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호주 정부가 지속가능항공유(SAF)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약 1조5000억원을 추가로 투입한다. 1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호주는 저탄소 항공 연료 기술과 새로운 공급 원료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퓨처 메이드 인 오스트레일리아 이노베이션 펀드(Future Made in Australia Innovation Fund)'에서 17억 호주달러(약 1조5400억원)를 지원하기로 했다. 호주 정부는 우선 SAF 개발에 집중할 방침이다. SAF는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 동·식물성 기름 등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유를 항공기에 탑재해 정유·항공업계의 탄소중립 달성 대안으로 꼽힌다. SAF는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항공 분야 탄소 감축을 목표로 국제 기준이 잇따라 상향되고 있다. 실제로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내년부터 SAF 사용을 의무화하기로 했고, 싱가포르도 2026년부터 싱가포르에서 출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대해 SAF를 섞어 쓰도록 했다. 다만 SAF가 기존 항공유보다 생산 단가가 높은 데다 공급망을 비롯한 기반 시설에 대한 투자를 병행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인도 사업장이 있는 안드라프라데시주의 홍수 피해 복구를 지원한다. 인도 주총리 구호기금(Chief Minister's Relief Fund, 이하 CMRF)에 기부금을 전달했다. 현지 지원 활동의 반경을 넓히면서 주당국과도 파트너십을 공고히 한다. LG화학 인도 법인인 'LG폴리머스인디아'는 최근 CMRF에 2000만 루피(약 3억원)를 기부했다. 기부금은 안드라프라데시 주정부의 홍수 피해 지원에 쓰인다. 안드라프라데시주를 비롯한 인도 남부 지역은 최근 몬순(우기)에 따른 폭우로 큰 피해를 입었다. 주택들이 붕괴하고 도로와 철도 등이 유실됐다. 안드라프라데시주 상업도시인 비자야와다는 도시 40%가 물에 잠겼다. 시를 관통하는 부다메루 강이 범람해서다. 안드라프라데시 주당국은 지난 3일 "폭우와 홍수로 주민 644만 명이 피해를 입었고, 4만2700여 명의 주민들은 193개 이재민 캠프에서 생활하고 있다"고 밝혔었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현지 진출 기업으로 피해 지원에 적극 나섰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지난 1996년 12월 LG화학의 인도 폴리스타이렌(PS) 수지 제조사 '힌두스탄 폴리머'를 인수하며 설립된 회사다. 2020
[더구루=오소영 기자] 롯데케미칼이 인도네시아 석유화학단지 '라인 프로젝트'의 완공을 앞두며 현지 정계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로산 루슬라니(Rosan Roeslani) 신임 투자부 장관 겸 투자조정청장이 부임 직후 라인 프로젝트 건설 현장을 찾았다. 현재 공정률은 98%를 넘겨 내년 3월부터 생산에 돌입해 5월부터 생산물 일부를 수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13일 인도네시아 투자조정청(BKPM)과 업계에 따르면 루슬라니 장관은 지난 11일 오전(현지시간) 찔레곤 라인 프로젝트 건설 현장을 방문했다. 임동희 LC인도네시아 대표이사(전무)의 안내를 받아 현황을 점검했다. 현재 공정률은 98.6%다. 루슬라니 장관은 현장을 둘러본 직후 롯데케미칼과 지방 정부에 감사를 표하며 "(내년) 3월부터 생산, 5월부터 수출이 시작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롯데케미칼은 앞서 내년 상반기 기계적 준공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라인 프로젝트의 경제적 효과도 부각됐다. 루슬라니 장관은 "이 산업은 인도네시아 다운스트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회사(롯데케미칼)는 1만4000명의 근로자를 흡수할 수 있으며 전체 인력의 4%만이 한국에서 왔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인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에너지가 중국 '해신에너지(Haixin Energy·중국명 海新能科)'로부터 바이오디젤을 대량 공급받는다. 안정적인 친환경 연료 공급망을 구축해 탈탄소 행보를 가속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2일 해신에너지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달 SK에너지를 포함해 비유럽권 기업으로부터 1만 톤(t) 규모의 탄화수소 기반 바이오디젤 주문을 확보했다. 납품할 구체적인 물량과 계약 조건 등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물량이 SK에너지에 할당된다. SK에너지와 해신에너지는 계약을 체결하기에 앞서 같은 달 베이징에서 회동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양측은 바이오 연료 등 친환경 에너지 분야에서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했다. 각 사의 공급망과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해 시장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기술 혁신은 물론 새로운 사업 기회 공동 개발 등을 추진하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바이오디젤은 친환경 신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차량용 경유의 대체 연료 등으로 쓰인다. 국내에서는 2011년부터 정유사가 생산하는 경유에 바이오 디젤을 의무 혼합하도록 했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국내외에서 차량용 외 선박유와 항공유에도 바이오디젤 혼합 의무화 정책이 확산되는 추세다. SK에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 하이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법인이 베트남 세금 체납 기업 리스트에 오르는 해프닝을 겪었다. 베트남 세무 당국의 착오로 2600만원 상당 세금을 미납했다고 잘못 기재됐다. 11일 베트남 하이퐁시 세무국에 따르면 LG화학 하이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생산법인은 지난 9일(현지시간) 당국이 발표한 세금 체납 기업 명단 올랐다. 체납액은 4억8546만7048동(약 2600만원)다. 하이퐁 세무국은 해당 명단을 발표하며 지난 7월31일까지였던 납부 기한을 지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세금 납부 시작일로부터 90일 이상 지나면서 LG화학도 명단에 포함했다는 주장이지만 현지 확인 결과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미납액이 없는데도 행정 오류로 세무국의 명단에 오른 것이다. 하이퐁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공장은 지난 2018년 설립됐다. LG화학은 이곳에 약 152억원을 투자했다. 약 1년 만에 공사를 완료한 LG화학은 연간 11만 톤(t)의 생산량을 확보했다. 자동차와 오토바이, 가전제품 등에 쓰이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공급하며 한국, 중국, 폴란드 공장과 함께 주요 생산 거점으로 거듭났다. 지난해 매출액은 450억2300만원으로 전년 3
[더구루=오소영 기자] 카타르 에너지부가 세계 최대 요소 수출국으로 거듭난다. 요소 생산시설을 건설해 연간 생산량을 두 배 이상 늘리면서 중국산의 대체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7일 카타르 에너지와 걸프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사드 셰리다 알-카비 카타르 에너지부 장관겸 카타르 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일(현지시간)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2030년 세계 최대 규모의 요소 수출국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카타르 에너지부는 2030년까지 사이드 공업 단지에 요소 생산 트레인 4기를 건설한다. 이를 통해 연간 600만 톤(t)에서 1240만 t으로 106% 늘 전망이다. 알-카비 장관은 "첫 번째 트레인은 2020년대 이전에 생산이 시작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알-카비 장관은 "50년 이상 암모니아와 요소를 생산해왔다"며 "카타르를 세계 최대의 요소 생산국으로 만들고 전 세계 수억 명의 식량 안보 보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전례없는 대규모 프로젝트를 통해 경험을 확장하고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고 밝혔다. 카타르가 요소 생산을 확대하며 중국을 대체할지 주목된다. 중국은 시진핑 국가주석의 '식량 안보' 확보 전략에 따라 요소 수출 제재를 반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가스공사가 투자한 'LNG 캐나다'가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 키티맷에 액화플랜트 가동을 목전에 뒀다. 첫 트레인(기차처럼 일렬로 늘어선 LNG 생산시설)의 시운전에 돌입하며 가스 연소 작업인 플레어링에 착수했다. 내년 상반기 완전 가동하며 국내로 캐나다산 액화천연가스(LNG)를 도입할 것으로 기대된다. LNG 캐나다는 5일(현지시간) "코스탈 가스링크 파이프라인(Coastal GasLink Pipeline)에서 가스를 안전하게 받고 있으며 키티맷 시설에서 저수준 플레어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이어 "수주 안에 눈에 띄는 플레어링을 시작할 예정이다"라고 덧붙였다. 플레어링은 가스를 통제하에 연소시키는 과정을 뜻한다. 통상 석유 시추 과정에서 나온 가스는 인체에 유해한 황화수소 등이 포함돼 대기 오염을 유발하고 일정 농도가 되면 폭발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을 없애고자 사전에 태우는 것이다. LNG 캐나다는 첫 번째 트레인이 시운전을 시작하며 설비 이상시 안전하게 천연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플레어링을 진행했다. 이를 거쳐 내년 초 첫 트레인을 본격 가동한다. 1개월 후 두 번째 트레인까지 완공해서 운전에 나선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부다비 국영 석유회사 애드녹(ADNOC)이 세계 최대 저탄소 수소 시설인 엑슨모빌의 블루 수소-암모니아 프로젝트의 지분을 인수한다. 지분 인수로 탈탄소화를 가속화하며, 저탄소 수소와 암모니아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한다. [유료기사코드] 애드녹은 4일(현지시간) 공식 자료를 내고 석유 대기업 엑슨모빌과 텍사스 베이타운에 있는 블루 수소·암모니아 생산시설 지분 35%를 인수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지분 인수식에는 셰이크 칼레드 빈 무함마드 알나흐얀(Sheikh Khaled bin Mohamed bin Zayed Al Nahyan) 아부다비 왕세자 겸 아부다비 집행위원회 의장이 참석해 서명했다. 엑슨모빌은 내년에 90만톤(t)의 수소(H2)와 100만t의 암모이나(NH3)를 생산할 예정인 이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투자 결정(FID)을 내릴 계획이다. 오는 2029년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다. 애드녹은 최대 3달러/kg 45V 세액 공제를 받기 위해 미국 정부에 블루 수소 프로젝트의 배출량 계산 방법에 대한 느슨한 지침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미국 에너지 생산과 글로벌 에너지 전환에 대한 상당한 투자를 의미한다. 생산시설
[더구루=정예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미국 석유·가스 회사 '멕시코퍼시픽'과 손을 잡았다. 안정적인 액화천연가스(LNG) 공급망을 구축, LNG 트레이딩 사업 기반을 강화해 향후 증가할 수요에 대응한다. 멕시코퍼시픽은 지난 28일(현지시간) 포스코인터내셔널과 LNG 매매계약(SPA)를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향후 20년간 연간 70만 톤(t)의 LNG를 구매할 예정이다. LNG 70만t은 작년 국내 LNG 소비량(3710만t)의 50분의 1 수준으로 규모가 크지는 않다. 다만 포스코인터내셔널이 현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해 북미산 LNG를 들여온다는 데 의미가 있다. 수출항에서 계약 물품을 인도·인수하는 선적지 거래 조건인 본선인도조건(FOB)으로 거래가 이뤄진다. 양사는 초기 상업적 파트너십을 확장하기 위해 추가 협력 방안도 검토한다. 정확한 수입 개시 시점은 알려지지 않았다. 멕시코퍼시픽이 건설을 추진중인 1500만t 규모 LNG 터미널 '사과로 에네르지아'와 시에라 파드레 파이프라인 최종투자결정(FID)이 완료된 후 확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멕시코퍼시픽은 시에라 파드레 파이프라인을 통해 멕시코 소노라주 푸에르토 리베르타드에 위치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GS칼텍스가 쉐브론이 호주에서 추진하는 해상 이산화탄소 저장소 탐사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친환경 바람을 타고 거세지고 있는 탈탄소화 움직임에 발 맞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다. 26일 GS칼텍스에 따르면 회사는 쉐브론과 호주 최대 석유개발업체 '우드사이드'가 공동으로 진행하는 이산화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 지분 5%를 양도 받는다. 쉐브론이 가진 지분 70% 중 5%를 GS칼텍스에 넘기고, 우드사이드는 30%를 보유한다. GS칼텍스는 이후 양도 승인 등 기타 절차를 통해 최종적으로 지분을 확보하게 된다. 쉐브론에 직접적으로 지분 가치 만큼 금전적인 보상을 지급하는 것이 아니라, 향후 진행될 탐사 활동에 참여하는 대신 지분에 대한 권리를 얻는다. 프로젝트 초기 단계인 만큼 GS칼텍스가 구체적으로 어떤 활동을 수행할지 등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추후 양사 간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쉐브론과 우드사이드는 서부 호주 해상 북부 카나번 분지에 위치한 G-18-광구를 활용해 CCS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G-18-광구는 쉐브론이 운영하는 휘트스톤 천연가스 시설이 있는 서호주 온슬로 인근에 위치한다. 면적은 약 8467제곱킬로미터(k
[더구루=홍성일 기자]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선(PeQW)을 활용한 새로운 섬유 LED(Fi-LED) 제조 기술이 공개됐다. 안정적으로 섬유 LED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의 출현으로 패션의 새로운 변화가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홍콩과학기술대학교(HKUST) 공과대학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선을 기반으로 한 풀컬러 광섬유 발광 다이오드'라는 제목의 논문을 과학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스드'에 게재했다. HKUST 연구팀은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를 방출하는 광전자 특성이 우수한 금속 할로겐화물 페로브스카이트(MHP)를 기반으로 섬유 LED를 제작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광전자 특성이 뛰어난 MHP는 섬유 LED 등 차세대 LED 개발에 유망 재료로 뽑혀왔다. 하지만 MHP 기반 섬유 LED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중력과 표면 장력에 의한 불균일한 코팅, 낮음 품질의 결정화, 복잡한 전극 증착 고정 등 문제에 직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HKUST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얇은 알루미늄 섬유 위에 다공성 알루미나 멤브레인(PAM) 템플릿을 사용하는 새로운 접근법을 채택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균일한 박막 구조를 형성하는 데 성공했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지오센트릭이 캐나다 포장재 기업 '윈팩(Winpak)'에 재활용 플라스틱 원료 공급을 추진한다. 내년 세계 최초 플라스틱 재활용 종합단지 '울산 ARC(Advanced Recycling Cluster)' 가동을 앞두고 고객사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23일 윈팩에 따르면 SK지오센트릭과 윈팩은 최근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활용한 플라스틱 원료 공급 파트너십을 구축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기술적·상업적 협력 실행 가능성과 소재 공급을 위한 다양한 옵션을 검토한 뒤 구속력 있는 계약을 맺는다는 방침이다. 최종적으로 공급 계약 체결시 SK지오센트릭은 윈팩에 울산ARC에서 열분해유를 원료로 만들어진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을 납품하게 될 전망이다. 열분해유는 폐비닐 등 주로 매립·소각되던 폐플라스틱 쓰레기를 녹여 추출한 기름이다. 일련의 후처리 공정을 거친 후엔 원유에서 추출한 화학제품과 동일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윈팩은 1997년 설립된 포장제조·포장기계 판매 업체다. 식품, 음료, 의약품, 의료·개인 관리 용품을 보호하는 데 사용되는 고품질 포장재를 전문으로 한다. 캐나다 매니토바 위티펙
[더구루=오소영 기자]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너도나도 베트남에 투자하고 있다. 미국 반도체 설계 업체(팹리스)인 마벨을 비롯해 차량용 반도체·후공정 업체들이 베트남에 둥지를 텄다. 저임금으로 우수한 인력을 확보할 수 있고 미·중 갈등의 리스크도 없어 반도체 생산 허브로 떠오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닛케이아시아와 아시아타임스 등 외신에 따르면 마벨은 베트남을 미국과 인도 다음으로 큰 칩 설계 거점으로 키운다. 호찌민 거점과 함께 새로 설립되는 다낭 반도체 설계 센터를 통해 2026년까지 현지 직원을 약 500명으로 늘린다. 현재 직원은 약 400명으로 대부분 20~30대의 젊은 인재다. 세계 3대 전자설계자동화(EDA) 툴 업체인 미국 시놉시스도 호찌민과 다낭에 진출해 500명이 넘는 직원을 뒀다. 베트남 팀은 지난해 인텔과 협력해 UCle 솔루션 개발에 큰 역할을 했다. 베트남 국가혁신센터(NIC)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해 반도체 설계 산업 육성도 지원하고 있다. 시놉시스의 경쟁사인 케이던스 또한 지난해 NIC와의 파트너십을 토대로 칩 설계 산업 혁신을 가속화한다고 밝혔다. 베트남 교육기관과 스타트업 등에 케이던스의 툴을 제공한다. 미국 사바
[더구루=홍성일 기자] e-모빌리티와 공유 서비스가 결합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가 미국에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다만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안전사고에 대한 우려도 늘어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글로벌 조사기관 마켓 앤 마켓(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미국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은 2022년 34억 달러(약 4조5770억원)에서 2027년 61억 달러(약 8조2120억원)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공유 서비스와 결합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경제성과 편리성을 앞세워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국에서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시장이 주목받는 원인에는 고물가와 대중교통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과정에서 야외에서 혼자 이동할 수 있어 감염의 위험성이 낮다는 것도 시장 성장의 원동력이 됐다. 관련 기업들도 빠르게 이용자 층을 확대하고 있다. 미국 공유형 마이크로 모빌리티 기업인 리프트는 2019년부터 시카고에서 디비 바이크(Divvy Bike)라는 공유형 전기 자전거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디비 바이크는 기본요금 1달러에 1분당 0.44달러의 추가 요금이 부과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