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정부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반발하는 반정부 시위, 일명 '백지시위'가 중국 전역에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시위 모습을 담은 사진 NFT(대체불가토큰) 컬렉션이 대거 등장하고 있다. 27일 글로벌 최대 NFT 마켓플레이스인 오픈씨에 '중국 백지시위'의 모습을 담은 NFT 컬렉션 '사일런트 스피치(Silent Speech)'가 등록됐다. 해당 NFT는 폴리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제작됐으며 백지시위의 모습을 담은 사진 135장으로 구성됐다. 사일런트 스피치는 27일부터 경매에 돌입했으며 입찰가는 0.01이더리움이었다. 사일런트 스피치 외에도 블랭크 페이퍼 무브먼트(Blank Paper Movement)라는 NFT 컬렉션도 등장했다. 해당 NFT는 백지 시위 참여한 사람들의 모습을 담고 있으며 총 24장의 이미지로 구성됐다. 한편 중국에서는 정부의 제로코로나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가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번 시위는 소셜미디어 사용에 익숙한 2030세대 젊은층이 주축이돼 확산되고 있다. 현재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등 12개 이상의 도시에서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위대들은 중국 당국의 검열과 통제에 저항한다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몰입형 경험 콘텐츠 제작 플랫폼 'VR잼(VRJAM)'이 자체 코인을 공개하고 판매에 돌입한다. VR잼은 코인 상장으로 생태계 확장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이더리움 스테이킹 플랫폼 스타트업 킬른(Kiln)이 대규모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킬른은 이더리움 스테이킹 생태계를 연결하는 브릿지 역할을 확대하는데 자금을 투자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가상화폐 자산운용사 비트와이즈가 비트코인 선물 ETF 출시를 저울질 하고 있다. 크립토 윈터(가상화폐의 가치가 폭락하고 거래량이 저조한 시기)가 예상보다 길지 않을 것이란 판단에서다. 비트와이즈는 29일 세계 최대 선물 거래소인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비트코인 선물 ETF를 빠른 시일 내에 상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종목 기호는 BITC(Bitcoin Strategy Optimum Yield)가 될 전망이다. 비트코인 선물 ETF는 이미 그 상품성을 인증한 바 있다. 작년 10월 출시된 미국 최초의 비트코인 선물 ETF의 경우 첫날 거래량 10억 달러(약 1조3380억 원)를 기록하기도 했다. 비트와이즈가 비트코인 선물 ETF 출시를 추진하는 데에는 가상화폐 시장의 반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약 5억 달러(약 6998억 원)의 운용 자산을 보유한 미국 최대 블록체인 ETF인 ‘앰플리파이 트랜스포메이셔널 데이터 쉐어링 ETF(BLOK)’는 오랜 하락세를 끝내고 최근 0.1%의 수익률을 기록하며 반등했다. 작년 10월 출시 후 주로 비트코인 선물에 투자한 ‘프로쉐어즈 비트코인 스트래터지 ETF’도 한때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르헨티나의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거래소 레몬캐시(Lemon Cash)가 대규모 구조조정을 진행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분산형 자율조직(DAO) 개발, 분산형 금융(DeFi) 프로젝트 등을 관리하는 암호화 플랫폼 'XDAO'가 시드 투자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두바이의 가상자산규제당국(VARA)가 FTX에 발급한 라이선스를 취소했다. FTX는 중동에서 정식 서비스를 준비해오다 파산으로 사업을 중단하게 됐다. VARA는 24일(현지시간) FTX에 발급된 라이선스를 취소한다고 밝혔다. 이번 라이선스 취소는 당연하게도 FTX의 파산으로 인한 것이다. FTX는 지난 3월 두바이에서 가상 자산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VARA의 출범은 단 며칠 만에 발표된 라이선스 발급이었다. FTX는 라이선스 발급 이후 두바이에 지역본부(FTX MENA)를 신설하고 중동 거래소 사업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난 7월에는 샘 뱅크먼 프리드 창업자가 트위터를 통해 FTX가 VARA의 규제를 받게됐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번 라이선스 발급 취소로 FTX는 두바이에서 제대로 된 사업을 하기 전에 퇴출되게 됐다. FTX MENA는 현지 본부를 통해 가상 자산 서비스를 준비해왔으면 아직 테스트 단계에 머물러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VARA도 이번 라이선스 취소와 관련해 FTX가 아직 국내 은행 계좌도 발급하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덧붙였다. 한편 FTX는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에 파산법 11조(챕터 11)에
[더구루=최영희 기자] 국내 최초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이 오는 30일 저녁 7시 자사 광고모델인 배우 주현영과 함께하는 스페셜 라이브챗 이벤트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올해 영화배우 마동석과 함께 코빗의 광고 모델로 발탁된 주현영은 인기 예능 프로그램 SNL코리아에서 지난해 ‘주기자’ 캐릭터로 출연하며 주목받은 라이징 스타다. 코빗 채팅 서비스 및 코빗 공식 유튜브 스트리밍을 통해 진행되는 본 행사에서는 유저들이 주현영 배우에게 평소 궁금했던 점들을 묻고 배우가 직접 답변하는 시간을 가지며 이와 함께 최근 새롭게 시작된 코빗의 리워드 이벤트인 데일리 보너스 시즌2와 NFT 마켓플레이스 전면 개편에 대한 내용도 소개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라이브챗에는 사전 및 당일 이벤트도 풍성하다.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주현영을 포함한 해시태그로 이벤트를 미리 홍보하거나 배우에게 궁금한 점을 사전에 질문하고 라이브챗에서 해당 질문이 채택되면 커피 기프티콘과 비트코인을 받을 수 있다. 또한 당일에는 모든 채팅 참여자들 중 추첨을 통해서 또는 주현영 관련 실시간 퀴즈를 맞춘 이들에게 비트코인을 지급한다. 라이브 중 안내되는 미션을 수행한 모든 사람들은 굿즈 형태의 기념 N
[더구루=홍성일 기자] 한국과 미국의 디지털 기업들이 모여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논의하는 포럼이 개최됐다. 디지털 기업들은 메타버스가 거대한 흐름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주목받을 것으로 전망했다. 코트라 실리콘밸리 무역관은 지난 21일 '세상을 바꿀 메타버스, 어디까지 와있나'라는 보고서를 통해 7일부터 8일까지 실리콘밸리에서 개최된 'K-글로벌@실리콘밸리 2022' 포럼 소식을 전했다. 올해 포럼에서는 '더 메타버스 이즈 유어스(THE METAVERSE IS YOURS)'라는 주제로 메타버스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서 논의됐다. 올해 K-글로벌@실리콘밸리 2022 포럼에는 구글, 네이버Z, 엔비디아 등 한국과 미국을 대표하는 디지털 기업들이 메타버스 산업에 대한 최신 현황을 공개했다. 행사에는 업계 관계자 350여명이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냈다. 첫번째 기조연설자로 나선 엔비디아의 실파 콜핫카 AI네이션 비즈니스 글로벌 헤드는 향후 기업들은 물리적으로 정확하며 실제 세계와 완벽하게 동기화된 인공지능 지원 가상 시뮬레이션 속에서 디지털 트윈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트윈은 현실세계의 기계, 장치, 사물
[더구루=홍성일 기자] 블록체인 게임 펀드 페닉스 게임즈(Fenix Games)가 새로운 형태의 게임 퍼블리셔를 만들기 위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싱가포르 기반 암호화폐 펀드 포사이트벤처스가 웹3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개시했다. 포사이트 벤처스는 새로운 인큐베이팅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웹3 생태계 확장 전략을 펼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포사이트벤처스는 1000만 달러 규모 웹3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포사이트X'를 출시했다. 포사이트X는 다양한 업계 투자자들과 협력이 가능하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설계됐다. 포사이트 벤처스는 핵VC 등과 초기 단계 투자자, 인큐베이터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또한 개발자 허브인 깃코인과도 협력한다. 포사이트X는 총 3개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첫번째는 포사이트X 인큐베이터로 명명된 프로그램으로 독점 마케팅 패키지, 멘토링 프로그램, 데모데이 등과 같은 인큐베이션 후 지원으로 구성된 8주 프로그램이다. 해당 프로그램은 총 30개의 기업을 선정하며 이들에게 최대 20만 달러가 투자된다. 두번째는 포사이트X 에코시스템 그랜트로 명명된 프로그램으로 선택된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최대 1만 달러의 보조금이 제공된다. 포사이트X 리서치 그랜트는 무제한 보조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블록체인 연구를 지원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국내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들의 협의체인 닥사(DAXA)가 위믹스를 상장폐지 하기로 결정했다. 상장폐지는 없다고 자신했던 위메이드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향후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 상당한 여파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닥사는 24일 오후 빗썸, 코인원, 업비트, 코빗 등 국내 4대 코인 거래소에서 위믹스 거래지원종료를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닥사는 △중대한 유통량 위반 △투자자들에 미흡하거나 잘못된 정보 제공 △소명 기간 중 제출된 자료의 오류 등을 위믹스 상장폐지 결정 사유로 들었다. 위메이드는 상장폐지는 없다고 자신했지만 닥사가 상장폐지를 하면서 혼란에 빠진 상황이다. 장현국 대표는 25일 오전 11시 긴급 기자회견을 진행하기로 했다. 위메이드는 법원에 상장폐지 결정에 대한 가처분 신청도 진행할 것이라고 밝힌 상황이다. ◇무슨 일이 있었나 사건의 시작은 위믹스가 자체 메인넷인 위믹스 3.0을 출시하면서 시작됐다. 가상자산 업계 내에서 위메이드가 위믹스의 유통량 통계를 축소했다고 주장하는 목소리가 나온 것이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3.0을 출시하면서 자체 스테이블코인인 '위믹스 달러'를 출시했다. 위메이드는 위믹스 달러의 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실드AI(Shield AI)가 차세대 AI 기반 무인 스텔스 전투기를 한국 판매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실드AI는 유사시 한반도 연안 도서를 방어하는데 차세대 무인 수직이착륙(VTOL) 스텔스 전투기 'X-뱃(X-BAT)'의 탁월한 능력이 발휘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프트뱅크 로보틱스(SoftBank Robotics)가 영국 인공지능(AI) 아바타 전문기업 SKC 스튜디오(SKC Studios)와 손잡고 중동시장 공략에 나선다. 소프트뱅크 로보틱스는 로봇 기술과 AI 아바타를 결합한 솔루션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