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인도 정부 산하 공공정책 싱크탱크 '국가개혁위원회(NITI Aayog, 니티 아요그)'가 인도 국세청에 전동화 전환 택시사업자에 대한 추가 감가상각 혜택을 제공할 것을 권고했습니다. 전기차 수요 촉진과 전기차 부문 투자 활성화를 위해서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인도 싱크탱크 "EV전환 택시사업자 추가 감가상각 혜택"…현대차 예의주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배터리 부품·소재 기업들이 해외 투자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배터리 부품 회사 중루이(中瑞)는 한국에, 음극재 전문 기업 '샹타이테크놀로지(尚太科技)'는 싱가포르·스페인에 자회사 신설을 추진합니다. 중국을 넘어 해외로 사업을 확장해 새 수익을 발굴하고 미국과 유럽의 고율 관세를 피하려는 행보로 분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관세 폭탄 피하자' 中 배터리 회사, 해외에 너도나도 '깃발'
[더구루=김은비 기자] 컨테이너선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해운사들이 신조 발주 대열에 속속 합류하고 있습니다. '홍해 사태' 장기화로 해상 운송 수요가 늘면서 컨테이너선 신규 주문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6월 한 달 동안만 17척의 컨테이너선이 발주됐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컨테이너선 신조선 수요, 가파른 상승세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소프트뱅크가 엔비디아의 GPU(그래픽처리장치) 물량 확보에 나섰습니다. AI(인공지능) 기술 분야의 리더로 자리매김 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소프트뱅크, 100억 달러 들여 엔비디아 GPU 물량 확보 추진
[더구루=김은비 기자] 루마니아 원자력공사(이하 SNN)가 소형모듈원자로(SMR) 사업 회사에 자금 지원 규모를 늘립니다. 탄탄한 자금이 뒷받침돼야 속도감 있고 안정적으로 SMR 사업을 전개할 수 있어서입니다. 루마니아에 SMR을 공급할 뉴스케일파워와 파트너사인 '두산에너빌리티'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두산에너빌리티 참여' 루마니아 SMR, 사업 자금 대거 늘린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베트남 인공지능(AI) 시장이 2030년 약 34억 달러(약 4조6900억원)로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정부의 지원과 맞물려 빈그룹을 선두로 한 현지 기업들이 AI 연구를 가속화하고 있는 겁니다. 엔비디아와 애플 등 AI 도입에 적극적인 글로벌 기업들의 시선이 베트남에 쏠리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젠슨 황·팀 쿡도 눈독' 베트남 AI 시장 6배 급성장
[더구루=김은비 기자] 크리스토프 하트만(Christoph Hartmann) 아마존 게임즈 부사장이 엔씨소프트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쓰론 앤 리버티(THRONE AND LIBERTY, 이하 TL)'의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하게 된 이유를 밝혔습니다. 크리스토프 부사장은 엔터테인먼트 전문지 버라이어티와의 인터뷰에서 TL 퍼블리싱 계약은 엔씨소프트의 협업 제안이 시작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아마존 게임즈 부사장이 밝힌 엔씨 TL 계약 이유
[더구루=김은비 기자] 셀트리온이 베트남 국영제약사 비나팜(VinaPharm)과 합작법인을 설립합니다. 현지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시설을 세우고 아세안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셀트리온, 베트남 바이오 사업 뛰어든다…'비나팜'과 합작법인 설립
[더구루=진유진 기자] ‘인터배터리 유럽 2024’가 지난달 19일부터 3일 동안 독일 뮌헨에서 개최했습니다. 이번 행사는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에코프로 등을 비롯해 글로벌 배터리•소재 기업들이 참여했습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은 해외 시장서 K-배터리의 기술력을 보여주며 유럽연합(EU)과의 협력도 강화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LG엔솔·삼성SDI, 독일서 K-배터리 기술력 '과시' 세계 최고 K-배터리 기술 '한 자리'에 모였다 LG엔솔·삼성, 中 LFP 가격 공세 방어할 필승 전략 공개 '닻' 올린 LG엔솔·삼성·에코프로, '현지화' 카드 전면에 한-EU 배터리 동맹 강화…사업 협력·규제 공동 대응 롯데 3세 신유열, 그룹 미래 먹거리 '이차전지' 사업 현장 점검 김연섭 대표 "얼티엄셀즈 美공장 램프업, 롯데 동박 기여" 롯데에너지머티·금양이 제시하는 미래 사업 '청사진' ‘적과의 동침’ 한화큐셀…”中과의 전쟁에서 살아남는 법"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TSMC의 글로벌 생산능력에서 해외 거점이 차지하는 비중이 한 자릿수 대에 그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천문학적인 규모의 해외 투자를 단행하고 있지만 자국 생산량도 지속 확장해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전략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TSMC 해외 영토 비중, 파운드리 전체 생산능력 '10%' 불과 (6일 07시)
[더구루=김은비 기자] 독일 자동차 기업 BMW가 노스볼트에 20억 유로 규모의 전기차 배터리 셀 주문을 취소하자 삼성SDI가 반색하고 있다. 지난 2020년 BMW는 스웨덴 배터리 제조업체 ‘노스볼트’와 계약을 체결했으나 납품 지연으로 20억 유로(약 2조 9700억 원) 상당의 배터리 셀 주문을 취소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보기 ◇
[더구루=김은비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베트남 최대 정보기술(IT) 서비스 회사 'CMC'의 수장인 응우옌 쭝 찐(Nguyen Trung Chính) 회장과 만났습니다. 팜 민 찐 총리(Pham Minh Chính)가 이끈 방한 경제사절단에 찐 회장이 포함되며 만남이 성사됐습니다. 베트남 정부가 반도체 육성 정책을 강력히 밀어붙이고 있는 상황에서 삼성과 CMC의 협력이 어디까지 확대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더구루 홈페이지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더구루 인사이트 영상 보기 ◇ 상세 기사 [단독] 이재용 회장, 베트남 CMC그룹 수장과 AI칩 공동 개발 논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반덤핑위원회(Anti-Dumping Commission, ADC)가 중국산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내년으로 연기했다. 이번 조치로 한국을 포함한 대호주 철강 수출 기업들의 전략 계획에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호주 반덤핑위원회에 따르면 위원회는 지난 8일(현지시간) 직경 50mm 이하 중국산 열간압연 변형 철근에 대한 반덤핑 조사 최종 보고서 제출 기한을 기존 오는 10월 7일에서 2026년 2월 9일로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연장은 자료 검증 지연과 추가 정보 분석 필요에 따른 것이다. 추가 절차를 거쳐 핵심 사실 진술서(SEF)는 오는 12월 10일까지 공개된다. 공개 후 이해관계자는 20일 이내에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며, 최종 보고서는 호주 산업과학에너지자원부 장관에게 제출된다. 위원회는 호주 철강업체 '인프라빌드(InfraBuild)'의 신청을 계기로 지난 5월 5일 기존 반덤핑 조치에 대한 일몰재심을 개시했다. 인프라빌드는 호주 최대 철강 생산·유통 업체로, 건설용과 산업용 철근을 주로 공급한다. 이번 조사는 2024년 4월 1일부터 2025년 3월 31일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말레이시아가 중국만리장성산업공사(CGWIC)와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 공급을 검토하고 있다. 말레이시아는 자국 영공 수호를 위해 글로벌 방산 기업들에게게 손을 내밀고 있다. 입찰이 시작되면 LIG넥스원과 CGWIC의 양강 구도가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말레이시아 국방부와 디펜스 시큐리티 아시아 등 외신에 따르면 다툭 록만 하킴 알리(Datuk Lokman Hakim Ali) 사무차관은 지난 8일(현지시간)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푸지헝(Fu Zhiheng) 회장을 비롯한 CGWIC 경영진과 만났다.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인 'HQ-16(红旗-16·수출형 LY-08)'의 공급과 기술 이전을 포괄적으로 논의했다. 면담 자리에는 말레이시아 컨설팅 회사인 IDC 테크놀로지스(IDC Technologies Sdn Bhd) 임원도 참석해 현지 기업들과의 협력을 검토했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많이 국방에 투자하는 국가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으로 긴장이 고조되며 2000년대 이후 군비 지출을 늘렸다. 코트라에 따르면 지난해 전년 대비 약 10.5% 증가한 42억 달러(약 5조8200억원)를 국방 예산으로 책정했다.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