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가 유럽연합(EU) 배터리 규제인 '배터리 패스포트(Battery Passport, BP)' 실증에 착수했다. 오는 2027년 정책 시행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배터리 관리 역량과 서비스 경쟁력을 입증,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전략적 우위에 선다는 방침이다. ◇완성차 업계 최초 '배터리 패스포트' 실증 13일 기아 유럽법인에 따르면 기아는 국내에서 수출한 전기차 EV3에 영국 '두코시(Dukosi)'의 배터리셀 모니터링 시스템을 장착해 독일에서 '배터리 패스포트' 실증을 진행 중이다. 배터리셀 단위로 배터리 패스포트 실증에 나선 것은 완성차 업계 가운데 기아가 처음이다. 배터리 패스포트는 EU가 오는 2027년 2월부터 시행할 예정인 제도로, △배터리의 성능과 상태 △원재료 조달 국가△재활용률 △생산 이력 등 배터리 정보를 디지털화해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통해 배터리 공급망의 투명성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다. 배터리에 부착된 QR코드를 통해 사업자와 자동차 소유자, 정비사 등 이해관계자가 배터리 정보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배터리 상태와 품질 정보는 중고차 거래와 재활용 과정에서도 활용된다. 실증에 투입된 EV3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이 지난달 중국에서 약 600건의 특허를 확보, 글로벌 핵심 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계열사별 독자적 연구성과는 물론 현대자동차그룹, 덕산네오룩스 등 주요 파트너사와의 공동 특허가 대거 포함돼 협업 기반의 혁신이 구체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 1일 중국 국가지적재산권국(CNIPA)에 따르면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메디슨은 9월 총 586건의 특허를 승인받았다. 전년 동기(737건) 대비 약 20.5% 감소한 수치다. 승인 절차는 9일에 걸쳐 진행됐다. 계열사별로는 △삼성전자(241건) △삼성디스플레이(184건) △삼성SDI(138건) △삼성전기(22건) △삼성메디슨(1건) 순이다. 하루 평균 약 65건의 특허가 허가된 셈이다. 삼성SDI와 현대자동차·기아는 '예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전지 제조 방법(특허번호 CN120728000A)'을 공동으로 승인받았다. 단위 전지를 소정 온도로 예열한 뒤 온간 등압 성형(WIP) 공정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대량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인 기술이다. 삼성과 현대차그룹의 전고체 배터리 협력은 지난 2020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의 회
[더구루=김은비 기자] 송호성 기아 사장이 베트남 합작 파트너사 타코(THACO)를 방문, 양사 협력을 공고히 하기로 했다. 기아는 베트남을 동남아 핵심 거점으로 삼고 현지 맞춤형 신차 투입을 통해 브랜드 입지를 한층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송 기아 사장을 비롯한 기아 관계자는 베트남 호찌민시 타코오토(THACO AUTO) 본사를 방문, 쩐바즈엉(Trần Bá Dương) 타코오토 회장을 만나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송 사장은 “베트남은 기아의 아시아 사업 전략 시장”이라며 “현지 맞춤형 차량을 통해 다양한 고객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송 사장은 호찌민시에 위치한 기아 빈떤(Bình Tân) 전시장을 찾아 3S(판매·서비스·부품) 표준에 부합하는 최신 시설과 서비스 품질도 직접 점검했다. 베트남 최대 자동차 제조사인 타코오토는 기아를 비롯해 마쯔다, 푸조, BMW 조립·판매업체로 전국 약 400개 쇼룸을 운영하고 있다. 타코오토는 지난 2001년 기아 트럭 조립을 시작으로 2007년 합작공장을 설립, △K3 △셀토스 △소넷 △카니발 등을 생산하고 있다. 기아는 타코오토와 협력을 강화, 현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가 이집트 현지 생산 파트너와 손잡고 '메이드 인 이집트' 전략을 본격 추진한다. 현대차에 이어 기아까지 직접 생산 체제를 잇따라 구축하면서 아프리카·중동을 겨냥한 현대자동차그룹의 시장 공략이 한층 속도를 낼 전망이다. 22일 기아 이집트대리점에 따르면 최근 현지 총판 'EIT(Egyptian International Trading & Agencies)'와 반조립(CKD) 방식의 현지 생산 프로젝트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초기 투자 규모는 5억 이집트 파운드(약 145억원) 이상이며, 단계별 생산 확대를 목표로 한다. 투자는 2단계로 나뉜다. 1단계에서는 외부 공장을 활용해 생산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1종을 내년 4분기 현지 출시한다. 2단계에서는 2026~2027년 내 자체 공장을 완공해 기아 전용 생산 라인으로 전환, 생산 품목과 물량을 확대한다. 현지 부품 조달 확대, 인력 교육, 품질 관리 시스템 구축도 순차적으로 진행한다. 기아가 이집트에서 현지 생산을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기아는 EIT와 협력을 기반으로 완성차 수입 중심의 사업 구조를 유지해오다 쏘렌토 등 일부 모델을 현지에서 조립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현지 생산 전기차(EV) 모델 ‘일렉시오(Elexio)’를 호주 시장에 투입한다. 호주 정부로 부터 형식 승인 절차를 완료, 현지 판매 초읽기에 들어갔다. 기아가 중국산 EV5를 통해 호주 전기차 시장에서 성과를 거둔 만큼 현대차 역시 일렉시오를 내세워 현지 전기차 시장 확대를 노리고 있다. 18일 호주 인프라·교통부에 따르면 베이징현대 일렉시오는 연방정부 자동차 형식승인 제도(RVS)를 통과, 판매 승인을 받았다. 현지 출시 시점은 내년 2분기로 예상된다. 일렉시오는 현대차 중국 합작 파트너사 베이징자동차(BAIC)그룹과 공동 개발한 '현지 생산 1호' 전기 SUV다. 투싼과 유사한 차체 크기를 갖췄으며, 현대차 전용 플랫폼 E-GMP 기반 전륜구동 모델로 800V 아키텍처를 탑재했다. 중국 내수용은 BYD 계열사 핀드림스(FinDream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적용하고 있으며, 수출용의 경우 삼원계(NCM) 배터리가 적용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일렉시오 호주 투입은 현지 전기차 시장 확대하기 위한 승부수로 풀이된다. 기아는 지난 상반기 EV5 판매 호조(2765대)에 힘입어 호주 전기차 시장 점유율 9.3%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베트남 시장에서 부진을 겪고 있다. 지난달 판매량이 1500여 대에 그치며 전년 동월 대비 30% 넘게 감소했다. 기아는 최근 출시한 신형 쏘렌토와 뉴 모닝 등 신차 효과로 반등을 노린다. 16일 베트남자동차제조업협회(VAMA)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달 베트남 시장에서 1561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2247대) 대비 31% 급감한 수치다. 점유율도 7.2%에 그쳤다. 올해 8월 말 누적 판매량은 1만5980대로 집계됐다. 이 역시 전년 동기(1만8933대) 대비 16% 감소했다. 특히 올해 전체 베트남 시장이 전년 대비 17% 증가한 것을 감안하면 기아의 판매 감소는 더욱 두드러진다. 지난달 베트남 시장 1위는 토요타로, 5171대(점유율 23.8%) 판매했다. 현대차와 포드는 각각 3601대(16.6%)와 3546대(16.4%)를 판매, '톱3'에 이름을 올렸다. 이어 △혼다(2275대, 10.5%) △미쓰비시(2180대, 10.1%) △마쓰다(1977대, 9.1%) △이스즈(1061대, 4.9%) △스즈키(626대, 2.9%) △히노(275대, 1.3%) 순으로 이어졌다. 업계는 기아 부진의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 정부 상품·서비스세(GST) 개편에 '수혜자'로 떠오르고 있다. 현대차·기아는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에 대한 신규 수요를 힘입어 인도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 정부는 최근 GST 개편을 발표하고 오는 22일 부터 자동차·가전 등 주요 내구재에 대해 기존 28%에 달하는 세금을 18%로 인하한다. 이와 관련, 타룬 가르그(Tarun Garg) 현대차 인도법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인도 정부 GST 개편은 지난 20년간 가장 큰 폭의 세제 인하로 인도 자동차 시장 판도를 바꿀 것”이라며 “특히 소형 SUV가 가장 큰 혜택을 보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대차는 소형 SUV ‘베뉴(Venue)’와 ‘엑스터(Exter)’를, 기아는 ‘소넷(Sonet)’을 전면에 내세우며 판매 확대에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인도자동차딜러연합회(FADA)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현대차 ‘베뉴(Venue)’는 인도 소형 SUV 시장에서 8054대를 판매, 5위(점유율 9.3%)에 올랐다. 기아 소넷은 7627대를 기록, 6위(8.8%)에, 엑스터의 경우 5075대를 판매, 8위(5.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8월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시장에서 동반 하락했다. 독일 내 SUV 경쟁이 심화되면서 주춤했다. 12일 독일연방자동차청(KBA)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독일 시장에서 7385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9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7.2% 감소한 수치다. 점유율은 3.6%로 집계됐다. 기아는 지난달 4822대를 판매, 12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11.5% 감소한 수치다. 점유율은 2.3%를 기록했다. 양사 지난달 합산 판매량은 1만2207대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9.4% 감소한 수치다. 1위는 폭스바겐으로 3만7467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18.1%를 기록했다. 2·3위는 메르세데스-벤츠와 BMW가 차지했다. 각각 1만9148대(9.2%), 1만8605대(9.0%)를 판매했다. 이어 △아우디(1만5344대,7.4%) △스코다(1만4472대, 7.0%) △세아트(1만2725대, 6.1%) △오펠(1만940대, 5.3%) △포드(9310대, 4.5%) △토요타(6354대, 3.1%) 순으로 이어졌다. 현대차·기아 부진은 독일 내 SUV와 전동화 모델 경쟁 심화에 따른 것으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올해 칠레 자동차 시장에서 고속 질주를 이어가고 있다. 올들어 8월까지 2만대에 육박하는 판매 실적을 거두며 브랜드 순위 '넘버1'에 올랐다. 기아는 연내 전동화 라인업을 확대, 시장 점유율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10일 칠레자동차협회(ANAC)에 따르면 기아는 올들어 8월까지 누적 1만9627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1만7225대) 대비 13.9% 증가한 수치다. 점유율은 10.9%로 집계됐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1만5149대를 판매하며 4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1만3912대) 대비 8.9% 증가한 수치다. 점유율은 8.2%를 기록했다. 2위는 토요타로 1만7031대(9.4%) 판매량을 기록했다. 쉐보레는 1만6852대(9.3%)를 판매, 3위에 올랐다. 이어서 △스즈키(1만4805대, 8.0%) △푸조(1만2685대, 7.0%) △닛산(1만1547대, 6.4%) △MG(1만1206대, 6.2%) △폭스바겐(9008대, 5.0%) △포드(8456대, 4.7%) 순으로 이어졌다. 기아 판매량은 스포티지, 셀토스, 쏘넷 등 SUV 라인업이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소형 상용차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유럽 전기차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차세대 전략형 전기 SUV ‘EV5’의 유럽 출시 일정을 당초 계획보다 3개월 앞당긴다. 9월 부터 주문을 받아 오는 11월부터 고객에게 인도할 예정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EV5 유럽 판매 일정을 9월로 앞당기고, 오는 11월 중순부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EV5는 당초 내년 초로 출시 가 예정된 바 있다. EV5는 현대차그룹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400V 버전)를 기반으로 한 준중형 전기 SUV다. 81.4킬로와트시(kWh) 배터리팩과 160킬로와트(218마력) 전기모터를 탑재, 유럽 WLTP 기준 최대 530km 주행이 가능하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8.4초 만에 도달, 최고속도는 시속 165km다. 최대 1200kg의 트레일러를 견인할 수 있는 능력도 갖췄다. 판매 가격은 △에어(Air) 4만5990유로(6900만 원) △어스(Earth) 4만8990유로(7350만 원) △GT-라인(GT-Line) 5만1990유로(7800만 원) △GT-라인 론치 에디션(Launch Edition) 5만2990유로(7950만 원)부터다. 기아가 EV5를 조기 투입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호주 자동차 시장에서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양사 8월 누적 판매 기준 나란히 ‘톱5’에 올랐다. 현대차·기아는 향후 다양한 신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전기차(EV)를 선보이며 판매를 지속 확대해나간다는 방침이다. 10일 호주연방자동차산업협회(FCAI)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올 들어 8월까지 합산 10만7511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동기(10만3137대) 대비 4.2% 증가한 수준이다. 누적 점유율 역시 전년 12.4%에서 13.2%로 0.8% 포인트 확대됐다. 선두 업체인 토요타와 마쓰다와 포드가 1~3% 포인트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홀로 약진한 셈이다. 단일 브랜드 기준으로 현대차는 올들어 8월까지 호주 시장에서 5만1957대를 판매, 브랜드 순위 5위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4만8314대)보다 16.3% 증가한 수치다. 지난달에는 6322대를 판매, 5위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6.3%로 집계됐다. 기아는 올해 누적 5만5554대를 판매, 4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동기(5만4823대) 대비 1.3% 늘어난 수치다. 지난달 기준으로는 7402대를 판매, 3위에 올랐다. 점유율은 7.4%를 기
[더구루=김은비 기자] 기아가 중국 자동차 시장에서 6개월 연속 월간 판매 2만대 이상 판매하는 등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 들어 누적 판매 역시 16만대를 돌파, 반등하고 있다. 10일 기아에 따르면 중국 합작법인 위에다기아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2만974대를 판매했다. 6개월 연속 2만대 이상을 달성했다. 올 들어 8월까지 누적 판매는 16만5036대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했다. 8월 누적 생산은 전년 동기 대비 9.5% 상승한 16만3270대, 엔진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1.6% 증가한 8만3719대로 집계됐다. 업계는 기아가 중국 시장에서 약진하는 배경으로 MPV·SUV 라인업 강화와 옌천공장 성장 가시화를 꼽는다. 최근 출시한 2026년형 카니발은 글로벌 베스트셀링 MPV로서 3열 공간, 안전·편의 사양, 안정적인 주행 성능을 앞세워 패밀리카와 비즈니스 수요를 동시에 흡수하고 있다. 특히 수출 부문이 높은 성장세를 보여 옌청 공장은 중국 내수와 글로벌 수출 핵심 기지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실제로 2018년 이후 누적 47만7000대 이상을 수출했으며 호주·멕시코·사우디 등 89개국으로 공급망을 확대하며 위에다기아의 안정적인 성장 동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가 한국과 태국, 베트남산 태양전지 봉지재(Encapsulan)에 대한 반덤핑 관세 조사에 돌입했다. 중국과 베트남산 태양광 유리에 반덤핑 부과를 결정한지 약 1년 만이다. 자국 태양광 제조업을 키우며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샤오미의 차세대 플래그십 스마트폰 '샤오미 17 울트라'가 위성통신 기능을 탑재한다. 샤오미는 통신망이 없는 곳에서도 통화와 메시지가 가능한 기능을 탑재해 화웨이, 애플 등과 경쟁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