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직접리튬추출(DLE) 기술 회사 인터내셔널 배터리 메탈스(International Battery Metals, IBAT)가 북미 최대의 1차 마그네슘 생산업체 US 마그네슘(US Magnesium)에 세계 최초 모듈식 DLE 플랜트를 설치한다. DLE 플랜트가 본격 가동되면 자동차 제조업체의 전기차 배터리용 리튬 수요 증가와 증가하는 전력 수요를 지원하고 재생 에너지 통합 증가로 인한 전력망 균형을 맞추기 위한 에너지 저장 배터리(ESS)에 사용된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IBAT는 지난 6일(현지시간) US 마그네슘과 세계 최초의 모듈형 DLE 플랜트 설치 계약을 체결했다. 모듈형 DLE 공장은 유타주 솔트레이크시티 외곽에 위치한 US마그네슘의 사업장에 설치된다. IBAT는 플랜트 설치를 위해 지난 한 달간 US 마그네슘 현장에서 특허받은 모듈형 추출 플랜트의 파이프와 유틸리티 연결과 기타 설치 활동을 포함한 대부분의 장비 설치를 시작했다. 현재 핵심 장비에 대한 초기 테스트가 진행 중으로, 향후 3개월 이내에 전체 시운전과 가동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DLE 플랜트 설치 후에는 상업용 리튬 생산이 시작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배터리업체 에노빅스(Enovix)가 미국 공장 인력을 대거 구조조정했다. 최근 말레이시아 공장이 가동을 본격화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에노빅스는 캘리포니아주(州) 프리몬트 공장의 인력 170여명을 해고했다. 앞서 이 회사사는 지난해에도 185명을 정리한 바 있다. 이는 최근 말레이시아 페낭에 위치한 신규 공장이 양산 준비를 끝마친 데 따른 것이다. 페낭 공장은 지난달 공장 승인 테스트(FAT)를 통과했고, 분기부터 실리콘 배터리 샘플 생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에노빅스는 작년 3월 말레이시아 공장 건설 계획을 발표한 이후 약 900억원을 투자했다. <본보 2024년 4월 17일자 참고 : '한송네오텍 파트너' 에노빅스, 말레이시아 공장 양산 초읽기> 이 회사는 △우수한 기술 인재풀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장비·재료 공급사와 근접성 등을 이유로 페낭을 글로벌 거점으로 선정했다. 실제로 페낭에는 인텔, 인피니온, AMD, 마이크론 등 반도체 업체를 비롯해 루미레즈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에노빅스는 그라파이트 대신 100%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미국 배터리 제조업체 ESS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스키폴국제공항에 장기 에너지 저장장치(LDES)를 설치했다.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시장 진출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ESS는 스키폴공항에 설치한 에너지 저장장치의 시운전을 완료했다고 8일 밝혔다. ESS는 에너지 저장장치 운영을 통해 스키폴공항 격납고에서 항공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디젤 전력장치를 단계적으로 폐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스키폴공항은 2030년 탄소 배출 제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에릭 드레셀휴이스 ESS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프로젝트는 우리의 장기 에너지 저장장치가 공항을 운여하는 데 깨끗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에너지를 안전하게 제공하고 화석 연료 의존도를 줄일 수 있는 청사진을 제공한다"면서 "유럽 내 다른 공항으로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ESS는 2011년 설립한 배터리 제조업체다. 빌 게이츠가 설립한 브레이크스루 에너지 벤처스가 이 회사에 투자해 주목을 받았다. 소프트뱅크그룹의 신재생에너지 자회사 SB에너지도 주요 투자자다. 지난 2021년 10월 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그로와트 뉴에너지(Growatt New Energy Co.,Ltd, 이하 그로와트)와 미국 주거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사업에 협력한다. LG 배터리와 그로와트 인버터의 호환 여부를 검증했다. 8일 그로와트에 따르면 이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과 미국에서 호환성 테스트를 진행했다. 양사는 LG에너지솔루션과 주거용 ESS 배터리 '프라임'과 그로와트의 'MIN' 인버터를 연동했다. 그로와트의 모니터링 플랫폼을 '시네툴스(ShineTools)'를 활용해 정상 작동하는지 살폈다. 그로와트는 2010년 중국 선전에 설립된 인버터 회사다. 150개 이상 특허를 보유하며, 전 세계에서 20개 이상 인증을 획득했다. 북미와 남미, 유럽, 아프리카 등 150개가 넘는 국가에서 제품을 팔며 지난 2022년 S&P글로벌 코모디티 인사이츠의 조사에서 글로벌 가정용 인버터 출하량 1위를 기록했다. 미국 컨설팅 회사 프로스트앤설리번이 선정한 글로벌 가정용 하이브리드 인버터 기업 1위, 태양광 발전(PV)용 인버터 3위에도 올랐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전 세계에서 인정받은 그로와트와 협력해 미국 주거용 ESS 시장을 공략한다. 미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과 현대자동차그룹 간 차세대 배터리 동맹이 '베일'을 벗었다. 단순 리튬이온배터리 공급을 넘어 전고체 배터리 기술 개발에 손을 잡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점에 나선다. 8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삼성SDI가 현대자동차·기아차와 작년 8월 공동 출원한 '습도 안정성이 우수한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특허번호 CN117895061A)'이라는 제목의 특허를 지난달 말 승인했다. 삼성SDI와 현대차그룹의 기술 개발 파트너십 결과물이 대외적으로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삼성SDI와 현대차그룹 간 협력은 지난 2020년으로 거슬러 올라 간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그 해 5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회동했다. 이 회장과 정 회장은 삼성SDI 천안사업장과 현대차그룹 남양기술연구소를 번갈아 방문하며 전고체 배터리와 자율주행차, 수소 전기차 개발 현황 등을 살피고 폭넓은 협력 방안을 모색했다. 재계 1·2위 수장 간 단독 회동이 결실을 맺은 것은 이듬해부터다. 삼성SDI와 현대차는 원통형 배터리를 공동 개발하고 전고체 배터리까지 파트너십 확대도 검토키로 했다. 작년엔 삼성SDI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솔루션 큐셀부문(이하 한화큐셀)이 미국 전 공화당 의원들이 다수 포진한 컨설팅 업체 '벤처 거버먼트 스트레티지스(Venture Government Strategies, 이하 벤처)'에 대관 업무를 맡긴다. 솔라허브 건설에 따른 지원을 촉구하고, 반덤핑 관세 부과를 압박하며 현지 정부와 소통을 강화한다. 7일 벤처에 따르면 이 회사는 한화큐셀의 미국법인 '큐셀 아메리카'와 대관 자문 계약을 체결했다. 켄자스주 공화당 하원의원 출신 케빈 요더와 리차드 쉘비 전 앨라배마주 상원의원(공화당), 쉘비 전 의원의 보조관을 지냈던 해밀턴 블룸이 팀을 이뤄 큐셀 아메리카의 대관 업무를 지원한다. 팀을 이끌 요더 파트너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켄자스주 의원을 지냈다. 하원 국토안보 세출 소위원회, 입법부 세출 소위원회 등을 지내며 예산 전문가로 알려졌다. 한화큐셀이 공장을 둔 미국 조지아의 브라이언 켐프 주지사도 공화당 출신이다. 이를 고려해 미국 정부에 효과적으로 회사 입장을 전달하고자 벤처와 손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한화큐셀은 2019년 미국 조지아주 달튼에 연간 1.7GW 규모의 모듈 공장 운영을 시작한 후 사세를 키우고 있다. 작년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애리조나주와 손잡고 우수 인재 확보에 나선다. 북미 지역 2번째 단독 생산시설인 애리조나 공장 완공에 앞서 현지 인력풀을 선점해 경쟁력을 강화한다. 6일 케이티 홉스 애리조나주 주지사실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은 센트럴애리조나대학교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주정부의 인력 육성 프로그램인 '퓨처48 워크포스 액셀러레이터(Future48 Workforce Accelerators )' 일환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센트럴애리조나대학교와 협력해 자사 맞춤형 인재를 육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터리 기술 관련 강의를 실시하고, 인턴십과 채용 연계 프로그램 등도 진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를 통해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전문 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애리조나주는 일자리 창출 효과를 거둘 수 있다. 퓨처48 워크포스 액셀러레이터는 애리조나주가 작년 6월 개시한 이니셔티브다. 산업계와 고등 교육 기관이 협력해 인력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첨단 제조업 분야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마련됐다. 애리조나주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오는 2026년까지 견습생 수를 두 배로 늘린다는 목표다. LG에너지솔루션은 애리조나주 퀸크리크에 7조2000억원을
[더구루=정예린 기자] 카타르가 태양광을 중심으로 친환경 에너지원 도입을 가속화하며 중동 내 새로운 재생에너지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다. 광전지 수요가 급증하며 우리 기업들이 수주 기회를 적극 공략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4일 카타르 기획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카타르의 태양광 전지 수입량은 7244만 달러를 기록했다. 전년(1만2000달러) 대비 6만% 이상 증가한 수치다. 카타르의 태양광 전지 수입량이 본격적으로 증가하기 시작한 것은 정부 발주 태양광 프로젝트가 시작된 지난 2021년이다. 대부분의 태양광 전지는 중국으로부터 수입 하고있다. 중국 수입 규모는 2022년 2541달러에서 2023년 7229만 달러로 급증했다. 이밖에 △인도 △덴마크 △독일 등으로부터 수입량도 늘고 있다. 한국도 지난 2021년 카타르 태양광 전지 시장에 본격 진출하기 시작했다. △2021년 15만 달러 △2022년 16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했다. 미국 등 선진 시장에서 중국 기업의 저가 공세를 따돌리고 기술력과 효율성으로 경쟁력을 확보한 경험이 있는 만큼 카타르에서도 수출 규모가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타르는 국가 비전 2030 일환으로 오는 2030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수소회사 '오뮴 인터내셔널(Ohmium International, 이하 오뮴)'과 인도 대기업 '타타그룹'이 손을 잡았다. 오뮴으로부터 전해조를 조달해 인도 그린수소 공급망을 구축한다. 4일 오뮴에 따르면 오뮴은 최근 타타그룹 산하 EPC(설계·조달·시공) 업체 '타타 프로젝트(Tata Projects, 이하 타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오뮴이 양성자교환막(PEM) 전해조를 납품하고 타타가 EPC 프로세스를 관리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인도에 그린수소 생산 체계를 수립한다는 목표다. 오뮴은 고성장이 예상되는 인도 시장을 선점할 수 있고, 타타는 현지 수소 시장이 본격 개화하기 전 수소 설비 전문 EPC 역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오뮴은 지난 2020년 설립된 수소 스타트업이다. 확장 가능한 모듈식 PEM 전해조를 개발·생산한다. 미국 네바다주에 본사를 두고 있지만 제조 허브는 인도에 위치한다. 기술력도 인정받고 있다. 3개 대륙에 걸쳐 2GW가 넘는 그린수소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작년 글로벌 임팩트 투자 플랫폼 TPG 라이즈 클라이밋(TPG Rise Climate)이 주도한 시리즈C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가 2026년 7조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 북미의 배터리 셀 생산량 비중은 2030년 20%로 확대된다. 미국 시장이 성장하며 LG에너지솔루션과 파나소닉 등 미국에 진출한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의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4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과 시장조사기관 프리도니아 그룹에 따르면 미국 자동차 배터리 수요는 2021년 72억 달러(약 9조9100억원)에서 2026년 128억 달러(약 17조6200억원)로 증가한다. 자동차용 리튬이온 배터리 수요는 2026년까지 55억 달러(약 7조57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수요가 증가하며 배터리 산업도 성장세다. 시장조사기관 IBIS월드는 미국 배터리 제조 산업의 매출이 올해 총 120억 달러(약 16조5200억원)로 리튬이온 배터리를 포함한 이차전지는 73억 달러(약 9조9400억원)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배터리 셀의 생산이 급속도로 증가한다. 글로벌 컨설팅 업체 맥킨지는 북미가 2030년까지 전 세계 배터리 셀 생산량의 20%를 차지한다고 봤다. 분리막과 전해질은 공급이 부족해 당분간 아시아에서 수입해야 하지만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큐셀이 현지 전력사에 매각한 150㎿ 규모의 미국 와이오밍주 태양광 발전소가 본격 가동에 돌입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서던파워(Southern Power)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와이오밍주 라라미 카운티(laramie county)에 있는 150MW 규모의 사우스 샤이엔(South Cheyenne) 태양광 발전소 상업운영을 시작했다. 발전소 가동시 연간 350GWh의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고 현지 기업들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우스 샤이엔 태양광 발전소는 서던 파워의 30번째 태양광 시설이자 와이오밍의 첫 태양광 시설이다. 한화큐셀이 라라미 카운티 내 1391에이커(약 562만㎡) 상당 부지에 건설했다. <본보 2022년 11월 7일 참고 한화큐셀, 美 와이오밍 태양광사업 내년 3월 첫삽 뜬다> 태양광 발전에서 생산된 전기관련 재생 에너지 크레딧은 블랙 힐스 에너지(Black Hills Energy)의 연료 및 전력 회사인 샤이엔 라이트, 퓨얼 앤 파워 컴퍼니(Cheyenne Light, Fuel and Power)가 가진다. 양사는 20년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로빈 보렌(Robin Bor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배터리업체 에노빅스(Enovix)가 세계 5대 스마트폰 위탁생산 업체 가운데 한 곳에 배터리를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에노빅스는 이름을 공개하지 않은 스마트폰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와 개발 계약을 맺었다고 3일 밝혔다. 에노빅스는 이를 위해 말레이시아 페낭에 위치한 공장에서 배터리 셀 제조를 시작했다. 2분기 첫 번째 샘플을 배송할 예정이다. 이후 페낭 공장에서 양산을 시작할 계획이다. 라즈 탈루리 에노빅스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계약을 통해 우리의 실리콘 배터리가 차세대 스마트폰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증명했다"면서 "최고의 고객 한 곳과의 협력 관계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어 "스마트폰 배터리 요구 사항은 엄청나게 엄격하며 소비자 가전 제품보다 광범위하게 표준을 설정한다"면서 "우리의 목표는 배터리 수명을 저하하지 않으면서 까다로운 인공지능(AI) 응용프로그램을 구현할 수 있는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에노빅스는 그라파이트 대신 100%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한 리튬이온 배터리를 개발하는 기업이다. 기존 배터리 대비 에너지 밀도가 최대 두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 정부가 원전 사업에 대한 타당성조사에 나선다. 관련 부처·기관의 협업을 통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을 준수하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원전을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에너지 전환에 한 걸음 다가가고자 원전 사업에 다시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말레이시아 에너지전환수자원부(PETRA)와 월드뉴클리어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말레이시아는 신규 원전 도입을 위한 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PETRA 산하 마이파워 코퍼레이션(MyPOWER Corporation)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지침에 따라 준비 작업을 주도한다. 각 부처와 관련 기관들이 협업하며 IAEA 마일스톤 접근법(Milestones Approach)을 따른다. 이 접근법은 처음으로 원전 도입을 검토하거나 계획하는 국가를 지원하고자 IAEA에서 권고하는 단계적 접근 방식이다. 원전 준비와 건설, 운영, 폐기 등 단계를 명확히 구분하고, 단계별로 필요한 활동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제도적 기반 수립과 안전 관리 체계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 등을 담고 있다. PETRA는 이번 조사를 통해 국제 표준을 충족하는 원전을 개발한다는 계획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포스트 5G·6G 시대를 겨냥한 고용량·고속 플래시 메모리 모듈 시제품을 개발하며 기술 한계를 뛰어넘었다. 대규모 인공지능(AI) 처리, 실시간 데이터 분석, 스마트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키옥시아에 따르면 5TB 용량과 초당 64기가바이트(GB) 전송 속도를 동시에 구현한 플래시 메모리 기반 모듈 시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일본 국가 연구개발기관 '신에너지산업기술개발기구(NEDO)'가 위탁한 '5G 이후 정보통신 시스템 인프라 강화 R&D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이번 시제품은 기존 D램 기반 메모리에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대용량과 고속 전송을 동시에 구현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키옥시아는 각 메모리 보드에 컨트롤러를 체인처럼 연결하는 '데이지 체인' 구조를 적용, 플래시 메모리 수가 많아져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떨어지지 않도록 했다.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을 수 있는 '프리페치 기술'을 활용해 신호 왜곡을 보정하며 저전압 신호를 사용하는 기술로 메모리 대역폭을 높였다. 데이터 전송에는 기존 병렬 방식이 아니라 4레벨 전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