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일본선급으로부터 암모니아 연료 기술을 인정받았다. 차세대 선박 연료로 주목 받는 암모니아 기술 경쟁력을 과시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해사협회(ClassNK)는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유조선과 컨테이너선용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에 대해 기본승인(AiP)을 발급했다. 일본해사협회는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지침에 따라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시스템의 개념 설계를 검토했다"며 "규정된 요건을 준수하는지 확인한 후 AiP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일본해사협회의 암모니아 연료 공급 시스템 AiP 인증 획득은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술력과 안전성을 검증받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본해사협회는 안전성 평가 측면에서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무공해 선박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해 왔다. 선박용 암모니아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과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기준으로, '대체 연료를 사용하는 선박에 대한 지침'을 발표했다. 지침에는 설치, 제어, 안전 장치에 대한 요구 사항이 있다. 암모니아는 연소 시 이산화탄소(CO2)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데다 공급 안정성과 보관·운송·취급이 비교적 용이하다. 탄소중립 시대를 준비하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지난 1월부터 7월까지의 조선업계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신고점을 경신한 것으로 조사됐다. 14일 발트국제해사협의회(BIMCO)에 따르면 올해 1~7월 총 약 120만 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물량의 컨테이너선이 완공·인도되며 같은 기간 최고 인도량 기록을 20만 TEU 차이로 넘어섰다. 선박 인도는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데 비해 해체 움직임이 미진했고, 결과적으로 전체 컨테이너선대 규모가 연초 이후 4.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컨테이너선 발주량은 2021년 신기록을 달성한 이후 둔화 추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컨테이너선 부문의 신규 발주량은 올해 현재까지 130만 TEU에 달하며, 조선업계 수주잔량 역시 지난 3월 수립된 최고치인 760만 TEU 대비 3000TEU 낮다. 수주잔량 영향으로 연간 컨테이너선 인도량은 2025년까지 3년 연속으로 종전 연간 최고치 170만 TEU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전망치는 △2023년 240만 TEU △2024년 290만 TEU △2025년 190만 TEU 등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 해운시장이 성수기에 돌입하며 물동량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더구루=길소연 기자] 선박 건조가가 상승 곡선을 그리는 가운데 국내 대형 조선업체들이 강세를 보이는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건조 가격이 치솟고 있다. 14일 영국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이달 4일 기준 173p를 기록했다. 4주 만에 가격 반등에 성공한 셈이다. 특히 우리나라 조선사들이 우위를 점하고 있는 LNG선 부문의 건조가 상승세가 돋보인다. 지난해 말 2억4800만 달러 선이었던 17민4000CBM급 LNG선 시장가격은 이달 4일 기준 2억 6200만 달러고 1400만 달러 증가했다. 실제로 HD한국조선해양은 공시를 통해 아프리카 소재 선사와 LNG선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며 "선가는 척당 2억6500만 달러로 동급 LNG선 기준 최고 선가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한국조선해양 지난달에도 북아메리카 소재 선사와 6861억원 규모의 LNG선 2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당시 업계에서는 척당 선가가 약 2억6131만 달러로 사상 첫 2억6000만 달러를 넘어선 17민4000CBM급 선형 최고 수주액이라고 추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이 친환경연료선의 기술 초격차를 유지한다. 친환경 연료추진에 대한 적극적인 기술개발을 통해 중국 등 경쟁국 대비 수주량이 앞서고 있다. 13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Clarksons Research)에 따르면 지난해 친환경연료 추진선 수주점유율이 한국 47.9%(1430만CGT), 중국 45.3%(1353만CGT), 일본 3.9%(118만CGT)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이 가장 높은 경쟁력을 과시했다. 같은 기간 전체 선박 수주량에서도 친환경연료 추진선 비율이 한국이 88.7%로, 61.1%의 중국과 30.2%의 일본보다 높았다. 국내에서는 한화오션이 지난해 381만5000CGT 규모 친환경연료 추진선을 수주(자국 수주량 비율 24.7%)해 이 부문 1위에 올랐다. 삼성중공업은 347만CGT로, 27.2%를 수주했고, HD현대중공업은 343만5000CGT, 5.0%, 현대삼호중공업이 256만3000CGT, 16.7%로 각각 3, 4, 5위에 이름을 올렸다. 2위는 중국 후동중화조선이 차지했다. 후동중화는 글로벌 친환경연료 추진선 발주량의 11.9%, 355만CGT를 수주했다.일본은 자국 발주 물량 수주로 경쟁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체연료선 시장에서 액화천연가스(LNG)추진선과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이 2강 구도를 보이고 있다. 12일 한국LNG벙커링산업협회와 노르웨이선급(DNV)에 따르면 올해 7월 말 기준 세계에서 운용 중인 선박(발주잔량 포함) 중 환경 규제에 대응하는 물량이 총 7622척으로, 지난 1년 사이 1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적 유류 연료보다 환경친화적 가스류 등 대체연료에 의한 대응은 2490척으로 지난 1년간 52.9%(861척)나 증가했다. LNG추진선 949척, 배터리 적용선박 1119척, LPG추진선 191척, 메탄올추진선 204척, 수소추진선 27척 등과 같다. 대체연료 별로 가장 비중이 큰 선종은 LNG추진선과 메탄올 연료 컨테이너선이다. 각각 26%, 70%로 집계됐다. 이어 LPG운반선 98%, 배터리 추진 페리 37% 등으로 기록됐다. 화물 적재 중량(DWT)을 기준으로는 대체연료 선박의 비중이 운항 선박 중에서는 1.46%(LNG 1.21%, 메탄올 0.05%, LPG 0.19%)에 불과하나, 발주 잔량에서는 36.51% 중 LNG 23.05%, 메탄올 10.72%, LPG 2.73%, 수소 0.01%를 차지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운영사 엑셀러레이트에너지(Excelerate Energy)가 '바다 위 LNG 터미널'로 불리는 부유식 가스 저장·재기화 설비(FSRU)를 추가 도입한다. 글로벌 공급망 생태계에 대한 대비와 더불어 선단 유연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엑셀러레이트 에너지는 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보고서를 통해 영업이익 8860만 달러(약 11965억원)을, 당기 순이익 2960만 달러(약 389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5만9000㎥급 FSRU 엑셀시어(Excelsior, 2005년 건조)의 운항, 17만3400㎥ FSRU 세쿼이아(Sequoia, 2020년 건조)호의 운영리스 비용 감소, 방글라데시로 향하는 두 건의 현물 LNG 화물 판매가 주효했다. 스티븐 코보소(Steven Kobos) 엑셀러레이트 최고경영자(CEO)는 "2분기 재무 결과는 핵심 재기화 사업의 꾸준한 성과와 전 세계 FSRU에 대한 수요에 대한 증거"라며 "글로벌 시장이 에너지 보안의 필요성을 계속 강조하면서 재기화 서비스의 가치는 커졌다"고 말했다. 이어 "2026년 6월에 HD현대중공업으로부터 17만㎥급 FSRU 신조 1척을 인도받을 예정"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건조에 참여한 러시아 쇄빙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이 진수됐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즈베즈다(Zvezda) 조선소는 러시아 에너지기업인 노바텍이 운영하는 북극 LNG-2 프로젝트에 투입될 17만2600㎥급 아크7(Arc7)쇄빙 LNG 운반선 '세르게이 위트(Sergei Witte)'를 진수했다. 즈베즈다는 LNG 운반선 외에도 로즈네프테플로트(Rosnefteflot)의 석유 셔틀 탱커인 '발렌틴 피쿨'(Valentin Pikul)도 진수했다. 이번에 진수한 쇄빙 LNG운반선은 즈베즈다가 삼성중공업과 파트너십을 맺고 노바텍의 북극 LNG-2 프로젝트를 위해 건조 중인 15척의 쇄빙 LNG 운반선 중 세 번째 선박이다. 삼성중공업은 2019년 러시아 국영 조선소 즈베즈다와 쇄빙 LNG운반선 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즈베즈다는 이듬해 11월에 첫 번째 선박을 공식적으로 건조하기 시작했다. 노바텍과 소브콤플로트, 러시아 국가개발공사 VEB.RF(브네시코놈뱅크)는 2020년에 즈베즈다와 선박 건조와 용선 계약을 마무리했다. 삼성중공업은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에도 불구하고 건조 대금 지불 문제를 불식시키며 즈베즈다에서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해양 시추선사 발라리스(Valaris)가 4억 달러(약 5300억원) 규모의 사모 투자 공모를 진행한다. 한화오션 드릴십(원유시추선)에 대한 인도금을 마련하기 위한 차원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발라리스와 발라리스 파이낸스 컴퍼니는 2030년 만기의 선순위 담보 후순위 채권 추가 발행을 위해 4억 달러 규모의 사모 투자 공모를 진행한다. 공모를 통해 마련된 자금은 한화오션 드릴십 구매 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이번 공모는 오는 8월21일 마감된다. 추가 발행 채권은 오는 2030년 4월30일 만기되며 액면가의 100.75%로 발행된다. 발라리스는 한화오션으로부터 인도 받을 예정인 초심해 시추선 DS-13과 DS-14 구매 잔여 대금으로 3억3700만 달러(약 4400억원)를 납부한 후 나머지를 기업 운영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앞서 발라리스는 지난 2013년 한화오션과 총 11억3000만 달러(약 1조4900억원) 규모의 드릴십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발라리스는 이후 구매 계약의 70%를 지급했지만 경영난이 발생하며 인도 시기가 지연돼 왔다. <본보 2023년 8월 4일 참고 한화오션
[더구루=길소연 기자] 케이조선이 8만DWT 안팎의 파나막스급 선박 LR1(Long Range1) 석유화학제품선 2척에 대한 수주 가능성이 커졌다. 미국 인터내셔널 시웨이즈(International Seaways)는 9일(현지시간) 2분기 실적 발표에서 선박 인수 계획에서 케이조선에 2척의 LR1 탱커 신조선 발주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발주가 확정되면 2021년 3월 한화조선에 이중연료 LNG 추진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3척을 발주한 이후 2년 만에 신조선을 발주한다. 인터내셔널 시웨이즈는 2016년부터 전 세계의 원유 제품, 화학 탱커선을 취급하고 있다. 항해, 상업용 선박 정기 전세를 통해 고객에게 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VLCC 13척, 수에즈막스 13척, 아프라막스/LR2 5척, LR1 7척, PC선 37척을 포함해 총 75척의 선박을 소유, 운영하고 있다. 이중 LR1은 2011년 이전 건조된 선박들이라 신조 발주를 추진한다. 인터내셔널 시웨이즈는 선박 인도 후 정기 용선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LR1 선박은 지난 1분기에 정기 용선 등가물(TCE)로 평균 7만 달러(약 9236만원) 이익을 냈다. 5월의 마지막 수익 보고서에서는 7만9200
[더구루=길소연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Aramco)가 세계 최대 유전지대 중 하나인 사파니야(Safaniyah) 유전의 입찰을 또 연기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아람코는 사파니야 해상 유전 확장을 위한 최소 10개의 해상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설치(EPCI) 계약에 대한 입찰 프로세스를 연기했다. 지난달 사파니야 확장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었으나 이달 말로 연기됐다. 사파니야는 현재 약 130만 배럴을 생산하고 있다. 확장 단계가 진행되면 이 유전의 생산량은 최대 200만 배럴까지 늘어난다. 여러 역외 EPCI 거래는 총 100억 달러(약 13조원)이상의 가치가 있다. 아민 알나세르(Amin H. Nasser) 아람코 최고경영자(CEO)는 "사파니야에서 하루 약 70만 배럴의 증산을 기대하고 있다"면서도 정확한 일정은 밝히지 않았다. 아람코는 작년 하반기부터 사파니야 해상 증분 계획에 대한 기술·상업적 제안이 담긴 입찰을 진행했다. 입찰서 제출일 연장으로 당초 일정보다 최소 7개월 이상 지연됐다. 입찰이 지연되고 있지만 프로젝트가 보류될 가능성은 낮다. 아람코는 현금 흐름이 탄탄한 반면, 지출에도 신중을 기하고 있다. 사파니야 확장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와 현대제철이 일본 철스크랩(고철) 감소로 원자재 공급 위기에 직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본의 고철 가용성 감소가 한국의 철강 생산업체에 공급 문제를 일으킬 것이라는 주장이다. 8일 미국의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 글로벌(S&P Global)에 따르면 2030년 세계 고철 수요는 2021년보다 15.1% 증가한 7억7800만톤(t)에 달할 전망이다. 2050년에는 9억6400만t으로 증가한다. S&P글로벌은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와 마찬가지로 고철의 전 세계 소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측한다. 철강사들은 현재 전기로 건설에 증설 계획을 집중하고 있고, 중국 등 주요 수요처는 수입 원자재에 대한 품질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S&P글로벌은 아시아 최고의 고철 공급국인 일본이 원자재 수요를 증가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2030년에 일본 내 고철에 대한 수요는 2021년에 비해 19.3% 증가한 3200만t 이상에 이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수출되는 일본 고철의 잉여는 518만t으로 감소할 수 있다. 또 일본도 전기로 신설투자가 확대되면서 고철 수출 여력도 줄고 있다. 일본의 고철 가용성 감소는 한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와 한화오션이 인도네시아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3척의 수주 경쟁을 펼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국영 석유공사 페르타미나(Pertamina)는 17만5000㎥ 용량의 최대 3척의 LNG 운반선 신조선 입찰 제안을 시작했다. 신조선 건조 조선소와 선박을 용선할 선주를 찾기 위해 입찰을 본격화한다. 페르타미나는 국제 LNG 운송 사업에 진출하면서 자체 생산, 거래 물량을 운송하는 데 LNG 운반선을 사용하기 위해 신조 건조를 추진하고 있다. 3척의 수주가는 7억8000만 달러(약 1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17만4000㎥급 LNG 운반선의 신조선가 지수는 260.0(2억6000만달러, 3300억여원)으로 기록됐다. 최근 HD현대중공업이 수주한 동급 LNG 운반선의 가격은 척당 2억6500만 달러(약 3466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페르타미나는 신조선 건조사로 한국 조선소를, 용선 선주사로는 일본 해운사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국내 조선소 중에는 HD현대와 한화오션이 거론된다. 한국과 인니가 에너지 분야를 협력하고 있어 한국 조선소를 찾을 가능성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