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인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가 공모가를 낮춰 잡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등장하면서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진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오는 8일(현지시간) 나스닥 상장을 앞두고 공모가 범위를 기존 10~11달러에서 8~9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기업가치 목표가 550억 달러(약 65조원)에서 420억 달러(약 49억원)로 하락했다. 이에 대해 누뱅크 측은 "현재 금융 시장 상황에 잘 부합하도록 공모가 범위를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시장에서는 미국채 금리 상승에 따른 기술주의 매도세가 커진 데다 새로운 변종 바이러스인 오미크론이 확산하면서 공모가 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900억원)
[더구루=홍성환 기자]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미국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잇따라 핀테크 기업 인수에 나서며 몸값을 높이고 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핀테크 스타트업 올리비아(Olivia)를 인수했다. 누뱅크는 당국 승인을 거쳐 자사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올리비아의 플랫폼과 서비스를 통합할 예정이다. 올리비아는 2016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한 핀테크 스타트업이다. 인공지능(AI)와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금융 솔루션을 서비스하고 있다. 지난 2019년 브라질에 진출했다. 누뱅크는 최근 2년새 올리비아를 비롯해 △플라타포매텍 △코그나이텍트 △이지엔베스트 △스핀페이 △훈토 등 6개 핀테크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본보 2021년 9월 3일자 참고 : 누뱅크, 즉시결제 스타트업 인수…美IPO 앞두고 몸값 높이기> 누뱅크는 2013년 5월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미국 증시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기업가치가 60조원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블룸버그는 1일(현지시간) "버크셔헤서웨이가 지원하는 누뱅크는 IPO에서 최대 506억 달러(약 59조7400억원)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누뱅크는 이번주 초 주당 10~11달러로 최소 2억8900만 주의 신주를 발행하는 내용의 상장 계획서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했다. 조달 목표가 30억 달러(약 3조5400억원)에 이른다. 이는 국내 전자상거래 기업 쿠팡과 중국 차량공유기업 디디추싱에 이어 올해 미국 증시 IPO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규모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900억원)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35조4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즉시결제 스타트업을 인수했다. 미국 증시의 기업공개(IPO)를 앞두고 신사업을 추가해 몸값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전자상거래 전용 즉시결제 플랫폼 업체인 스핀페이(Spin Pay)를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 가격은 공개하지 않았다. 스핀페이는 브라질 중앙은행이 지난해 11월 내놓은 'PIX' 시스템을 기반으로 QR코드나 전화번호, 이메일 등 정보를 사용해 일정 한도 내에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현재 백화점, 항공사 등 220여개 소매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780억원)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35조7040억원)로 평가받았다. 누뱅크는 최근 모건스탠리와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전문은행 누뱅크(Nubank)가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한다.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최근 모건스탠리와 골드만삭스, 씨티그룹 등을 주관사로 선정하고 기업공개(IPO) 작업을 본격화했다. 이르면 올해 말 늦어도 내년 1분기 나스닥에 상장할 방침으로, IPO를 통해 20억 달러(2조3550억원)를 조달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한 인터넷은행이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브라질 최대 인터넷은행으로 성장했다. 브라질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가 지난 6월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880억원)를 투자하며 주목을 받았다. 당시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35조3040억원)로 평가받았다. 상장 후 누뱅크의 기업가치는 400억 달러(약 47조960억원)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로 상장에 성공하면 미국 증시에 상장한 남미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로 기록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투자한 브라질 인터넷 전문은행 누뱅크가 리플 기반 해외 송금 서비스를 도입했다. 리플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글로벌 확장이 속도를 내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누뱅크는 국제 송금 플랫폼 레메사온라인과 해외 송금 서비스 제휴를 맺었다. 레메사온라인은 리플의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리플넷을 기반으로 전 세계 200여개 은행과 결제업체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누뱅크는 2013년 5월에 처음 영업을 시작했다. 현재 4000만명 이상의 고객을 확보한 대형 인터넷 전문은행으로 성장했다. 상파울루시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독일 베를린과 멕시코 멕시코시티에서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는 지난달 이 회사에 5억 달러(약 5700억원)를 투자했다. 누뱅크는 현재 미국 증시 상장을 추진 중이다. 기업가치는 300억 달러로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상장하면 남미 기업 가운데 최대 규모 미국 증시 상장으로 기록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건설사 플루어(Fluor)가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뉴스케일파워(NuScale Power)의 지분 매각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주가 상승에 따라 차익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5일 투자전문매체 모틀리풀에 따르면 플루어는 뉴스케일파워 클래스B 주식 1500만주를 클래스A 주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전환된 클래스A 주식은 30일간 보호예수가 적용된다. 이후 내년 12월 31일까지 주식 매매 또는 기타 양도는 클래스A 주식 일일 거래량의 5% 이하로 제한된다. 플루어는 뉴스케일파워 지분 약 44%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이에 대해 모틀리풀은 "플루어는 뉴스케일파워의 주식 가치 상승으로 2분기 32억 달러(약 4조4400억원)에 달하는 시가평가(mark-to-market·매입가 대신에 현재 시가로 자산의 가치를 조정하는 회계 관행) 이익을 기록했지만, 이 회사의 주가 등락은 실적 변동성을 심화시키고 있다"면서 "이로 인해 플루어 경영진은 뉴스케일파워의 실적 변동성을 추적하면서 반복적으로 공정가치를 측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플루어는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클래스B 주
[더구루=김명은 기자] 영국 담배회사 브리티시아메리칸토바코(BAT)가 글로벌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었다. 공급망과 인공지능(AI) 기술 혁신을 추진하기 위해서다. 변화하는 시장 환경과 규제 속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고, 기업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유료기사코드] BAT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액센츄어와 글로벌 전략적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BAT의 글로벌 비즈니스 솔루션과 공급망 운영을 혁신해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겠다는 목적이다. 액센츄어의 데이터 분석과 AI 기술을 활용해 운영 효율성과 유연성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액센츄어는 단순히 정보통신(IT)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넘어 기업의 비즈니스 목표에 맞춰 최신 기술을 어떻게 도입하고 활용해야 할지 전략을 세워준다. 가령, 기업의 데이터를 분석해 AI 기반의 고객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를 통해 반복적인 업무를 줄여주는 식으로 실질적인 기술 솔루션을 제공한다. 액센츄어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성공하려면 직원들의 역량 개발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