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이 영국 국방부(Ministry of Defence, MoD)와 위성 통신 시스템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 일론 머스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밀착 행보를 이어가면서 스타링크의 대안을 확보하기 위한 각국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아마존 위성 통신 자회사인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는 영국 국방부와 67만 파운드(약 12억원) 규모 통신 네트워크 컨설팅 계약을 체결했다. 프로젝트 카이퍼는 계약에 따라 영국 우주 사령부와 협력한다. 아마존은 관련 내용에 대해서 별도의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이번 계약을 통해 프로젝트 카이퍼는 영국군이 준비하고 하고 있는 위성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또한 영국군을 위한 트랜스레이터 위성 활용 방안도 모색한다. 현재 위성은 대부분 같은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위성이나 우주선에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반면 트랜스레이터 위성은 군, 정부, 민간, 동맹국 등 다른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위성 간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영국 국방부는 현재 군용 통신 위성인 스카이넷의 세대 교체와 이스타리 프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팹리스 기업 미디어텍(MediaTek)이 미국發 관세를 앞두고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 모습이다. 아직 세부적인 내용이나 관세 품목이 확실히 정해지진 않았지만 반도체에 관세가 부과될 경우, 매출과 수익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철저하게 대비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릭 차이(Rick Tsai) 미디어텍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7일(현지시간) 열린 2024년 4분기 실적 컨퍼런스 콜에서 '미국 정부가 대만에 반도체 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보냐'는 질문에 "매우 예측하기 힘든 문제"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물론 우리는 앉아서 아무것도 안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나름대로 가정을 세우고 시뮬레이션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릭 차이 CEO는 시뮬레이션 내용에 대해서 공개하지 않았지만 관세 부과 여부, 규모, 범위 등 다양한 변수를 두고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릭 차이 CEO는 "변수가 너무 많다"며 "지금은 정확한 예측을 하기 매우 어렵다. 매우 복잡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대만 정부도 반도체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에 장원뤄 경제부 정무차장(차관)을 필두로한 대표단을 파견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가 차세대 외장형 그래픽카드 '라데온 RX 9070', '라데온 RX 9070 XT'의 3월 출시를 확정했다. 엔비디아 지포스 50 시리즈가 공급 부족 문제를 겪고 있는 가운데 AMD도 재고 확보가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리사 수 AMD 최고경영자(CEO)는 2024년 4분기 실적 발표를 통해 "3월 초 라데온 RX 9070, RX 9070 XT를 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출시 날짜로 3월 6일을 예상하고 있다. 라데온 RX 9070, RX 9070 XT는 지난달 개최된 CES 2025에서 공개됐다. 라데온 RX 9070, RX 9070 XT은 TSMC 4나노미터(nm) 공정에서 제작되면 AMD의 업스케일링 기술인 FSR(Fidelity Super Resolution) 4가 제공된다. 특히 RX 90 시리즈는 AMD의 차세대 GPU 아키텍처인 RDNA 4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AMD는 RDNA 4를 기반으로 개발된 RX 90 시리즈 제품군이 고품질 게임 성능을 제공할 것이라며 성능을 자신했다. AMD는 RX 9070, RX 9070 XT를 앞세워 지포스 50 시리즈 중간급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Meta)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스레드(Threads)' 월간 활성 이용자수(MOU)가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메타는 틱톡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숏폼 서비스 강화에 나서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스레드의 2024년 12월 MOU는 3억 2000만명에 달했다. 이는 전월대비 2000만명이 증가한 수치다. 마크 주커버그 메타 최고경영자(CEO)는 "스레드에 하루에 100만명씩 가입자가 추가되고 있다"며 "향후 몇 년 내 선도적인 토론 플랫폼으로 성장, 10억명의 사람들에게 도달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타는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의 숏폼 서비스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메타가 숏폼 플랫폼 강화에 속도를 내는 것은 틱톡의 발전을 경시해 시장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자체평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경제전문매체 비즈니스 인사이더가 공개한 내부 회의록에 따르면 마크 주커버그 CEO는 "틱톡을 돌아보면 우리가 느리게 반응한 이유 중 하나는 틱톡이 소셜이라고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인 것 같다"며 "우리는 이 서비스를 보고 '유튜브와 좀 더 비슷하구나'라고 생각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너무 안일하게 생각했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모델 공유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 Face)가 오픈AI의 딥 리서치와 경쟁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허깅 페이스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오픈 소스 언어 모델의 경쟁력을 유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허깅 페이스는 4일(현지시간) 딥 리서치의 기능을 오픈 소스로 구현하기 위한 '오픈 딥 리서치(Open Deep Research)' 프로젝트가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오픈 딥 리서치 프로젝트는 오픈AI의 딥 리서치를 모방하는 미션을 수행하는 프로젝트로, 오픈 소스 언어모델의 성능을 끌어올리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됐다. 오픈AI 딥 리서치는 챗GPT 툴이다. 딥 리서치는 재무, 과학, 정책, 공학 등 연구는 물론 제품 조사 등 심층적이고 정확한 연구가 진행돼야 할 상황에서 사용한다. 딥 리서치의 가장 큰 특징은 이용자가 질문을 하면 인터넷 상에서 관련된 정보를 탐색, 분석해 리서치 애널리스트 수준의 보고서를 내놓는다는 점이다. 오픈AI는 딥 리서치를 통해 사람이 수 시간동안 해야할 일은 수십 분 만에 완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딥 리서치의 일반적인 작업시간은 5~30분 정도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2세대 외장 그래픽카드 배틀메이지 제품군 확대를 준비 중이다. 인텔은 배틀메이지 그래픽카드를 앞세워 외장 그래픽 카드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리눅스 시스템용 인텔 그래픽카드 드라이버에 'BMG G21' 그래픽처리장치(GPU)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ID가 5개 인 것으로 확인됐다. PCI ID는 장치를 식별하는 고유 번호이며 그래픽카드 드라이버는 PC 운영체제(OS)와 그래픽카드 사이의 통신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다. 드라이버는 그래픽카드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최적화하는 역할을 한다. 드라이버에 PCI ID가 5개였다는 것은 등록된 그래픽카드가 5종이라는 말과 같다. 현재 인텔이 출시한 배틀메이지 그래픽카드는 아크 B570, 아크 B580 2종뿐이다. 이번에 확인된 인텔 베틀메이지 그래픽카드 PCI ID는 △0xe210 △0xe215 △0xe216다. 관심을 받는 것은 이 중 0xe210에만 BMG G21이라고 태그가 붙었다는 점이다. 0xe215, 0xe216에는 BMG라는 태그가 붙어있다. BMG G21 GPU는 아크 B-시리즈 그래픽카
[더구루=정등용 기자] 슈퍼마이크로컴퓨터가 엔비디아 블랙웰 칩을 탑재한 AI(인공지능) 데이터센터를 공개했다. 이 영향으로 슈퍼마이크로컴퓨터와 엔비디아 주가도 상승 마감했다. [유료기사코드]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5일(현지시간) 엔비디아 블랙웰 기반의 AI 데이터센터 빌딩 블록 솔루션을 본격적으로 생산한다고 발표했다. 이 솔루션에는 다양한 CPU 옵션과 더불어 효율적인 작동을 위한 열 설계를 갖춘 공냉식 및 수냉식 시스템이 모두 갖춰져 있다. 또한 확장 가능한 인프라로 복잡한 AI 워크로드를 지원하며, 첨단 수냉·공냉 기술을 통합한 엔비디아 HGX B200 같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이번 솔루션에는 턴키 AI 배포를 위한 랙 수준 통합과 네트워크 스위칭 및 클러스터 검증이 포함된다. 슈퍼클러스터 설계는 최대 768개의 GPU를 지원하는 확장 가능한 AI 유닛을 허용하며, 엔비디아 AI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AI 배포에 최적화 돼 있다. 슈퍼마이크로컴퓨터는 대규모 AI 인프라를 위한 글로벌 제조 및 액체 냉각 전문성을 갖춘 완벽한 엔드투엔드 솔루션을 제공할 예정이다. 이 같은 소식이 알려지면서 슈퍼마이크로컴퓨터와 엔비디아 주가도 상승 흐름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의 신형 게이밍 그래픽카드 RTX 5080, RTX 5090이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엔비디아 직원들도 제품을 구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지며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있다. [유료기사코드] 5일 IT 유튜브 '무어의 법칙은 죽었다(Moore's Law Is Dead)'에 따르면 엔비디아 내 직원 매장에도 RTX 5080, RTX 5090 재고가 없어, 직원들이 구매하지 못했다. 그에 따르면 엔비디아 직원들이 내부 매장에서 그래픽카드를 구매하지 못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엔비디아는 광범위한 안정화가 이뤄지기 전까지는 내부 매장에서 RTX 50 시리즈 제품을 판매하지 않을 예정이다. RTX 5080, RTX 5090은 출시 전부터 공급 대란이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수요에 비해 공급량이 턱 없이 적은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대만의 컴퓨터 부품 전문매체 벤치라이프는 RTX 5090과 RTX 5080이 출시 초기 공급 부족 문제를 겪게 된 것은 엔비디아와 애드 인 보드(add-in board, AIB) 파트너사들 간의 의사소통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여기에 1월 말 중화권 최대 명절인 춘절도 생산에 영향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위스콘신주 러신(Racine) 카운티에 구축 중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규모를 확대한다. MS 러신 데이터센터는 구축이 완료되면 미국 최대 규모의 데이터센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위스콘신 주 케노샤에 위치한 약 97만1245제곱미터(㎡) 규모 부지 인수를 완료했다. MS는 해당 부지에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 프로젝트 상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현재 1단계 구축 작업을 진행 중인 러신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으로 알려졌다. 케노샤 시 당국은 "MS가 부지 매입을 마무리 했을 뿐 개발 일정, 투자 규모, 인센티브 등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MS도 "정보가 추가되는데로 업데이트 하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케노샤에 신규 부지 매입을 완료하면서 MS가 러신과 인근 지역에 데이터센터 구축을 위해 확보한 부지 규모는 약 607만제곱미터(1500에이커)를 넘어섰다. MS가 러신 데이터센터 건설에 나선 것은 지난 2023년 초다. MS는 2023년 3월 10억 달러(약 1조4500억원)를 투입해 127만5000제곱미터 부지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실수로 애로우 레이크(Arrow Lake) 프로세서 제품인 '코어 울트라 3 205' 중앙처리장치(CPU)의 상세 정보를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보급형 CPU 제품인 만큼 출시 여부와 시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공식 제품 홈페이지에 코어 울트라 3 205의 세부 정보를 업로드했다. 인텔은 현재 해당 페이지에 업로드 된 내용을 삭제한 상황이다.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코어 울트라 3 205은 과거 펜티엄, 셀러론 제품군이 차지했던 보급형 라인업을 담당하게된다. 코어 울트라 3 205는 라이언 코브 P-코어 4개, 스카이몬트 E-코어 4개로 구성된 8코어 프로세서다. 성능 코어인 라이언 코브 P-코어는 최대 4.9GHz까지 부스터할 수 있으며 효율성 코어인 스카이몬트 E-코어는 최대 4.4GHz 클럭에 도달할 수 있다. 내장 그래픽처리장치(GPU) 아크(Arc) Xe-LPG 코어 2개로 구동되며 신경망처리장치(NPU)의 인공지능(AI) 연산 성능은 최대 13톱스(TOPS, 초당 1조 연산)다. 설계시 기본 열 설계 전력(TDP)은 57와트(W)이며 최대 전력 제한은 76W다. 이번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올해 추가로 데스크톱 프로세서 제품을 출시하지 않는다. 인텔은 '애로우 레이크(Arrow Lake)'의 게이밍 성능 이슈를 해결하면서 2026년 '노바 레이크(Nova Lake)' 출시를 준비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인텔은 올해 새로운 개인용 중앙처리장치(CPU)를 출시하지 않기로 했다. 지난해 등장한 애로우 레이크-S 리프레시 개발 취소 루머가 현실화 된 것이다. 애로우 레이크-S 리프레시는 애로우 레이크 CPU의 성능 강화버전이다. 인텔은 애로우 레이크 추가 개발 대신 팬서 레이크(Panther Lake), 노바 레이크 개발에 집중한다. 팬서 레이크는 올해 하반기 출시될 새로운 CPU로 랩톱(노트북) 전용 제품군이다. 팬서 레이크는 루나 레이크의 후속 버전으로 개발되고 있다. 애로우 레이크의 후속 모델은 내년 출시 예정인 노바 레이크가 담당한다. 노바 레이크는 코어 울트라 400시리즈로 공개되며 코요테 코브(Coyote Cove), 아크틱 울프(Arctic Wolf)라는 새로운 CPU 코어 아키텍처가 도입된다. 생산은 인텔 14A(1.4나노미터, nm) 공정 또는 TSMC 2나노미터 공정에서 이뤄질 것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알렉스 카프 팔란티어 최고경영자(CEO)가 올해 월가 컨센서스를 상회하는 매출 성장을 자신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국 우선주의에 발 맞춰 기술 협력 범위를 넓혀 나갈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카프 CEO는 3일(현지시간)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을 통해 올해 매출 전망치를 37억5000만 달러(약 5조4800억원), 영업이익을 15억6000만 달러(약 2조2800억원)로 각각 예측했다. 이는 애널리스트들이 예상한 매출 35억4000만 달러(약 5조1700억원)와 영업이익 13억7000만 달러(약 2조원)보다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4분기 매출은 애널리스트들의 평균 예상치인 7억7590만 달러(약 1조1300억원)보다 약 36% 많은 8억2750만 달러(약 1조2100억원)로 집계됐다. 조정 주당 순이익은 14센트로 월가 컨센서스인 11센트를 웃돌았다. 미국 국방부와의 협력 관계가 강화되면서 미국 정부에 대한 매출은 45% 증가한 3억4300만 달러(약 5000억원)에 달했다. 미국 상업 매출은 64% 증가한 2억1400만 달러(약 3100억원)를 기록했다. 카프 CEO는 “팔란티어는 새로운 단계에 있다”며 미국의 이익을 위해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도가 글로벌 리튬 쟁탈전에 뛰어든다. 전기 자동차(EV) 배터리의 핵심 원재료인 리튬의 안정적인 공급 확보를 위한 전략적 조치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국유 기업 카니즈 비데쉬 인디아(KABIL)와 인도 국영탄광업 콜 인디아(Coal India Ltd), 인도 원유·천연가스 개발업체 오일 인도(Oil India Ltd), 인도 국영 석유 회사 ONGC 비데쉬 등 4개 국유기업은 칠레 광산회사 SQM과 호주 내 리튬 프로젝트 2곳의 지분 20%를 인수하기 위한 협상 중이다. 논의는 비공개로 진행 중이며, 인수를 위한 실사도 시작됐다. 인도 국유기업들은 이번 거래를 위한 합병과 인수 자문사도 임명한다. 1968년 설립된 SQM은 칠레와 호주 등에 리튬 광산을 소유한 기업이다. 전 세계 리튬 시장의 약 19%를 차지하고 있다. SK온과 2023~2027년 수산화리튬 총 5만7000t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LG에너지솔루션과는 지난 2020년 공급 계약을 시작으로 작년 5월 양극재 합작공장 설립과 폐배터리 재활용 연구에 협력하는 등 한국 배터리 회사들과도 활발히 협력하고 있다. <본보 2022년 5월 6일 참
[더구루=오소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테라파워가 원전 설비 공급사를 추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HD현대에 이어 미국 '미리온 테크놀로지스(Mirion Technologies, 이하 미리온)'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원전 안전과 관련된 주요 설비들을 공급받아 소듐냉각고속로(SFR) '나트륨'에 활용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리온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테라파워와 방사선 감시시스템(RMS)·원전 계측 시스템(XI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RMS는 방사선 준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해 종사자의 피폭을 관리하고 방사성 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핵심 설비다. 발전소 내 주요 지역의 방사선 준위를 측정하는 지역감시기(Area Monitor), 계통내 방사성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공정감시기(Process Monitor),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을 감시하는 유출물감시기(Effluent Monitor)를 포괄한다. XIS는 원전의 출력 수준을 측정해 안정적인 발전소 운영을 지원하는 중요한 설비다. 두 설비는 테라파워가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건설 중인 나트륨에 설치된다. 테라파워는 작년 6월 와이오밍주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에 3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