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타트업 바빌론헬스(Babylon Health)가 영국 최대 건강보험사 가운데 하나인 부파와 파트너십을 연장했다. 비대면 의료 서비스가 빠르게 활성화하는 가운데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부파의 건강보험 고객에게 바빌론헬스의 디지털 건강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트너십을 3년 연장하기로 했다. 양사는 지난 2015년 처음 파트너십을 체결한 이후 10년간 협업 관계를 유지하게 됐다. 부파 고객은 현재까지 바발론헬스 앱을 36만회 이상 내려받았다. 지난 2013년 설립된 바빌론헬스는 인공지능(AI)·머신러닝 기술을 임상 전문가의 능력과 접목해 디지털 장치를 통해 언제 어디서나 사람들이 의료 및 건강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을 펼치는 기업이다. 바빌론헬스는 영국을 비롯해 북미, 동남아시아, 르완다 등의 지역에서 2400만명에 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용자의 90% 이상이 별 5개 평점을 주고 95% 이상의 사용자 유지율을 기록하고 있다. 바빌론을 이용하면 이전보다 35%의 비용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리 파사 바빌론헬스 최고경영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국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타트업 바빌론헬스(Babylon Health)가 확장 가능한 의료 플랫폼 구축을 위해 구글 클라우드와 손잡았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바빌론헬스는 구글 클라우드와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환자 관리 분야의 혁신, 확장성 강화 등을 위한 의료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전 세계에서 사업을 펼치고 있는 바빌론헬스는 구글 클라우드와 맺은 파트너십을 계기로 자체 호스팅 방식으로 운영하는 컴퓨팅 클러스터를 대체할 수 있게 됐다. 의료 플랫폼 구축에는 1년가량이 소요될 전망이다. 바빌론헬스는 사업이 커지면서 늘어난 데이터를 현재 시스템을 활용해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컴퓨터 자원 및 시간의 관점에서 사용하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점도 구글 클라우드와 손을 잡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바빌론헬스는 구글 클라우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소화 가능한 데이터의 양이 주당 1TB에서 하루 190TB로 증가 △데이터 접근 대기시간 6개월에서 1주일로 단축 △100개 이상의 데이터 소스 통합·800억개 데이터 포인트에 대한 접근 제공 △작년 기준 10만건 화상 상담의 자동으 전사 통한 작업 시간 절약 등의 효
[더구루=홍성환 기자] 영국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타트업 바빌론헬스(Babylon Health)가 원격진료 사업 강화를 위해 적극적인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바빌론은 수술 전후 환자를 지원하는 의료 관리 플랫폼인 데이투데이 헬스(DayToDay Health)를 인수했다. 구체적인 인수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둔 데이투데이는 개인 관리 팀을 통해 진료·입원·수술 등 환자에게 맞춤형 교육과 커뮤니케이션, 임상 지원 등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이다. 이 회사의 서비스는 재입원율을 4% 미만으로 낮추는데 도움이 되며, 이는 업계 평균인 15%를 크게 밑도는 수치다. 알리 파사 바빌론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가치 기반 의료 서비스를 계속 발전시키고 고객이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데이투데이 인수를 통해 수술 전후 관리 서비스를 추가함으로써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바빌론은 올해 초에도 미국 의료 기술기업 히기 헬스(Higi Health)를 인수하는 등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고 있다. 히기는 건강 키오스크 회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