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멕시코에서 4700억원 상당의 세금을 물어낼 위기에 놓였다. 현지 국세청에서 내수 판매분에 대해 부가가치세(VAT)를 추징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법적 분쟁이 진행 중이다. 14일 루세델시고 등 멕시코 외신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현지 대법원에서 멕시코 국세청(SAT)과 부가가치세 징수 문제로 다투고 있다. 쟁점은 삼성이 멕시코 IMMEX 프로그램에 따라 부가가치세를 적절히 납부했는지다. IMMEX는 해외 기업이 수출을 목적으로 자국에서 제품을 생산할 시, 원자재와 부품 수입에 대해 면세 혜택을 주는 제도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5~2016년 160억7300만 페소(약 1조1300억원) 상당의 원자재·부품을 수입하며, 231건의 신고서를 제출했다. SAT는 해당 수입 건에 대해 IMMEX 규정을 위반했다고 판단해 추가적인 부가가치세 납부를 요구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최종 상품을 멕시코에서 판매했으므로 수출 목적으로 한정한 규정에 위배된다며, 67억1400만 페소(약 4750억원)를 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삼성전자는 이미 원자재·부품을 수입할 때 부가가치세를 부담했다고 반박했다. 수입과 판매, 두 차례에 걸친 이중 과세는 부당하다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최대 방산업체 록히드마틴이 미 해군의 수중 감시 정찰 능력 강화를 위해 '물속의 레이더' 음파탐지기를 지원한다. 수중에서 은밀히 침투하는 잠수함을 탐지하는 '소나(Sonar)'를 업그레이드해 해군의 전력을 증강시킨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록히드마틴의 헬기‧레이더(Rotary and Mission Systems) 부문은 최근 미 해군과 음파탐지기인 소나 시스템 지원을 위한 하드웨어 개조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은 미 해군 해상시스템 사령부에서 제안했다. 계약 규모는 1억 1420만 달러(약 1650억원)로, 오는 2031년 5월까지 업그레이드가 완료될 예정이다. 거래와 관련된 개조 작업은 버지니아주 매너서스와 플로리다주 클리어워터에서 실행될 예정이다. 소나는 음파를 이용해 수중 목표물의 방위와 거리를 알아내는 장비다. 소나에 적용되는 음파는 초속 약 1500m인 압력파로 수중에서 잘 전달된다. 록히드마틴은 다양한 고도로 특화된 기술로 소나 시장에서 역량을 확대하고 있다. 대잠전 솔루션 분야의 업계 선두 주자로서 잠수함과 수상함에 소나를 공급해 향상된 수중 감시를 보장했다. 수십 년간 쌓아온 전문성을 바탕으로 차세
[더구루=정등용 기자] 차이충신(조 차이) 알리바바 회장이 중국에서 애플과의 AI 파트너십을 공식 선언했다. 이로써 향후 중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에는 알리바바 AI 모델이 탑재될 예정이다. 조 차이 알리바바 회장은 12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세계 정부 정상회의에 참석해 “애플이 여러 중국 회사와 이야기를 나눴지만 결국 우리와 사업을 함께 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차이 회장은 “애플은 우리의 AI를 활용해 아이폰을 구동하기를 원한다”며 “애플과 같은 훌륭한 기업과 거래할 수 있게 돼 매우 영광스럽다”고 덧붙였다. 애플은 지난해 최신 버전의 플래그십 스마트폰 출시 후 ‘애플 인텔리전스(Apple Intelligence)’라고 불리는 AI 서비스를 출시했다. 하지만 엄격한 테스트를 거쳐 규제 당국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중국에서는 AI 기능을 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애플은 AI 기능 도입을 위한 중국 내 파트너 기업을 찾고 있었으며 알리바바와 바이트댄스, 텐센트, 바이두 등이 후보군으로 거론돼왔다. 이후 기술력과 인력, 전문성 측면에서 알리바바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으며 최종 파트너사로 낙점됐다. 실제 알리바바는 생성형 A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이 광업, 농업 등 캐나다 주요 산업군의 차세대 연구 프로젝트에 투입된다. 안전하고 정확한 로봇의 이점이 널리 알려지며 '로봇개'에 대한 러브콜이 쏟아지고 있다. 14일 캐나다 공립대학교 서스캐처원 폴리테크닉(Saskatchewan Polytechnic)에 따르면 산하 연구센터 'DICE(Digital Integration Centre of Excellence)'는 최근 고스트로보틱스의 비전60을 도입했다. 자체 응용 연구는 물론 기업·기관을 위한 맞춤형 연구 서비스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DICE는 비전60에 탑재된 카메라와 여러 센서를 통한 실시간 감지·분석 기능을 높게 샀다. 위험한 환경에서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돼 뛰어난 내구성을 갖춘 것 또한 비전60의 강점으로 꼽았다. 이같은 특장점을 살려 다양한 산업 현장에 배치돼 인간 작업자를 대신해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특히 광업과 농업, 건설업 등의 분야에서 활용성이 무궁무진할 것이라는 게 DICE 측의 설명이다. 비전60을 통해 전통 산업군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디지털 혁신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전 60을 활용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와 대만 팹리스 기업 미디어텍(MediaTek)이 퀄컴(Qualcomm)을 추격하기 위해 모바일용 인공지능(AI) 칩 개발에 나선다. 글로벌 플래그십 모바일 프로세서 시장을 두고 퀄컴과 미디어텍의 경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대만 IT전문매체 디지타임스는 12일(현지시간) 엔비디아와 미디어텍이 스마트폰용 AI칩을 출시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디지타임스는 출시 가능성 외에 별도 세부 정보는 공개하지 않았다. 엔비디아와 미디어텍은 2023년 자동차 반도체 개발에 손잡으며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컴퓨텍스 2023에서 "미디어텍의 시스템 온 칩(SoC) 개발 능력과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AI 소프트웨어 기술을 결합해 모든 차량 세그먼트에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었다. 이후 엔비디아와 미디어텍은 AI PC 프로세서 개발에 뛰어들었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엔비디아 프로젝트 디지츠(NVIDIA Project DIGITS)'가 공개했다. 엔비디아는 프로젝트 디지츠가 전 세계 AI연구자,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학생들에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모비스가 브라질 주요 박람회에 참가해 자동차 정품 부품 사용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브랜드 신뢰와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한 경영전략에 따른 '짝퉁부품 근절 캠페인' 일환이다. 무분별한 짝퉁부품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알리는 데 초점을 맞췄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모비스는 지난 10일부터 14일까지 닷새간 브라질 파라나주 카스카베우에서 열린 '제37회 쿠파벨 농업 박람회'(Show Rural Coopavel)에 참가했다. 현대모비스가 쿠바벨 농업 박람회에 참가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쿠바벨 농업 박람회는 브라질 주요 박람회 중 하나이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 대한 전시 공간이 마련돼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현대모비스는 현대차 HB20과 크레타 모델용 순정 부품과 액세서리 라인을 선보였다. 방문객들에게 각 부품에 대한 장점을 설명하고 부품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는 시간을 가졌다. 특히 현대모비스는 현지 시장 내 짝퉁 부품 근절에 대한 브랜드 의지를 나타냈다. 정품 부품과 액세서리를 사용이 자동차의 안전성과 내구성, 성능 보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조하며 소비자 인식 개선 활동에 적극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지속해서 다양한 채널과 플랫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 알제리 공장 설립 추진이 가속화되고 있다. 알제리투자청(AAPI)이 공장 설립 진행 과정과 투자 규모, 필요 공장 부지 등 핵심 내용을 담아 당국에 프로젝트 신청을 완료했다. 현대차 현지 신차 대리점 업무 수행 관련 검토도 병해되는 만큼 현대차 중동·아프리카 전략에 큰 변화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14일 AAPI에 따르면 최근 알제리 산업제약부에 '오만 프로젝트' 허가 신청을 완료했다. 이 프로젝트는 알제리와 오만 술탄국 간 투자 협력을 토대로 현대차 알제리 반조립공장(CKD)을 설립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허가 신청에 앞서 오마르 라카쉬 AAPI장은 지난달 22일 오만 바완그룹 대표단과 만나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 관련 논의를 진행했다. 당시 알 무카이니 바완 살만 사드 수하일 바완그룹 회장은 AAPI에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 진행 과정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현대차 알제리 공장 설립에 4억 달러(한화 약 5800억원) 상당 대규모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는 내용이 담겼으며, 공장 설립 시기를 앞당길 수 있도록 공장 부지를 할당해 달라는 요청도 포함됐다. 오만 프로젝트에 대한 알제리 산업제약부의 허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미국과의 로봇 패권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로봇 산업 육성과 지원 정책으로 지속 성장 기반을 구축한다. 중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규모가 향후 10년간 3000억 위안(약 60조원)으로 커질 것이라는 전망 속에 다양한 지원으로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중국 테크 전문 매체 기즈모차이나(GizmoChin)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 로봇산업은 작년 12월 기준 45만1700개의 기업이 등록돼 있으며, 총 자본금은 6조4400억 위안(약 1277조원)에 달한다. 중국의 스마트 로봇 산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2020년 이후 206.73% 증가했다. 작년 한 해에만 로봇 산업은 19.39% 성장하며 로봇 기술에 대한 수요와 투자가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은 로봇 산업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를 확장하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의 행동을 가장 잘 모방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을 말한다. 정부의 전폭 지원 속에 중국 기업들이 가성비를 앞세워 로봇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나서고 있다. 휴머노이드 로봇 기업들 중에는 △유비테크(UBTech) 로보틱스 △유니트리 로보틱스 △클라우드마인즈 △ 엔
[더구루=오소영 기자] 폴란드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경공격기 'FA-50'에 장착할 탄약 입찰에 나섰다. 벌써 세 번째 입찰이지만 뚜렷한 성과는 없다. 이번 입찰에도 실패하면 탄약 조달이 또 지연돼 FA-50의 무장에도 영향을 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폴란드 군비청과 일간지 WNP 등 외신에 따르면 군비청은 내달 12일까지 FA-50용 20㎜ 탄약에 대한 입찰 제안서를 받는다. 군비청은 고폭소이탄(HEI) M56A3과 연습탄(TP) M55A2를 각각 5만 발을 구매할 계획이다. 입찰 참가 조건으로 △탄약 제조·유통에 관한 라이선스 보유 △최근 5년 이내 납품 실적 보유 △최소 100만 즈워티(약 3억원) 상당 재무 능력 입증을 들었다. 군비청은 지난 2023년 3월에도 탄약 확보를 위한 1차 입찰을 진행했으나 실패했다. 이어 지난해 2차 입찰에서도 마감일인 6월 5일까지 제안서를 받지 못해 결국 무효화했다. 세 번째 입찰에 나섰지만 아직 성과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에도 적절한 구매처를 찾지 못하면 FA-50의 무장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폴란드는 지난 2022년 9월 KAI와 FA-50 48대 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약 1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지난달 영국 순수전기차(BEV)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프리미엄 브랜드 포함 단일 브랜드 기준으로도 모두 '톱10'에 속하며 현지 BEV 시장을 이끌어가는 주요 브랜드로 주목받고 있다. 14일 영국자동차·운전면허청(DVLA·Driver and Vehicle Licensing Agency)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달 영국 BEV 시장에서 점유율 9.8%를 기록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점유율 1위인 폭스바겐(8.2%)과 비교해 1.6%포인트 더 높은 수치이다. 기아가 5.6%, 현대차는 4.2%로 집계됐다. 같은 달 영국 BEV 시장 규모는 2만9634대였다. 이는 전년 대비 42% 성장했다.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1.3%로 나타났다. 브랜드별 점유율 순위는 기아가 5위, 현대차가 10위에 랭크됐다. 이는 프리미엄 브랜드를 모두 포함한 순위이다. 1위 폭스바겐에 이어 BMW가 8.0%로 2위, 메르세데스-벤츠가 7.1%로 3위에 올랐고, 푸조는 5.6%로 4위에 이름을 올렸다. 6위부터 9위는 △테슬라(5.1%) △아우디(5.1%) △북스홀(5.1%) △포드(4.2%) 순으로 이어졌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소형 전기 SUV 모델 EV3가 유럽 시장에서 존재감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 네덜란드 베스트셀링카와 스페인 전기차 시장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최근 영국에서 진행된 자동차 어워즈에서 최고 영예인 '올해의 차'로 꼽혔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 EV3는 최근 영국 전기차 전문지 드라이빙일렉트릭(DrivingElectric)이 진행하는 2025 드라이빙일렉트릭 어워즈에서 최고 영예인 올해의 자동차(Car of the Year 2025)와 최고 패밀리 전기차(Best Family EV)를 수상했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 최첨단 편의 기능 갖추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책정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영국 시장에서 EV3의 존재감은 지속해서 커지고 있다. 이번 수상에 앞서 영국 자동차 전문 매체 '탑기어(TopGear)'가 주관하는 ‘2024 탑기어 어워즈’에서 ‘올해의 크로스오버’로 선정되는 등 연이은 수상 기록을 세우고 있다.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역에서 인기가 실감된다. 네덜란드 자동차산업협회(RAI Automotive Industry NL)에 따르면 EV3는 지난달 네덜란드 월간 베스트셀링카로 선정됐다. 총 1757대가 판매되며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친환경 연료전문업체 '지보(Gevo)'와 프랑스 정유회사 '악센스(Axens)'가 지속가능항공유(SAF) 개발을 위해 손을 잡는다. 전 세계 탈탄소화 움직임에 맞춰 성장하고 있는 지속가능항공유 시장을 정조준한다. 지보는 12일(현지시간) 악센스와 지속가능항공유 개발·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양사 기술력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접목해 비용 경쟁력이 높은 고성능 지속가능항공유를 선보인다는 목표다. 우선 지속가능항공유 생산 공정에 악센스의 '제타놀(Jetanol)' 기술을 적용한다. 제타놀은 에탄올을 제트연료(항공유)로 직접 전환해주는 ETJ(Ethanol-to-Jet) 기술의 한 종류로, 악센스가 독자 개발했다. 에탄올은 옥수수, 사탕수수, 농업 폐기물 등 다양한 바이오매스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해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 지속가능항공유 생산량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 제타놀은 다른 ETJ 공정보다 효율성과 수율이 높아 생산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게 지보와 악센스의 설명이다. 지보와 악센스는 지보의 ETO(Ethanol-to-Olfins) 기술 상용화에도 협력한다. ETO는 에탄올을 에틸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