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지난해 전체 발전량의 4.98%를 원전에서 얻었다. 작년에만 30조원이 넘는 신규 원전 사업이 당국의 승인을 받으며 원전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일(현지시간) 펑파이신문 등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원전 발전량이 전년 대비 2.52% 증가해 4177억8600만KWh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발전량의 4.98%를 차지한다. 가동 시간은 7547.7시로 나타났다. 발전소 별로 살펴보면 타이산 원전 1호기는 2021년 7월 31일 점검에 들어가 잠정 폐쇄됐지만 이듬해 8월 15일부터 재가동됐다. 팡청강·시다오 원전은 작년 말까지 전력망에 연결되지 않아 이번 발전량 통계에는 적용되지 않았다. 중국은 작년 말 기준 총 55기를 가동하고 있다. 설비용량은 5만6986MWe에 달한다. 중국 정부가 에너지 안보 강화와 탄소 배출 감소의 수단으로 원전을 주목하고 있어 향후 원전 설비용량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에만 2000억 위안(약 37조원)에 달하는 총 10기의 원전 건설을 승인했다. 원전 시장 규모는 2025년 3000억 위안(약 56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영국 롤스로이스가 폴란드 인더스트리아(Industria)와 소형모듈원자로(SMR) 건설에 협력한다. 최대 3기를 구축하고 수소 생산을 돕는다. [유료기사코드] 롤스로이스는 폴란드 산업개발기관(Industrial Development Agency, 이하 IDA) 산하 인더스트리아와 SMR 의향각서(Memorandum Of Intent)를 체결했다고 지난 8일(현지시간) 밝혔다. 인더스트리아는 SMR을 통한 수소 생산을 모색하고 있다. 연간 5만t 생산을 목표로 SMR 3기를 배치할 계획이다. 2030년대까지 폴란드 남부에 위치한 8GW의 석탄화력 발전소를 SMR로 대체한다는 목표다. 인더스트리아는 SMR 파트너사로 롤스로이스를 택했다. 롤스로이스의 SMR은 냉각재로 물을 사용하는 경수로형 원자로다. 모듈 형태로 사전 제작한 뒤 트럭이나 배로 운송하는 방식으로 건설 비용이 대형 원전보다 건설 비용이 10분의 1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슈체판 루만 인더스트리아 최고경영자(CEO)는 "롤스로이스의 SMR 제조·프로세스는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며 "롤스로이스의 공급망 참여는 우리 지역과 폴란드 남부에 큰 기회다"라고 밝혔다. 롤스로이스는 폴란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필리핀에 바탄 원전을 5년 안에 재가동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내비쳤다. 바탄과 동일한 원자로형인 고리 2호기를 운영하며 쌓은 노하우를 앞세워 현지에서 주목받고 있다. 9일(현지시간) 마닐라스탠다드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카를로 아실라(Carlo Arcilla) 필리핀 원자력연구소(PNRI) 소장은 "한수원이 5년 안에 바탄 원전을 재가동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고 밝혔다. 투자비는 약 11억9000만 달러(약 1조5040억원)로 추산된다. 아실라 소장은 "바탄 원전에 가장 큰 관심을 보이는 건 한국"이라며 "한국에 정확한 모델이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한수원이 바탄 원전과 동일한 원자로형인 고리 2호기를 운영하고 있어 필리핀 진출에도 공을 들이고 있다는 뜻이다. 바탄 원전은 미국 웨스팅하우스가 필리핀 루손섬 남부에 지으려고 했던 발전소다. 1976년 착공해 1984년 공사를 거의 끝냈으나 스리마일·체르노빌 원전 사고 등으로 가동이 무산됐다. 필리핀 정부는 고질적인 전력난을 해결하고자 바탄 원전 재개를 모색했다. 2020년 17개 기관으로 구성된 원자력 프로그램 기관간 위원회(NEP-IAC)를 세우고 원전 건설의 타당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에스토니아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수주전에서 탈락했다. 미국 제너럴일렉트릭·일본 히타치제작소의 합작사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이하 GE히타치)에게 밀려 에스토니아 진출이 좌절되며 국내 파트너사들의 추가 수주에도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에스토니아 국영 원전기업인 페르미 에네르기아(Fermi Energia)는 SMR 공급사로 GE히타치를 선정했다고 8일(현지시간) 밝혔다. GE히타치와 경쟁해 온 뉴스케일파워는 떨어졌다. 페르미 에네르기아는 2030년대 초까지 SMR 건설을 목표로 입찰을 추진해왔다. 작년 9월 뉴스케일파워와 롤스로이스, GE하타치를 후보로 선정하고 평가를 진행했고 약 5개월의 검토 끝에 GE히타치의 BWRX-300를 택했다. BWRX-300는 뉴스케일파워의 VOYGR™보다 검증된 안전한 솔루션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BWRX-300은 비등형 경수로를 개량해 만든 300㎿ 규모의 SMR이다. 물로 연료의 잔열을 식혀 안전성을 보장하고 원전의 핵심 기기가 하나의 용기로 모듈화돼 건설 비용과 시간이 절감할 수 있다. 대형 원전 대비 용량 당 건설비 60%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BWRX-300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우크라이나 정부가 러시아 의존도를 낮추고자 신규 원전 건설에 본격적으로 돌입한다. 원전 사업을 수주한 웨스팅하우스와 파트너사인 두산에너빌리티의 동반 진출이 예상된다. 우크라이나 내각은 흐멜니츠키 원전 건설을 위한 결의안을 채택했다고 지난달 20일(현지시간) 밝혔다. 우크라이나 국영 원전운영사인 에네르고아톰(Energoatom)은 2021년 9월 웨스팅하우스와 원전 5호기를 건설하는 계약을 체결했었다. <본보 2021년 9월 3일 참고 한수원, 美 웨스팅하우스 밀려 우크라이나 원전 '아쉬운 고배'> 체르노빌 원전 사고 여파로 공사가 중단된 흐멜니츠키 4호기를 완공하고 추가로 4기를 건설하기로 했다. 이후 작년 6월 추가 계약을 통해 웨스팅하우스가 건설한 원전 수를 9기로 늘렸다. 호기당 비용은 약 50억 달러(약 6조2780억원), 총사업비는 450억 달러(약 56조5060억원)로 추정된다. 에네르고아톰과 웨스팅하우스는 이번 결의안을 토대로 흐멜니츠키 원전의 기술·경제적 타당성 조사를 시작한다. 2030~2032년 사이 2기를 건설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일정이 조정될 수 있다고 우크라이나 당국은 전망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히타치(日立)제작소와 미국 제너럴일렉트릭(GE)의 합작사 'GE히타치뉴클리어에너지'(이하 GE히타치)가 온타리오주에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배치한다. 캐나다 대형 건설사 에이컨(Aecon) 그룹을 비롯해 주요 파트너사와 계약을 맺고 2028년 준공을 목표로 건설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에이컨 그룹은 GE히타치, 온타리오발전(OPG·Ontario Power Generation), 캐나다 엔지니어링 회사 SNC-라발린과 SMR 건설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들은 6년간의 계약을 토대로 온타리오주 클레링톤에 300㎿급 BWRX-300을 짓는다. GE히타치는 주요 구성 요소의 설계·조달·엔지니어링을 담당하고 에이컨은 프로젝트 관리와 건설 계획·실행을 포함한 건설 서비스를 제공한다. OPG는 운영자 교육과 시운전, 이해관계자 지원 등을 맡으며 SNC-라발린은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제공한다. GE히타치와 파트너사들은 부지 준비를 이미 시작했다. 2028년 4분기 준공한다는 목표다. 상업운전이 시작되면 30만이 넘는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GE히타치는 캐나다에 BWRX-300를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스라엘의 소형 핵융합 에너지 솔루션 스타트업 NT-타오(NT-Tao)가 수백억원 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핵융합 에너지에 대한 연구에 투자금이 모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NT-타오는 1일(현지시간) 시리즈A 투자 라운드를 통해 2200만 달러(약 270억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은 에너지 인프라 기업 '델렉(Delek)'이 주도했으며 넥스트기어 벤처스, 혼다, 아워크라우드, 그랜섬 파운데이션 등이 참여했다. NT-타오는 에너지 불안정, 기후 위기 등의 문제를 해결할 게임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는 핵융합 에너지를 연구하고 있다. 핵융합 에너지는 태양의 에너지 생성방식으로 지구에 위에 태양을 구현하는 기술로 알려져있다. NT-타오는 아직 전세계적으로 연구 단계에 있는 핵융합 연구 레이스에 참여하며 이를 소형화 하는 기술도 함께 연구한다. NT-타오는 이번에 확보한 자금을 개발인력 확대에 투입한다. 또한 향후 시제품 개발 과정에도 투입할 계획이다. NT-타오 관계자는 "기후위기를 완화하기 위해 깨끗하면서도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해 소형 핵융합 원자로 개발에 나섰다"며 "핵융합 에너지를 개척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 실무진이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 파트너인 폴란드전력공사(PGE)를 찾았다. 폴란드 부총리·PGE 사장 등과 만나고 원전 협력을 다졌다. PGE에 따르면 폴란드 원전 사업 담당 부장을 포함한 한수원 실무진은 지난 1일(현지시간)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 PGE 본사를 방문했다.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 보이치에흐 동브로프스키 PGE 사장 등 현지 정부·업계 인사와 회동했다. PGE는 회의 직후 "부지 조사와 준비, 환경영향평가 보고서 준비 등 신규 원전 건설을 위한 주요 문제를 논의했다"고 전했다. 앞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스위스 다보스에서 사신 부총리와 만났었다. 약 보름 만에 실무진들이 폴란드를 찾으며 양국의 협력 분위기가 달궈지고 있다. 한수원은 한전기술, 한전KPS, 한전원자력연료, 두산에너빌리티, 대우건설 등과 '팀코리아'를 꾸리고 폴란드 신규 원전 사업을 추진해왔다. 작년 10월 말 폴란드와 양해각서(MOU)·사업협력의향서(LOI)를 체결했다. PGE, 폴란드 민간 발전사 제팍(ZEPAK)과 바르샤바에서 서쪽으로 240㎞ 떨어진 퐁트누프에 한국형 차세대 원전(AP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4세대 고온가스로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사 엑스에너지(X-energy)가 캐나다 알버타주에 진출한다. 캐나다 알버타주 투자청(Invest Alberta Corporation, IAC)과 'Xe-100' 건설에 협력한다. [유료기사코드] 엑스에너지는 IAC와 Xe-100 건설을 위한 구속력 없는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양측은 알버타주에 Xe-100 구축을 모색한다. △공급망 기회 식별 △지방 정부와의 파트너십 △Xe-100 건설 사업의 지분 투자에 관심이 있는 원주민 커뮤니티와의 소통 강화도 세부 협력 내용으로 포함됐다. IAC는 엑스에너지의 현지 사무소 설립도 지원한다. 엑스에너지는 Xe-100 배치로 최대 3800개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알버타주에서 다수의 인력을 뽑아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전력 수급에 기여할 전망이다. 원전에 대한 우호적인 여론도 엑스에너지에 호재다. 캐나다 앵거스 리드 연구소(Angus Reid Institute)가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캐나다인 5명 중 3명은 원전 확대를 지지했다. 알버타주 주민의 70%는 원전 운영에 찬성을 표명했다. 엑스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현지 엔지니어링 회사 GSE솔루션즈의 수소 플랜트 모델을 활용해 청정 수소 생산을 모색한다. 소형모듈원자로(SMR)와 수소 생산시설의 연동을 검토한다. [유료기사코드] GSE솔루션즈는 뉴스케일파워와 수소 플랜트 모델 개발에 협력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30일(현지시간) 밝혔다. 수소 플랜트 모델과 함께 GSE솔루션즈의 JProTM 동적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도입, 수소 생산 연구를 추진한다. SMR과 수소 생산시설을 연동하는 시나리오에 대한 기술·경제적 타당성도 평가한다. 뉴스케일파워는 독자 개발한 SMR VOYGR™을 활용해 수소 생산을 살펴왔다. VOYGR™에서 생산된 전기와 고온의 열을 기반으로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고 보고 지난달 다국적 에너지 기업 쉘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양사가 공동 추진하는 프로젝트명은 '경제적으로 최적화된 에너지통합시스템(Integrated Energy System, 이하 IES)을 위한 개념 개발·실증'으로 아이다호 국립연구소와 미국 발전사업자 UAMPS, 수소연료전지 기업 퓨얼셀에너지 등도 참여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2월 2일 참고 뉴스케일파워·쉘, 수소
[더구루=정등용 기자] 프랑스 핵융합 기술 개발 스타트업 르네상스 퓨전(Renaissance Fusion)이 신규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르네상스 퓨전은 연구 인력을 3배 늘리는 한편 신규 연구 장비 구매에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르네상스 퓨전은 30일 미국 기후 기술 VC(벤처 캐피털) 로어카본 캐피털이 주도한 시드 펀딩 라운드를 통해 1500만 유로(약 200억 원)의 투자 자금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로어카본 캐피털 외에 HCVC, 포지트론 벤처스, 노스켄 등 유럽 투자자들도 대거 참여했다. 지난 2020년 설립된 르네상스 퓨전은 현재 핵융합로에 사용되는 액체 금속과 고온 초전도 코일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액체 금속은 핵융합 반응실 내벽에 붙어 극한의 열과 방사능으로부터 벽을 절연하고 유지 관리 비용을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고온 초전도 코일은 강한 자기장을 생성해 더 작은 원자로가 큰 원자로와 동일한 성능을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르네상스 퓨전은 이미 사전 수익을 거두고 있는 가운데 오는 2024년 말까지 두 기술의 본격적인 판매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르네상스 퓨전은 현재 2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USNC가 프랑스 프라마톰(Framatome)과 초소형모듈원자로(MMR)용 연료 합작사를 세운다. 파일럿 생산시설을 가동한 경험을 바탕으로 2025년부터 대량 양산에 나서며 MMR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USNC는 프라마톰과 삼중피복입자(TRISO)·전세라믹미세입자핵연료(FCM) 합작사 설립을 위한 구속력 없는 계약에 서명했다고 지난 26일(현지시간) 밝혔다. USNC는 프라마톰과 파일럿 생산시설 운영에 협력해왔다. 테네시주 오크릿지 동테네시기술단지(East Tennessee Technology Park, 이하 ETTP)에 파일럿 공장을 짓고 작년 8월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그동안의 협력 경험을 토대로 TRISO부터 FCM까지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2025년 하반기부터 대량 양산을 추진한다. FCM은 TRISO 연료 입자를 함유하며 기존 핵연료보다 견고하며 고온에서 작동할 수 있다. MMR을 안정적으로 가동하기 위한 핵심 연로로 꼽힌다. USNC는 FCM을 양산해 핵연료 수요에 대응한다. USNC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캐나다 온타리오주 초크리버(Chalk River) 원자력연구소 부지에 5㎿ 규모 MMR을 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패권을 두고 미국과 경쟁하고 있는 중국이 자국산 반도체의 기술적 한계라는 벽에 부딪혔다. 딥시크의 자국 칩 사용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상당기간 중국이 미국 기술에 의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업계에 따르면 딥시크가 당초 5월 출시 예정이던 최신 거대언어모델(LLM) R2 출시를 당분간 미뤘다. 딥시크 R2 출시가 지연된 배경에는 중국 정부의 권고에 따라 도입한 화웨이 어센드(Ascend) 프로세서의 성능 문제가 있었다. 딥시크는 R2의 훈련 과정에 화웨이 어센드 칩으로 구성된 시스템을 도입했다. 문제는 어센드 칩 시스템이 단 한 번의 학습과정도 완료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화웨이 어센드 시스템은 R2 훈련에 필요한 막대한 양의 연산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딥시크는 R2의 학습은 엔비디아 칩, 추론은 화웨이 어센드 칩을 활용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해야만 했고 출시도 지연될 수 밖에 없었다. AI 모델 개발에서 훈련은 방대한 데이터를 처리하며 모델을 만드는 가장 연산 집약적인 단계이며, 추론은 이미 학습된 모델을 활용해 결과를 도출하는 것으로 하드웨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애플리케이션(앱)의 폭발적인 성장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비게임 앱의 지출 규모가 게임을 앞질렀다. AI 기술의 발전이 모바일 앱 시장의 지출 지형도를 바꾸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모바일 데이터 분석기업 센서타워의 '2025년 2분기 디지털 시장 지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글로벌 모바일 인앱결제 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11.5% 증가한 410억 달러(약 57조3430억원)를 기록했다. 센서타워는 조사를 시작한 이래 분기 수익으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비게임 앱 지출이 전년 동기 대비 24%나 급증한 211억 달러(약 29조5100억원)를 기록, 200억 달러(약 27조9700억원)에 머문 모바일 게임 부문을 사상 처음으로 넘어섰다. 10년 전 게임 부문 매출은 비게임 앱에 6배에 달했었다. 비게임 앱의 매출 성장은 구독 모델의 보편화와 숏폼 플랫폼 틱톡의 수익화 전략 성공 등으로 모바일 결제에 대한 심리적 장벽이 낮아진 것이 일차적인 이유로 꼽힌다. 틱톡은 인앱 결제를 통해 크리에이터에게 보낼 가상 선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해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