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오스트리아 제약사 크로마 파마가 중국생물기술집단(China National Biotech Group·CNBG)과 손잡고 현지 필러 시장 공략에 나선다. 크로마 파마는 휴젤의 보툴리눔톡신 제제 '레티보'를 유럽에 판매 중인 제약사로 국내에 알려졌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IT기업 화웨이가 2023년 스마트폰 출하 목표를 상향 조정했다. 미국의 재제 속 화웨이는 무선통신 사업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여전히 한계가 명확하다는 분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화웨이는 2023년 스마트폰 출하 목표를 4000만 대로 상향 조정했다. 당초 화웨이의 2023년 스마트폰 출하목표는 3000만 대 수준이었다. 화웨이는 2020년 미국 정부의 제재를 받기 전 전세계 스마트폰 시장의 18%를 차지하며 세계 최대 스마트폰 판매업체가 됐다. 하지만 2019년 미국 정부는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가운데 화웨이와 중국 공산당 간의 관계를 문제 삼으며 제재조치를 실행했다. 미국 정부의 제재에 화웨이는 미국 기업의 칩 공급은 물론 자체 칩 설계를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미국 기술에 대한 접근이 차단됐다. 또한 구글 안드로이드에도 접근이 제한되면 2022년 화웨이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을 2% 수준으로 급감했다. 화웨이는 이를 타개하기 위해 자체 칩과 OS 개발에 속도를 내는 등 대응에 나섰지만 미국 주도의 스마트폰 생태계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면서 정상화는 요원해 보였다. 이에 화웨이는 신제품 라인업을 연이어 출시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코발트 생산 기업 화유코발트(Huayou Cobalt)가 런던금속거래소(LME)에 니켈을 상장한다. 작년 3월 거래 중단 사태로 위축된 런던금속거래소의 니켈 거래량 회복에 도움이 될지 주목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거린메이(格林美·GEM)가 현지 배터리 소재 회사와 쓰촨성 가오현에 폐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짓는다. 두 단계에 걸쳐 약 3100억원을 투자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확장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민용 드론의 품질과 안전 요구사항을 담은 표준을 마련했다. 민용 드론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하자 품질 확보에 나섰다. 11일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에 따르면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는 지난 5일(현지시간) '민용 무인항공기 시스템 안전 요구(GB 42590-2023)'를 통과시켰다. 중국 민용 드론은 농업과 건설, 구조, 상업, 의료, 레저, 에너지, 물류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즈옌자문(智研咨询)에 따르면 중국 민용 드론 시장은 2015년 약 68억5000만 위안(약 1조2410억원)에서 2020년 약 257억1000만 위안(약 4조6570억원)으로 커졌다. 민용 드론 수요는 폭풍 성장하고 있으나 통일된 품질·안전 관련 표준이 없었다. 중국 공업정보화부(공신부)는 민용 드론의 품질을 보장하고자 이번 표준을 제정했다. 국가표준화관리위원회의 승인 문턱을 넘으며 내년 6월 시행이 확정됐다. 새 표준은 △지오펜스(Geofence, 지리적 위치 주변에 설정한 가상의 경계선) △원격 식별 △기체 구조 △기계 낙하 △동력에너지 시스템 △오류 방지 △통제 가능성 △감지·회피 등 17개 항목에 대한 기술 요구 사항과 테스트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반도체 관련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디지털화 추세로 반도체 수요가 늘어난데다 중국 정부도 반도체 산업 육성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다만 반도체 설비·부품의 낮은 자급률은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될 전망이다. 11일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반도체 설비 시장은 지난 2017년 554억 위안(약 10조1100억 원)에서 2019년 905억 위안(약 16조5200억 원)으로 2년 만에 63% 성장했다. 2020년에는 전년 대비 39.2% 증가한 1260억 위안(약 23조 원)을 기록하며 세계에서 가장 큰 시장으로 거듭났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엔 보다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지난 2022년 중국 반도체 설비 시장 규모는 2019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745억 위안(약 50조 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최대 3032억 위안(약 55조33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이란 게 중상산업연구원 분석이다. 반도체 설비 부품 시장 규모도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2018년 217억 위안(약 3조9600억 원) 규모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30%를 기록하며 624억 위안(약 11조3900억 원)까지 성장했다. 중
[더구루=한아름 기자] 중국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 우시바이오로직스가 투자 보따리를 풀었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생산 역량을 확대하자 공장을 증설, 경쟁 우위를 확보하겠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우시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매출 3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그 뒤를 이은 4위로 기록된 만큼 양사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정부가 의료미용 시장의 빠른 성장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표준화되고 강력한 관리감독 정책을 마련한다. 생활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의료미용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는 반면 불법 의료 행위, 위조제품, 허위과장광고 등 문제가 증가하자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国家市场监督管理总局)과 공안부(公安部) 등 11개 부처는 지난 5월 4일 공동으로 '의료미용 관리감독 강화 관련 지도의견(关于进一步加强医疗美容行业监管工作的指导意见, 이하 지도의견)'을 발표했다. 지도 의견은 의료미용이 의료활동에 속한다고 규정하고 반드시 위생건강 법률법규를 준수해야 한다고 명시했다. 당국은 △사업 등록 및 관리 △자격 심사 △사업 면허 정보 공유 △공동 임의 조사 등 의료미용 분야에 대해 더욱 투명하고 효과적인 관리 감독을 실시한다. 주로 의료미용시장 진입 관리와 사후 통합 관리, 의료미용 관련 분야 및 업종에 대한 관리감독이 강화된다. 중국 의료미용산업은 국민 소득의 증가에 따라 빠르게 성장했다. 디지털 마케팅이 보편화되면서 의료미용 수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시장 조사 기관 아이리서치(iRes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자동차 부품 업체 '신루이테크(이하 신루이)'와 미국 전력반도체 회사 '온세미컨덕터(이하 온세미)'가 차량용 실리콘카바이드(SiC) 칩 개발에 힘을 모은다. 두 나라간 대립이 극으로 치닫고 있는 가운데 중국 기업이 미국 기업과 손을 잡고 '반도체 굴기'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테마섹이 차세대 리튬 이온 배터리 업체 테라와트(TeraWatt)에 추가 투자를 단행했다. 테라와트는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대형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파일럿 제품 라인업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이 전기차 배터리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아프리카 진출에 속도를 낸다. 특히 단순 자원 채굴에 그치지 않고, 생산 공장 설립으로 범위를 확대해 안정적 소재 수급과 시장 확장을 모두 노린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이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음극재 시장을 주무르고 있다. 공격적인 설비 투자로 지난해 전 세계 생산량의 96%를 담당했다. 특히 인조흑연의 생산량 증가 속도가 매섭다. 5일 코트라 다롄무역관과 ICC컨설팅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 전 세계 음극재 생산량의 96%를 차지했다. 상위 10대 음극재 기업 중 포스코퓨처엠을 제외한 9곳이 중국 기업이다. 세계 최대 음극재 회사인 선전BTR신재료는 지난해 23.6%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 상하이샨샨(13.2%), 장시즈천과기(9.8%), 후난중커싱청(8.7%), 광둥카이진(8.4%) 순이었다. 중국 음극재 제조사들은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세를 불렸다. 음극재의 원료인 흑연 생산량은 지난해 전년 대비 1.5배 증가해 400만t을 넘겼다. 지난해 음극재 투자액은 전년 대비 200% 급증해 1600억 위안(약 30조원)을 돌파했다. 올해 1~2월 음극재 생산량은 같은 기간 400% 이상 증가했다. 현지 업체들의 공격적인 설비 투자로 중국 음극재 생산량은 2012년 3만t에서 2022년 142만t으로 늘었다. 특히 인조흑연 음극재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2012년 38%에서 81%로 뛰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