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태국이 운용 중인 다목적 전투기 F-16에 한국형 GPS 유도폭탄(Korean GPS Guided Bomb, KGGB)이 탑재한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태국 공군(RTAF)은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다목적 전투기 F-16 파이팅 팰컨(Fighting Falcon)이 KGGB를 투하하는 비행 훈련 기록을 공개했다. 태국 공군은 훈련 도중 F-16에서 한국형 활공폭탄을 투하했다. 이는 현대화된 F-16에 KGGB 등의 무기가 통합됐음을 보여준다. 태국 공군은 지난해 LIG넥스원이 생산하는 KGGB를 도입했다. LIG넥스원은 태국에 두 차례에 걸쳐 KGGB 20발(한묶음 당 10발)을 인도했다. <본보 2022년 9월 6일 참고 [단독] "태국, LIG넥스원 한국형 GPS 유도폭탄 'KGGB' 도입 결정"> 도입 당시 태국 공군은 KGGB를 한국항공우주산업(KAI)가 제작한 T-50TH 골든이글 경전투·공격훈련기에 탑재할 것으로 알려졌으나 F-16에 탑재했다. 태국 공군은 주력전투기로 미국 록히드마틴의 F-16 55대와 스웨덴 사브의 JA-39 C/D 그리펜 12대를 운용 중이다. KGGB는 2012년 12월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표그룹 철도부문 계열사인 삼표레일웨이가 인도 철도시장에 힘을 쏟는다. 2021년 인도 시장을 개척한 삼표레일웨이는 열차 시스템이 노후화된 현지 시장에 철도 분기기와 전기 시스템 등을 공급해 사업영역을 확대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삼표레일웨이는 전날 인도 텍스마코 레일&엔지니어링(Texmaco Rail & Engineering Ltd. 이하 텍스마코)과 철도 전기 시스템 관련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번 MOA는 철도 선로 분야 핵심 제품인 철도 전기 시스템의 협력을 구체화했다. 삼표레일웨이가 인도 철도용 CMS(주자석) 교차 제조에 기술 이전을 한다. 양사는 선구적인 솔루션과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 전문 지식을 결집해 인도 철도 네트워크의 현대화, 효율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텍스마코는 인도에서 화물차, 객차, 고속철도와 같은 철도 차량, 수력 기계 장비, 강철 주물, 철도 EPC, 교량, 기타 강철 구조물 제조 사업을 하고 있다. 수년에 걸쳐 제품 포트폴리오를 개발하고 확장하기 위해 일본, 미국, 영국, 독일, 호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등의 유명한 다국적 기업과 기술 협력을 체결했다. 차재정 삼표레일웨이 사
[더구루=길소연 기자] 고려아연의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가 6년 동안 개발해온 호주 태즈매니아의 풍력발전 사업에서 손을 뗀다. 아크에너지의 포트폴리오에서 규모가 가장 작아 개발 과정에서 제외하고 대규모 풍력 발전 프로젝트에 집중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아크에너지는 태즈매니아 스탠리 반도에서 조성해온 웨스턴 플레인스(Western Plains) 풍력발전소 개발 계획을 철회한다. 웨스턴 플레인스 풍력발전소는 풍력 터빈 12기를 설치해 출력 용량이 50.4메가와트(MW)로 운영될 풍력발전이다. 애초 호주 신재생 에너지 개발 업체 에퓨런(Epuron)이 추진했다가 고려아연이 에퓨런을 인수하면서 사업을 이어받았다. 고려아연의 자회사 아크에너지는 지난 2021년 12월 에퓨론을 4억5000만 호주달러(약 4111억원)에 인수했다. <본보 2021년 12월 23일 참고 [단독] 고려아연, 호주 재생에너지 기업 '에퓨런' 인수> 아크에너지는 "태즈매니아 북서쪽 스탠리 반도는 유난히 바람이 많이 부는 곳으로 풍력 자원이 풍부해 발전소 건설로 훌륭하다"라면서도 "웨스턴 플레인스 프로젝트 규모가 작아 아크에너지의 포트폴리오의 우선순위에 맞지 않아
[더구루=오소영 기자] 효성중공업이 유럽 연구·개발(R&D) 거점으로 네덜란드 동부 아른험을 낙점했다. 유럽의 에너지 전환에 발맞춰 친환경 전력기자재 개발을 선도하고 전력 산업 본 고장에서 수주를 확대한다. 31일 네덜란드 아른험 산업단지와 업계에 따르면 효성중공업은 지난주 현지 부동산 개발사인 '시티 디벨로퍼-S(City Developer-S)'와 R&D센터 설립과 관련한 부지 계약을 체결했다. 이 회사는 네덜란드 전기 안전 인증 시험소인 케마(KEMA)의 연구소가 입주했던 아른험 산업단지 '아른험 부이텐(Arnhems Buiten)'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효성중공업은 산업단지 내 건물을 리모델링 해 입주한다. 이 건물은 1930년대 설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효성중공업은 내년 2월까지 리모델링을 완료할 예정이다. 약 30명의 연구 인력이 상주하며 전력 설비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아른험은 전자·수소 기술이 집약된 산업 도시다. 케마를 비롯해 유럽 우수 기관 ·대학이 밀집했다. 요코타 타케시 효성중공업 부사장은 현지 언론을 통해 "아른험 부이텐은 크고 작은 배전 회사들이 인근에 위치해 당사에 매우 적합한 장소"라며 "신설 연구소를 통해 유럽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건설기계가 북미와 유럽 건설기계 시장에서 영업망을 확충한다. 북미와 유럽 딜러 네트워크를 확대해 수익성을 확보한다. 31일 업계에 따르면 HD현대건설기계는 북미와 유럽 등 선진시장의 건설장비 수요 확대에 대응해 새로운 딜러사를 추가한다. HD현대건설기계는 유럽 네트워크 강화로 프랑스 뒤브뢰유의 자회사 마눌랜드(Manuland)를 딜러사로 추가했다. 마눌랜드는 농업과 건설 부문을 강화하기 위해 딜러사로 합류했다. 프랑스 솜(Somme), 엔(Aisne), 파드칼레(Pas-de-Calais), 노드(Nord), 센 에(Seine-et) 등 5개 지역 대리점에서 HD현대건설기계의 자재 운반 지게차 등을 판매한다. 사이먼 그라델(Simon Grardel) 마눌랜드 이사는 "우리는 주로 농업 및 토목 분야의 핸들링을 전문으로 하며, 우리의 노하우를 새로운 브랜드인 HD현대건설기계에 도입하고 싶다"며 "HD현대건설기계로 고객에게 더 많은 기계 및 장비 선택권을 제공해 요구를 충족할 것"이라고 밝혔다. 1991년부터 농업 장비를 전문으로 취급해온 마눌랜드는 뒤브뢰유의 자회사로 중요한 건설 장비 유통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HD현대건설기계 북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개발한 FA-50이 필리핀에서 미국의 5세대 스텔스 전투기를 격추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세계 최고 수준의 스텔스 전투기를 뛰어넘는 뛰어난 공중전 능력을 보여준 셈이다. 30일 소셜네트워크(SNS) 플랫폼 엑스(옛 트위터, 이하 X)에 따르면 지난 5월1일(현지시간)부터 12일까지 팜팡가주 클라크 공군기지에서 열린 미국-필리핀 합동군사훈련인 '2023년 코프 썬더(Cope Thunder) 23-1'에서 FA-50이 가상으로 미국의 스텔스 전투기 F-22 랩터(Raptor)를 격추시켰다. 아이디 'Keen Sentinel'인 필리핀 군 관계자는 29일 자신의 X에 "필리핀 공군은 2023년 코프 썬더 훈련에서 FA-50를 사용했다"며 "FA-50으로 미국의 F-22 랩터 스텔스 전투기를 잠금(LOCK) 상태로 만들었는데 이는 전쟁 중에는 격추됐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필리핀 공군의 FA-50이 F-22와 대치할 때, 급선회하는 기동 속에서 미 공군의 F-22를 격추시켰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해당 내용은 필리핀 제5전투비행단의 매거진 '파이터즈 저널'에 실려있다고 전했다. 파이터즈 저널에는 훈련 중 격추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루마니아 전차 사업 협력을 위해 루마니아 방산업체 창립 기념 컨퍼런스에 참석했다. 루마니아 방산매체 디펜스루마니아(defenseromania)는 현대로템이 27일(현지시간) 모레니에서 열린 오토메카니카 모레니(Uzina Automecanica Moreni) 창립 55주년을 기념해 열린 컨퍼런스에 참석했다고 보도했다. 이번 컨퍼런스는 루마니아 정부·국영방산기업 롬암의 자회사인 오토메카니카 모레니의 창립을 기념하며 개최됐다. 오토메카니카 모레니의 활동을 돌아보고 우크라이나 기업을 포함한 참석한 방산기업의 파트너십이 논의됐다. 코르넬리우 비쇼이아누(Corneliu Vişoianu) 오토메카니카 모레니 총괄 책임자는 "컨퍼런스에 현대로템 등 한국의 기업과 이스라엘 방산기업 엘빗 시스템즈가 함께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토메카니카 모레니는 지난 한 해 동안 전 세계 대기업들과 20여 차례 미팅을 하며 다양한 협력을 위한 논의가 이뤄졌다"며 "우크라이나 기업을 포함해 제품 호환성을 목표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로템이 컨퍼런스에 참석한 건 루마니아 전차 사업 수주를 위해서다. 현대로템은 루마니아에 기술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현대로템이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에 참여할지 관심이 집중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로템은 체코 정부의 고속철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받았다. 마틴 쿱카(Martin Kupka) 체코 교통부 장관은 지난 4월 방한해 현대로템 방문해 KTX 시승 등을 통해 고속철 협력에 관심을 표명했다. 이어 5월에 고속철 기술, 노하우 공유를 위한 한-체코 철도 워킹그룹 구성에 합의하며 고속철 협력을 논의했다. 현대로템이 체코 고속철 사업에 참여할 경우 체코 기업과 협력이 필요하다. 체코철도협회(ACRI)에 따르면 고속철 프로젝트에 자국 기업 참여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체코 기업과의 협력도 필요하다. 체코 기업은 철도 차량 및 기자재, 부품 제조, 철도 선로 등 인프라 건설에 풍부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일례로 현대로템은 체코 철도·차량 부품 업체 스코다(Skoda)와 손잡고 아프리카 탄자니아에 전동차를 공급한 바 있다. 스코다(Skoda)의 전기 장비를 공급받아 탄자니아 전동차에 장착했다. <본보 2023년 7월 8일 참고 현대로템·성신, 탄자니아에 전동차 속속 인도> 체코 고속철 프로젝트는 체코 및 국경을 공유하는 독일, 폴란드,
[더구루=길소연 기자] LS엠트론이 차세대 에너지저장장치 슈퍼커패시터(SC) 시장에서 '톱10' 기업에 진입했다. 슈퍼커패시터가 10년 뒤 40조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인 가운데 LS엠트론의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 29일 미국 뉴스 웹사이트 스쿱 마켓 어스(scoop.market.us)에 따르면 작년 전 세계 슈퍼커패시터 시장 규모는 47억 달러(약 6조3800억원)로 평가됐으며 2032년에는 292억 달러(약 39조6000억원)로 성장한다. 연평균 성장률(CAGR) 20.6%를 기록한다. 에너지 저장 솔루션인 슈퍼커패시터는 콘덴서의 전기 용량 성능을 강화해 전지 용도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이다. 전력망 개발과 함께 태양광, 풍력과 같은 재생 가능 에너지원의 사용 증가로 슈퍼커패시터의 수요가 늘고 있다. 재생에너지 외 자동차, 전자, 국방, 철도, 전력 부문에서도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통신과 우주통신 분야에서도 슈퍼캐패시터 사용량이 늘었다. 슈퍼커패시터는 일반 커패시터와 달리 훨씬 더 큰 전하를 저장할 수 있어 방전 기능을 유지하면서 향상된 에너지 밀도를 제공한다. 신속한 충전과 방전이 가능해 기존 배터리 기술과 차별화된다. 빠른 에너지 버스트 기능 덕에 전
[더구루=길소연 기자] 독일이 유럽 드론시장을 선도하는 가운데 상업용 드론 부문에서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29일 독일 무인항공협회(Verband Unbemannter Luftfahrt)에 따르면 작년 독일의 드론 시장 매출 규모는 상업용 드론 시장이 8억9300만 유로(약 1조2770억원), 개인용 드론 시장이 6200만 유로(약 887억원)로 총 9억5500만 유로(약 1조3600억원)를 기록했다. 2021년에서 2030년까지 연평균 7.5%의 성장률을 유지하며, 2030년에는 총매출 규모가 17억 유로(약 2조4300억원)로 거의 두 배 성장할 전망이다. 독일의 드론시장 성장은 주로 상업용 드론 시장이 주도할 전망이다. 독일에서 드론은 물류·배송, 건설·인프라, 농업, 보안·감시, 환경 모니터링과 야생동물 보호, 건강 관리, 구조 활동 그리고 에너지 부문 등에서 활용된다. 독일에서 상업용 드론 시장의 성장은 드론 기업에 대한 높은 투자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독일에서는 드론 기업에 대한 투자가 급증했다. 지난 10년간 드론 기업에 약 1억2400만 유로가 투자됐으며, 이 금액 중 약 93%는 지난 2021년과 2022년에 투자된 것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의 인구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의료, 헬스, 교육 등 관련 분야에서의 서비스 로봇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관련 서비스와 기술 업체들은 중국 시장 진출을 위해 서비스 로봇 수요 동향과 중국 정부의 지원 정책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29일 첸잔산업연구원(前瞻産業研究院)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가 2023년 751억8000만 위안(약 13조8600억원)에서 2027년에는 1872억 위안(약 34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한다. 시장 규모는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이 64.7%에 달할 전망이다. 첸잔산업연구원은 중국 서비스 로봇 산업이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 기술과의 응용을 통해 빠르게 스마트화, 디지털화 발전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서비스 로봇 생산량도 증가 추세다. 로봇생산량이 작년 말까지 감소를 이어오다가 지난 4월 전년 동기 대비 47.6% 증가했다. 지난 6월 기준으로는 전년 동기 대비 40% 증가한 66만2658대를 기록하며 상승 추세로 돌아섰다. 중국 정부는 로봇 클러스터를 조성한 업체에 시설 투자금 10% 환급과 기업 이익 20% 수준의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내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대형 무인 수송기 TP500이 착수식을 개최하고 양산에 돌입했다. 중국은 TP500보다 더 큰 대형 무인 수송기 개발에도 착수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TP500을 생산하는 이퉁무인기시스템유한회사(壹通无人机系统有限公司)는 18일(현지시간) 산둥성 옌타이시 생산시설에서 양산 시작을 알리는 착수식을 개최했다. 이퉁무인기시스템유한회사는 이달 말부터 TP500을 양산한다. 이날 착수식에서는 중국 국내외 8개 기업이 참가, 이퉁무인기시스템유한회사와 TP500 제작에 관한 의향서를 체결했다. 이날 제작 의향서가 체결된 물량은 총 216대다. TP500은 중국민항의 요구에 맞춰 연구 개발된 첫 번재 대형 무인 수송기로 표준적재량 500kg, 반경 500km 범위에서 무인으로 화물을 운송할 수 있으며 최대 비행거리는 1800km다. 중국항공공업공사 등은 TP500이 높은 수준의 스마트 기능과 비행 통제 기능, 경제성 등의 장점을 갖추고 있다며 중국 무인 대형 수송기 분야를 개척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P500 개발에 참여한 중국항공공업공사 등은 양산 시작과 함께 적재량, 비행거리, 성능을 업그레이드한 TP2000의 개발에도 착수해 향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