이며, 심해 컨테이너 운송에 상용화됨에 따라 저탄소 연료로의 전환에 필수 요소"라며 "바이오 LNG와 e-메탄은 선박이 국제해사기구(IMO) 2050 목표를 쉽게 달성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이번에 인도된 선박은 삼성중공업이 지난 6월 부두에서 자매선 '짐 마운트 데날리(ZIM Mount Denali)'와 명명식을 가진 선박이다. 탈탄소화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최신 기술을 탑재했다. 삼성중공업은 지난 2021년 시스팬과 1만5000TEU급 컨테이너선 10척의 건조계약을 맺었다. 선박 인도는 올해부터 내년 초까지다. <본보 2021년 2월 15일 참고 삼성중공업, '1.1조원' 컨테이너선 10척 수주> 삼성중공업은 이번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일본과 손잡고 한국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독주 견제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는 일본 선사 NYK 라인, 중국 해운사 중국상선에너지해운(China Merchants Energy Shipping, CMES)과 총 4억1260만 유로(약 5900억원)를 투자해 LNG 운반선 합작투자회사(JV)를 설립하는 프로젝트 기본 계약을 체결했다. 3사는 합작사를 통해 17만4000㎥급 LNG운반선 6척을 발주한다. 선박들은 2026년 8월~2027년 10월에 인도될 예정이다. 주로 중국으로의 LNG 운송에 참여할 예정이다. 홍콩 증권거래소에 제출된 서류에 따르면 이들은 LNG운반선 전문 6개의 단일 선박 회사(single-ship)를 설립할 계획이다. 각 회사들은 LNG운반선 하나씩을 담당하며 중국해양석유총공사(CNOOC)의 자회사인 CNOOC 가스&전력 싱가포르 무역회사(Gas & Power Singapore Trading & Marketing)에 용선해 준다는 계획이다. CNOOC는 자회사 CNOOC 홍콩투자공사를 통해 이 프로젝트에 1억 8570만 유로(약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부유식 원유생산설비(FPU)를 수주한 9조5000억원 규모의 멕시코발 해양플랜트 개발 사업에 속도가 붙는다. 멕시코 규제 기관의 승인이 떨어지면서 개발이 가속화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에너지 기업 우드사이드 에너지(Woodside Energy, 이하 우드사이드)는 멕시코 규제 기관인 국가탄화수소위원회(Comisión Nacional de Hidrocarburos, CNH)로부터 트리온(Trion) 초심해 석유 개발 프로젝트 개발 승인을 획득했다. 트리온 자원 개발은 합작 투자 승인과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했다. 앞서 우드사이드는 트리온 초심해 석유 개발 프로젝트를 위해 72억 달러(약 9조5000억원) 예산 규모로 최종투자결정(FID)을 내렸다. <본보 2023년 6월 21일 참고 'HD한국조선·삼성중공업 눈독' 멕시코 해양플랜트, '9조원 규모' 사업비 확정> 이어 멕시코 규제당국의 개발 승인을 획득하면서 프로젝트 실행도 빨라진다. 현재 트리온 유전 개발의 주요 계약은 확정됐다. 트리온의 부유식 원유생산 저장 하역 설비(FSO)은 네덜란드 해양플랜트 업체인 SBM오프쇼어(SBM Offshore
[더구루=길소연 기자] 1조8000억원 규모의 필리핀 잠수함 수주를 위한 경쟁이 한국과 프랑스, 스페인 3파전으로 압축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필리핀 잠수함 수주전에 한화오션의 KSS-III 잠수함, 스페인 국영 조선소인 나반티아(Navantia)의 S-80급, 프랑스 나발 그룹의 스코르펜(Scorpene) 잠수함이 최종 후보로 이름을 올렸다. 한화오션은 지난해부터 필리핀 군과 잠수함 프로젝트를 위한 물밑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필리핀에 잠수함 수출을 위해 기술력을 현지에 알리고 있다. 한화오션은 필리핀 해군 맞춤형으로 개발한 1400t급 'DSME 1400PN' 잠수함을 선보였다. 이는 인도네시아에 수출했던 DSME1400급 잠수함을 바탕으로 국내 '장보고-3'급 잠수함의 고사양 장비를 반영한 모델이다. 특히 한화오션은 2019년에 인도네시아와 맺은 2차 잠수함 계약 물량을 필리핀에 넘긴다는 방안도 고려중이다. <본보 2023년 8월 14일 참고 한화오션, 필리핀과 잠수함 물밑 협상> 스페인 나반티아는 현대식 S-80급 잠수함 2척의 공급을 제안했다. AIP 탑재형 S-80급 선도함 아이작 페럴(Isaac Peral, S81)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