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최영희 기자]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 디뱅크(Debank)가 2500만 달러를 모금하는 데 성공했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디뱅크는 2억 달러의 가치 평가로 2500만 달러를 모금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는 세쿼이아 차이나, 드래곤플라이캐피탈, 해시글로벌, 유비 등이 참여했다. 특히 코인베이스 벤처스, 크립토닷컴, 써클 등은 전략적 투자자로 동참했다. 디뱅크는 "이번 자금 조달로 Zerion 및 Zapper와 같은 시장의 다른 경쟁자들과 보조를 맞추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Zerion과 Zapper는 시리즈 A 라운드를 820만 달러와 1500만 달러로 마감한 바 있으며, 비트코인 브로커 NYDIG 는 이달 초 70억 달러 가치로 10억 달러 를 조달했고, FTX 거래소는 7월과 10 두 차례에 걸쳐 13억2000만 달러를 받은 후 250억 달러로 평가됐다.
[더구루=최영희 기자] 미국 가상자산(가상화폐, 암호화폐) 전문 자산운용사 발키리 인베스트먼트가 1억 달러를 투자한 분산형 금융( DeFi ) 펀드를 다음 주에 출시한다고 16일 밝혔다. 발키리는 1억 달러는 기존 발키리 투자자들로부터 나왔고 회사의 일반 파트너들도 모두 이 펀드에 직접 투자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발키리의 디파이 관리 이사인 Wes Cowan은 이달 22일에 발키리 '온체인디파이(On-Chain DeFi) 펀드'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한편, 발키리는 최근 SEC로부터 비트코인 선물 레버리지 ETF 상장 심사 철회 요구를 받았다. 발키리는 가상자산의 변동 위험성을 고려해 통상 2~3배인 레버리지 배수를 1.25배로 낮췄지만 이 역시 미 금융당국의 장벽을 넘지 못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아이온큐'로 꼽히는 양자컴퓨터 기업 인플렉션(Infleqtion)이 미국 증시 상장에 시동을 걸었다. 자본력을 강화해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인플렉션은 9일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처칠캐피털과 합병 계약을 맺었다. 인플렉션은 기업공개(IPO)에서 기업 가치 18억 달러(약 2조5000억원)로, 5억4000만 달러(약 7500억원)를 조달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구체적인 공모 일정은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현재 처칠캐피탈 신탁 계좌에 보유된 현금은 4억1600만 달러(약 5800억원) 수준으로, 나머지 1억2500만 달러(약 1700억원)를 충분히 조달할 것으로 회사 측은 보고 있다. 맷 킨셀라 인플렉션 공동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연구·개발(R&D)에서 상용화로 이어지는 여정에서 중요한 변곡점에 도달했으며 증시 상장 도전은 회사의 놀라운 성과를 입증하는 것"이라며 "상용화를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인플렉션은 2000년 설립된 양자컴퓨터 기업이다. 중성원자 방식 양자컴퓨터를 개발 중이다. 이 컴퓨터는 레이저를 이용해 개별 중성원자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와 폭스바겐 그룹 배터리 자회사 파워코(PowerCo)가 전기 모터사이클에 탑재된 전고체 배터리를 세계 최초로 공개했다. 연구실 단계를 넘어 실제 차량 구동에 성공한 첫 사례로, 에너지 밀도·충전 속도·안전성·수명·비용 등 핵심 지표에서 차세대 배터리 기술의 가능성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최근 독일 뮌헨에서 열린 '국제 모빌리티 박람회(IAA Mobility)'에서 전기 모터사이클 ‘두카티 V21L 레이스’에 장착된 전고체 배터리 'QSE-5'를 시연했다. 모터사이클에 전고체 배터리를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QSE-5는 퀀텀스케이프 ‘코브라(Cobra)’ 생산 공정을 통해 제작된 전극 분리막 기반 전고체 배터리다. 844Wh/L의 에너지 밀도를 구현했으며, 10%에서 80%까지 충전을 12분 만에 완료할 수 있다. 또 10C 연속 방전 성능을 갖춰 트랙 주행과 같은 고출력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유지한다. 특히 이 배터리 시스템은 아우디와 파워코가 QS 셀 특성에 맞춰 새롭게 설계했으며 최대 980개의 QSE-5 셀을 수용할 수 있다. 특히 Q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