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그룹이 서호주 지역에 '그린 클러스트'를 구축할 전망이다. 친환경 철강재 생산을 시작으로 수소와 이차전지 소재 사업 등으로 영역을 넓힌다. 최정우 회장이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미래사업 해외 거점이 마련되는 셈이다. 알라나 맥티어난(Hon Alannah MacTiernan) 서호주 수소산업부 장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호주 수소 컨퍼런스(Australian Hydrogen Conference) 기조 연설자로 나서 포스코와 추진하는 친환경 사업에 대한 계획을 밝혔다. 맥티어난 장관은 이 자리에서 "포스코가 추진하는 HBI(철광석을 가공한 원료) 생산시설 입지로 부다리 전략산업단지(Boodarie Strategic Industrial Area)를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며 "내년 초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말했다. 부다리는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해당 산업단지는 4000만㎡ 규모의 중공업 산업 전용 부지로 조성됐다. 맥티어난 장관은 이어 "포스코는 수소를 사용해 강철로 변환하는 세계 최초의 친환경 철강 공장 중 하나를 설립할 장기적인 계획을 갖고 있다"며 "향후 10년 후부터 생산에 들어갈 것"이라고 덧붙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그리스에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의 수주가 임박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그리스 최대 해운사인 안젤리쿠시스 그룹 산하 마란가스 마리타임(Maran Gas Maritime)으로부터 LNG운반선 2척을 수주할 전망이다. 마란가스타임이 옵션 발효 검토하면서 주문이 확실시 되고 있다. 이번 계약은 지난해 수주한 LNG운반선 2척의 옵션분이다. 당시 추가 옵션 물량 2척이 포함돼 있어 향후 추가 수주도 기대됐었다. 2척의 수주가는 5851억원으로 추정된다. 신규 수주 LNG운반선은 17만4000㎥급 대형 LNG 운반선으로 고압 이중연료 추진엔진(ME-GI)과 더욱 고도화된 재액화설비가 탑재된다. 이와 함께 축발전기모터시스템(SGM)과 공기윤활시스템(ALS) 등 연료 효율은 높이고 이산화탄소와 황산화물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신기술이 대거 적용될 전망이다. 이번 주문으로 대우조선과 안젤리쿠시스 그룹의 인연도 재조명된다. 안젤리쿠시스 그룹은 지난 1994년 이후 대우조선에 총 118척의 선박을 발주했으며, 특히 지난해 11월 이후 8척의 LNG 운반선을 발주해 공고했다. 사상 최악의 수주절벽 상황과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선급이 프랑스 해운사 루이드레퓌스(LDA)가 추진 중인 수소저장 선박 개발 사업에 참여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LDA는 그린 수소와 암모니아에 중점을 두고 재생 에너지를 저장하고 공급할 수 있는 선박 설계 작업을 하고 있다. 수소용 수상 재생 에너지 솔루션 선박은 태양열과 풍력과 같은 자원으로 전환해 탄소 집약도를 낮추려는 전 세계적 노력을 지원한다. 화물은 그린 에너지 생산 지역에서 유럽, 동북아시아 또는 북미의 수요 센터로 운송될 수 있다. 그린수소는 연료전지를 이용해 다시 전기로 변환하거나 내연기관에 직접 주입할 수 있다. 오는 2025년까지 FRESH의 산업화·상업화에 앞서 기술과 규제 준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게 목표다. 특히 LDA는 기존 규칙에서 다루지 않는 개념으로 한국선급과도 협력하고 있다. 한국선급은 이미 LDA 자회사 LDPL(Louis Dreyfus Ports & Logistics)의 FRESH 제품에 원칙적으로 승인했다. 해양 산업의 탈탄소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LDA와 협력하기로 한 것이다. 이형철 한국선급 대표는 "수소 운송의 라스트 마일 물류에 혁명을 일으키고 해운 부문이 다른 저감하기 어려
[더구루=오소영 기자] 포스코가 UN PRI(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책임투자원칙)가 조성한 이니셔티브 '어드밴스'(Advance)의 관찰 기업 리스트에 올랐다. PRI는 어드밴스를 출범한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어드밴스는 인권 침해와 사회적 문제 해결을 최우선으로 한 투자자 협의체다. 불평등부터 미래 세대에 영향을 미칠 환경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살펴 투자자들이 참고할 정보를 제공한다. 어드밴스는 메탈과 광업, 재생에너지 분야를 우선적으로 조사할 분야로 뽑고 40개 기업을 선정했다. 일본 철강업체 닛폰스틸, 덴마크 해상풍력 개발사 오스테드 등과 함께 포스코도 명단에 포함됐다. 데이비드 앳킨 PRI 최고경영자(CEO)는 "투자자들에 방향성을 정하고 인권과 사회 문제에 대한 조치를 가속화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며 "투자자들이 인권 존중의 책임을 이행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기업 시민'을 경영이념으로 선포하고 5대 전략 내 중점 영역 중 하나로 인권 보호를 명시했다. '포스코 인권보호 가이드라인'을 제정하고 국내외 사업장과 협력사를 대상으로 인권 실사를 진행해왔다. 2021년에는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조선업계에 신조선 인도 급증으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 부진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조선·해운 리서치 기관인 영국 MSI(Maritime Strategies International)은 LNG 운송이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향후 10년 이내 시장 침체를 겪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앤드류 버클랜드 MSI 선임 가스 운송 분석가는 "지난주 MSI가 주최한 웨비나에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갈등이 시장 변동성이 매우 높고 무역 패턴이 변화하면서 LNG 시장이 변화하고 있다"며 현재 상황에서 새로운 LNG를 확보하는 것이 더 어렵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로운 LNG 선단의 급증으로 LNG 주문 수요를 충족할 조선 능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우려를 제기하면서도 과잉 용량은 일시적일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LNG 부문은 액화프로젝트를 앞두고 신규 선박이 인도되는 등 어려움을 거듭해왔고, 이로 인해 지연 발생해 해운 시장의 과잉 생산 기간이 이어지고 있다. 작년 2분기부터 LNG운반선 신규 수주가 전례 없이 급증했다. 86건의 주문이 기록적인 수준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48건이 추가로 주문됐다. 202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해양이 40억 달러 규모의 카타르가스 노스 필드(North Field) 압축 시설 입찰에 출사표를 던졌다. 카타르의 액화천연가스(LNG) 생산 능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주요 해상 압축 시설 입찰을 시작하는데 국내 조선소도 입찰에 뛰어든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조선해양과 대우조선은 카타르 에너지의 자회사인 카타르 가스는 카타르 해상 압축 시설 4번째 패키지(EPCI 4) 입찰에 참여한다. 해상 프로젝트의 추가 개발의 일부를 형성하는 압축 시설에 대한 엔지니어링, 조달, 건설, 설치(EPCI) 계약으로, 내년 1분기에 최종 후보자를 발표한다. 패키지4는 노스 필드로 향하는 최소 2개의 대형 압축 플랫폼에 대한 입찰이다. 이탈리아 사이펨과 중국 해양석유공사(COOEC) 그룹에 수여된 45억 달러 규모의 EPCI 2 패키지와 유사하다. 카타르가스는 지난 8월 NFE 해양 압축 시설에 대한 두 번째 패키지(패키지 2)에 대한 상업 입찰을 시작했다. 해양 압축 프로젝트의 기본설계는 테크닙FMC가 맡는다. <본보 2022년 7월 22일 참고 카타르 해양플랜트 시설 입찰 내달 시작…현대·삼성중공업 도전> 카타르 가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홀딩스가 산학연 협력을 통한 벤처육성 활동을 인정 받았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6일(현지시간) 영국 런던에서 개최된 CCS 어워즈에서 '오픈 이노베이션 챌린저 상'을 수상했다. CSS(Corporate Startup Stars) 어워즈는 세계상공회의소(ICC,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가 스타트업과 협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글로벌 기업 선정, 시상하는 행사이다. 매년 글로벌 기업 100곳을 선정해 시상하고 있다. 포스코홀딩스는 기업벤처 캐피탈 부문 투자금액, 예상수익률, 펀드 규모, 우수한 투자 프로세스와 함께 산학연 협력을 통한 벤처육성 활동을 인정받아 '오픈 이노베이션 첼린지 상'을 수상하게 됐다. 올해 한국기업으로는 포스코홀딩스를 비롯해 삼성, 현대자동차, LG전자, 기업은행이 수상했다. 지멘스가 최고 기업으로 선정돼 대상을 수상했다. 박성진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 산학연협력담당은 "포스코는 한국에서 유일하게 산업과 대학의 협력체계를 35년전에 구축했다"며 "포스텍과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의 벤처밸리에서 육성중인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펀드 시스템을 갖추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건조 중인 해상풍력발전기 설치선(WTIV)에 폴란드 조선기자재업체 토비모르(Towimor S.A)의 고정 장비가 장착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토비모르는 WTIV를 발주한 모나코 선사 에네티(옛 스콜피오 벌커스)에 근해 선박에 계류·정박 장비를 제공한다. 이로써 선상 장비 제조업체인 토비모르는 한국 조선소에서 오는 2023년까지 주문 포트폴리오를 40척 이상으로 확장했다. 대부분의 장비는 한국 공장에서 제조될 예정이다. 토비모르는 선박 갑판 장비의 설계와 제조 분야에서 50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회사이다. 거의 4000척의 선박에 장비를 갖추고 있다. 갑판 기계, 조선소, 선주 및 선급 협회와의 긴밀한 협력 덕분에 모든 요건을 충족한다. 에네티가 대우조선에서 발주한 선박은 최대 65m 깊이에 20MW급 풍력터빈을 설치할 수 있다. 에네티를 위해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대체 연료를 사용하도록 개조된다. 첫 번째 장치는 2024년에 제공될 예정이다. 에네티는 미국 해운대기업 스콜피오 산하 벌크선 회사다. 스콜피오 벌커스(Scorpio Bulkers)에서 사명을 변경했다. 에네티는 벌크선 매각 후 WTIV
[더구루=길소연 기자] 러시아가 자국 조선 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방글라데시 노동자를 유치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조선소 크라스노예 소르모보(Krasnoye Sormovo)는 벨라루스의 화물선을 갱신하기 위해 방글라데시 해외고용서비스유한공사(BOESL)와 접촉했다. 화물선 갱신에 방글라데시 노동자를 모집하기 위해서다. BOESL 공지에는 "약 100명의 숙련된 인력을 초기에 구했다"며 "여기에는 비계, 선체 설치공, 기계 및 파이프 설치공, 용접공 등이 포함된다"고 알렸다. 말릭 안와르 호세인(Mallick Anwar Hossain) BOESL 전무이사는 "러시아 조선 시장에 진출하면 많은 사람들이 그곳에서 고용될 수 있어 노력하고 있다"며 "방글라데시의 조선업에 종사하는 숙련된 사람들이 다양한 해양 기술 기관에서 교육을 받고 나와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방글라데시에는 6개의 해양 기술 연구소가 있어 숙련된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일을 위해 싱가포르로 간다. 러시아는 한국, 싱가포르 또는 다른 곳의 조선소에서 6개월의 경험을 요구하고 있다. 러시아로 가는 근로자의 이주 비용은 4만2000(약 53만9000원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금광개발 업체 블루버드머천트가 충남 청양 구봉·고창금광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에 나섰다. 신종 코로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잠정 중단됐던 사업에 다시 속도를 올리는 모습이다. 블루버드머천트는 구봉·고창금광 개발 사업과 관련해 임시 산지 사용 허가 신청을 위한 자금 목적으로 23만 파운드(약 4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했다고 9일 밝혔다. 이와 함께 기관 투자자들과 투자 논의를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블루버드머천트는 지난 2019년 두 광산에 대한 개발 허가권을 얻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사업이 차질을 빚었다. 그러던 중 콜린 피터슨 블루버드머천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5월 전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 이후 처음으로 한국을 찾으며 사업에 재시동을 걸었다. <2022년 5월 18일자 참고 : 구봉·고창 금광 개발 재시동…英 블루버드머천트, 코로나 이후 첫 방한> 구봉광산은 한때 한국 최대 금광이었다. 1926∼1937년 금 2만5838g, 은 28만5867g이 생산됐다. 1949∼1970년에는 금 1113만6100g, 은 33만1203g이 채굴됐다. 고창광산은 금과 은을 생산하던 곳이다. 하지만 19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시아 해운사들이 대규모 컨테이너선 발주를 예고 있어 국내 조선업들이 연말 수주전에서 막판 뒷심을 발휘할 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9일 해운분석기관 알파라이너(Alphaliner)에 따르면 대만 에버그린은 1만5000~1만7000TEU급 규모의 컨테이너선 20척 발주를 추진 중이다. 에버그린마린은 지난해에도 1조 단위 컨테이너선 건조 물량을 중국 조선소에 발주했다. 10억 달러(약 1조1400억원) 규모의 최대 24척의 피더(Feeder) 컨테이너선을 중국선박공업집단(CSSC) 산하 황푸원충조선소(Huangpu Wenchong Shipyard)에 주문한 것이다. <본보 2021년 9월 4일 참고 대만 에버그린 '1조' 컨테이너선 프로젝트 중국 품으로> 에버그린은 이미 지난해 스크러버 장착 컨테이너선 주문에만 약 28억 달러(3조원)를 쏟아부었지만 선대확충 때문에 추가 신조를 주문한다. <본보 2021년 3월 26일 참고 [단독] 삼성중공업, 3조 수주 잭팟…컨테이너선 20척 수주> 대만 해운사 양밍해운(Yang Ming)도 1만5000TEU급 확정 물량 5척에 옵션분 5척이 포함된 10척의 선박 주문을 찾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미포조선이 3000억원대의 컨테이너선 수주가 임박하면서 막판 스퍼트를 이어가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미포조선은 프랑스 친환경운송 스타트업 제피르&보레아스(Zephyr & Boree)와 저탄소 피더 컨테이너선 10척에 대한 건조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 척당 가격은 2400만 달러(약 317억원)으로 추정된다. 10척 계약예 성공할 경우 총 수주액은 317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선박은 풍력과 메탄올 엔진의 하이브리드로 구동된다. 신조선은 2025년 인도를 시작으로 현대미포조선소에서 선박을 건조한다. 선박 주문은 프랑스 타이어 제조업체 미쉐린이 이끄는 20개 이상의 화주 그룹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은 기존 운송에 비해 탄소 배출량을 최소 절반으로 줄이려고 노력하고 있다. 화주는 7년에서 10년 동안 화물을 맡길 것으로 예상된다. 미쉐린 외에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화주로는 농업그룹 에이브릴, 명품 제조사 루이비통 모엣헤네시, 록시땅 등이 있다. 제피르&보레아스는 저탄소 선박을 전문으로 하는 해운 회사이자 현대 항해 해상 운송의 선구자이다. 르아브르와 앤트워프, 뉴욕과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