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멕시코 자동차 시장에서 연초 기록적인 판매 이정표를 세우며 현지 선두주자로서 리더십을 가속화하고 있다. 12일 기아 멕시코판매법인(KMM)에 따르면 지난달 8605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4.9% 성장한 수치이며 역대 1월 최고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7.2%를 기록했다. K3가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 달 총 3988대가 판매되며 브랜드 월간 베스트셀링카 역할을 톡톡히 했다. 현지 생산을 토대로 한 원활한 공급과 합리적인 가격 책정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K3의 뒤를 이어 셀토스와 K4가 실적을 뒷받침했다. 각각 1301대와 1299대 판매를 기록했다. 멕시코 운전자들의 니즈에 부합하는 고품질 제품을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이다. 업계 관계자는 "지속해서 브랜드 혁신과 혁신과 지속 가능한 이동성에 투자한 결과, KMM은 멕시코 자동차 산업의 벤치마크로 자리매김했다"고 호평했다. 실제 KMM은 판매 라인업 확대를 통해 수요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K3와 셀토스, K4를 비롯해 쏘넷, 스포티지, 쏘렌토, 텔루라이드 등 SUV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꾸렸다. 또한 전기차 시장 공략을 위해 스포티지 HEV와 니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차그룹 글로벌 광고대행사 이노션이 디지털 미디어 역량을 강화한다. 새로운 디지털 미디어 총괄을 영입, 글로벌 입지 확대에 나선다. 12일 링크드인(LinkedIn)에 따르면 이노션 월드와이드는 이디티야 싱(Aditya Singh)을 디지털 미디어 분야 신임 총괄로 영입했다. 싱 총괄은 자신의 링크드인을 통해 “이노션은 창의성과 혁신이 결합해 세계적인 브랜드를 위한 획기적인 캠페인을 만들어가는 곳”이라며 “훌륭한 팀과 함께 디지털 미디어의 미래를 만들어갈 수 있어 기대된다”고 말했다. 싱 총괄은 지난 2013년부터 약 12년간 디지털 광고 분야에서 활동해온 업계 베테랑이다. 이노션 합류 전에는 글로벌 미디어 에이전시 '그룹M'(GroupM)에서 디지털 프로그래매틱 미디어와 디지털 벤더 및 퍼블리셔 파트너십, 소셜 미디어 부문의 수석 매니저를 역임했다. 또한 퍼블리시스(Publicis) 그룹, 옴니콤 미디어 그룹(OMG), 브이도피아(Vdopia) 등 글로벌 미디어 에이전시에서 근무, 해당 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이노션은 이번 영입을 통해 온라인 마케팅 역량을 한층 강화,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확대해 나갈 것으로 기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쏭윗 눈팍디(Songwit Noonpackdee) 태국 총사령관이 한화 방산 계열사와 회동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오션과 만나 육·해상 방산 무기를 살피고, 장갑차 개조·함정 사업 협력에 뜻을 모았다. 12일 태국 왕립군에 따르면 눈팍디 총사령관은 지난 6일 서울 중구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오션 임직원과 미팅을 가졌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에서는 손재일 사장과 안장혁 해외사업총괄 등 임직원, 한화오션에서는 특수선 사업 담당 실무자가 참석했다. 눈팍디 총사령관은 양사의 주요 사업과 전략에 관한 브리핑을 청취하고, 방산 협력을 모색했다. 태국 K200 장갑차 개조 사업에 대한 후속 협상과 차기 호위함 사업 논의도 진행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작년 8월 태국국방기술연구소(DTI) 산하 태국방위산업(TDI)과 장갑차 성능 개선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바 있다. 태국 방산업체 차이세리(Chaiseri Metal and Rubber)와 협력하며, 육상 방산 분야 MRO(유지·보수·운영)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2018년 3600톤(t)급 호위함 1척을 건조해 태국에 인도한 실적이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 유명 걸그룹과 손잡고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25 시리즈' 알리기에 나선다. 체험형 이색 마케팅을 통해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일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11일 일본 이동통신사 KDDI(au)에 따르면 KDDI와 삼성전자 일본법인은 오는 23일(현지시간) 걸그룹 '아타라시이 각코노 리더즈(新しい学校のリーダーズ·한국명 새로운 학교의 리더즈)’ 공연과 연계한 갤럭시S25 시리즈 체험 행사를 개최한다. 관람객들에 갤럭시S25 울트라로 공연을 촬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아타라시이 각코노 리더즈의 공연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되고 유튜브 라이브로 실시간 스트리밍도 제공된다. 아타라시이 각코노 리더즈 공식 팬클럽, 삼성 멤버스와 폰타 패스 회원들 중 응모를 통해 당첨된 사람만 온·오프라인 공연을 즐길 수 있다. 삼성전자는 오프라인 공연을 통해 갤럭시S25 울트라의 카메라 기능을 홍보한다. 현장 관람객 중 일부를 선정해 직접 갤럭시S25 울트라로 아타라시이 각코노 리더즈의 공연 '직캠'을 찍을 수 있게 하고 촬영한 콘텐츠를 추후 삼성전자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사용할 예정이다. 실감나는 사용 후기를 앞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북유럽 협력사를 통해 핀란드 안보 전시회에서 K9 자주포를 홍보했다.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군 관계자들이 찾는 전시회에서 K9을 선보이고 홍보 효과를 극대화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덴마크 MED(Military Equipment Denmark)는 지난달 29~30일(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안보 전시회 'SecD-Day'에서 한화의 K9 자주포를 홍보했다. 해당 전시회는 유럽 정부·군·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최신 방산 기술을 교류하고 협력을 도모하는 장이다. 핀란드 국방부와 현지 방산·항공우주산업협회(AFDA)가 주관하며 2023년 처음 열린 후 격년으로 개최되고 있다. 올해 행사에서는 안띠 핵캐넨(Antti Häkkänen) 핀란드 국방부 장관과 스테이시 쿠밍스(Stacy Cummings) 나토 조달청장 등이 참석했다. MED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북유럽 벤더로 이번 전시회에서 부스 한쪽 벽면을 K9 자주포 사진으로 채우고 동영상도 틀었다. K9의 주요 성능을 홍보하고 잠재 고객사들과 미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K9 자주포는 핀란드와 노르웨이, 폴란드, 에스토니아, 튀르키예, 루마니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시스템이 필리핀 해군에 네 번째 함정 전투체계(CMS) 공급을 목전에 뒀다. HD현대가 건조 중인 연안경비함(OPV) 1번함에 탑재할 CMS 개발을 마쳤다. 테스트를 거쳐 이르면 내달부터 인도하고, 2028년까지 사업을 마무리할 것으로 전망된다. 10일(현지시간) 영국 방산 전문지 제인스(Janes)에 따르면 한화시스템은 최근 인터뷰에서 "내달 HD현대중공업에 CMS를 인도할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한화시스템은 지난 2023년 5월 HD현대중공업이 건조하는 2400톤(t)급 필리핀 OPV 6척에 CMS와 전술데이터링크(TDL)를 공급하는 계약을 따냈다. 계약 규모는 CMS 2950만 달러(약 420억원)·TDL 500만 달러(약 72억원) 등 총 3450만 달러(약 500억원)다. CMS는 다양한 센서·무장· 통신체계 등을 통합해 전장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최적의 임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핵심 무기체계다. TDL은 전술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전파하는 디지털 표준 통신체계다. 이번에 공급할 CMS는 베이스라인(Baseline) 2.4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베이스라인 2.4는 베이스라인 2.2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더 빠른 데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인도 국영 발전회사인 NTPC와 신규 원전 사업 협상에 나섰다. 인도가 2030년까지 10GW 용량을 추가하려는 가운데, 한수원이 이를 지원할 잠재 파트너로 부상했다. 프랑스와 러시아, 미국과 경쟁하며, 인도로 원전 수출 영토를 넓힌다.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NTPC 관계자는 지난 10일(현지시간) "원전 구축을 위해 외국 회사와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수원과 프랑스 EDF, 러시아 로사톰, 미국 홀텍 인터내셔널·GE 베르노바를 협상 대상으로 언급했다. NTPC는 대·소형 원전을 활용해 2030년까지 10GW 규모의 발전용량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공급사를 선정하고 정식 계약을 체결하기까진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다. 인도는 작년 말 기준 총 23기 원전(8080㎿)을 운영하고 있다. 경제 성장으로 전력 수요가 늘고 청정 에너지원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면서 추가 원전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20년간 최대 3만6900㎿ 용량을 추가하는 것을 목표로 프랑스, 러시아, 미국 등과 파트너십을 강화했다. 지난해 연방 예산안에 SMR 개발을 우선 순위로 지정하기도 했다. 인도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발맞춰 N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바이두가 자체 개발 인공지능(AI) 반도체 '쿤룬(Kunlun) 3세대'를 선보이고 최근 업계 돌풍을 몰고 온 딥시크(Deepseek)의 거대언어모델(LLM)에 최적화했다. 중국이 미국의 견제에도 불구하고 반도체 자립에 속도를 내며 '미중 AI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1일 바이두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쿤룬 3세대 칩(모델명 P800)을 출시하고 이를 활용한 대규모 AI 컴퓨팅 인프라 '완카(Wanka) 클러스터'를 발표했다. 중국에서 자국 기업이 독자 개발한 AI 칩을 활용해 대규모 AI 컴퓨팅 클러스터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완카 클러스터는 1만 개 이상 그래픽처리장치(GPU)를 탑재하는 고성능 연산 시스템이다. 쿤룬 3세대 AI 칩을 활용해 대규모 병렬 연산을 수행하고 대형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을 지원한다. 1000억 개 이상의 매개변수를 가진 모델 학습이 가능하다. 바이두는 조만간 3만 개 이상 GPU를 장착한 완카 클러스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향후 GPU 개수를 10만 개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이 과정에서 클러스터의 높은 전력 소비와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냉각 솔루션을 도입하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공습에 사용한 활공폭탄 대응책을 찾는다. 방위 기업 대상 공모전을 실시해 활공폭탄 무력화를 도모한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나토는 러시아가 사용하고 있는 활공폭탄 대응 솔루션을 모색하기 위해 '카운터 글라이드 붐'(Counter Glide Bombs) 대회를 개최한다. 혁신 챌린지 기술 플랫폼 틀 안에서 활공 폭탄을 탐지, 차단, 무력화하는 솔루션을 찾는 데 중점을 둔다. 나토 회원국의 기업만 참여하는 공모 조건은 오랜 훈련과 통합이 필요하지 않은 간단하고 간단한 솔루션이어야 한다. 참가자들에게는 우크라이나에 대량으로 사용되는 러시아의 활공폭탄 대응 솔루션을 찾기 위해 폭탄의 활공키트(UMPK)와 러시아 신형 활공유도폭탄 'UMPB D-30'에 대한 설명이 제공된다. 공모전 제안은 다음 달 13일까지 접수되며 결과는 같은 달 27~28일에 발표된다. 활공폭탄은 추진기는 없지만, 유도를 위한 양력 발생 날개를 지닌 폭탄이다. 날개가 달려있는 덕분에 레이더를 피할 수 있을 정도로 낮게 날고, 사거리도 길다. 현재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에서 사용하고 있는 활공폭탄은 구소련제 FAB-500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Rapidus)가 2나노미터(㎚) 공정 양산을 앞두고 세 가지 주요 과제를 극복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글로벌 반도체 강자들이 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 지원을 등에 업은 라피더스가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고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국립 가오슝 사범대학 준교수이자 대만 언론 테크뉴스(TechNews) 칼럼니스트인 량양린(Liang-Yang Lin)은 라피더스의 2㎚ 반도체 양산과 관련해 △기술적 한계 극복 △시장 경쟁력 확보 △시장 친화적 생산 모델 구축이라는 세 가지 핵심 과제를 지적했다. 린 교수는 라피더스가 2㎚ 상용화에 있어 기술적 한계 가능성을 지적했다. 라피더스는 현재 IBM 및 벨기에 연구기관 imec과 협력하고 있다. 린 교수는 두 연구소 역량이 연구에만 집중돼 있어 프로토타입을 상용화시킬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시장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도 나온다. 삼성전자와 TSMC 등 글로벌 기업들이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공정을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40㎚ 생산에 머무르고 있는 라피더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가 국가 안보 취약성을 우려해 중국산 부품을 사용한 무인항공기(UAV, 이하 드론) 구매를 취소한다. 드론에 포함된 중국 전자기기가 군사 작전을 위협해 데이터 유출과 드론 납치, 전자전 취약성 등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인도 영문일간지 타임스 오브 인디아에 따르면 인도 국방부는 인도군을 위해 드론 400대 구매 계약 3건을 해지하기로 결정했다. 총 2630만 달러(약 380억원) 규모로 대형 드론 100대, 중형 드론 200대, 소형 드론 100대의 구매를 취소했다. 2023년에 체결한 200대의 중형 드론은 작년 8월부터 구매가 보류됐고, 나머지 200대의 대, 소형 드론 구매도 거부했다. 도입한 드론은 중국과 국경 문제로 갈등 중인 인도 동부 라다크의 3488km 실제 통제선(LAC)을 따라 배치될 예정이었다. 인도 국방부는 "중국산 부품을 사용한 드론 구매는 심각한 보안 위협으로, 데이터와 운영을 손상시킬 수 있다"며 "중국은 드론을 제어하거나 방해해 소프트하게 파괴할 수 있고, 전자 장치에는 보안 조치를 우회할 수 있는 '백도어'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인도 국방부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멕시코에서 냉난방공조(HVAC) 솔루션 현지 전문가를 양성한다. 완성차 기업들이 모인 누에보레온주에 거점을 마련해 파트너사까지 모두 아우르며 교육을 지원한다. 미주 생산 거점인 멕시코에 추가 투자해 현지 고객에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한다. 11일 삼성전자 멕시코법인에 따르면 지난 7일(현지시간) 누에보레온주 산타카타리나에 HVAC 교육센터를 개소했다다. 신설 센터는 설치기사와 협력사 직원 등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실시한다. △가정·상업용 에어컨 교육을 이수한 교육생에 인증을 수여하고 △냉매유량가변형시스템(VRF) 설계 △친환경 냉매인 R-32 사용법 △AI·스마트싱스 활용법 등을 가르친다.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학습할 수 있도록 온라인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에어컨 외에 다른 삼성 가전제품에 대한 교육도 진행한다. 또한 새 센터는 가전제품 설치와 수리를 지원하는 서비스센터 역할을 한다. 먼저 낡은 에어컨을 교체할 때 무료로 설치를 지원하는 에코 리사이클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고객이 제품 구입 후 서비스센터에 연락해 약속을 잡으면, 설치 기사가 방문해 기존 제품을 수거하고 새 에어컨을 설치한다. 수거된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