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원전 승인 절차 18개월로 줄인다" 트럼프, 이르면 오늘 행정명령 서명

트럼프, 에너지 비상사태 선언…AI 전력 수요 대응
국방생산법 발동해 핵연료 공급망 재편도

 

[더구루=진유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르면 23일(현지시간) 원자로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고 핵연료 공급망을 강화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할 예정이다.

 

23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원자력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정명령 서명을 준비 중이다. 핵심 내용은 △새 원자로 승인 절차를 최대 18개월 이내로 단축 △국방생산법 발동을 통한 핵연료 공급망 재편 △에너지부·국방부가 연방 토지·시설을 활용한 원자력 배치 기반 마련·건설 절차 간소화 △원자로 건설 확대를 위한 대출 보증·직접 대출 활성화 등이 담긴다.

 

이날 서명식에는 원자력에너지연구소(NEI), 콘스텔레이션 에너지(Constellation Energy) 등 미국 내 유틸리티·산업계 인사가 초청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언하며, 인공지능(AI) 기반 산업이 이끄는 전력 수요 증가를 '맨해튼 프로젝트 2'에 비유했다.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부 장관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원자폭탄 개발과 같은 수준의 국가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조치는 오는 2050년까지 원전 발전 용량을 400기가와트(GW)로 4배 확대한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장기 계획이다. 미국은 세계 최대 원전 설비 용량을 보유하고 있지만, 실질적 성장세는 중국에 밀리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왔다. 미국이 원전을 사실상 방치한 사이 중국과 러시아가 세계 원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원자력 규제위원회(NRC) 개편과 행정부 권한 강화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현재 5인 패널 중심의 위원회 승인은 비효율적이고 원전 개발을 가로막는 요소로 지적받아왔다.

 

한편, 이번 행정명령에는 AI 데이터 센터를 국가 핵심 인프라로 지정하고, 미군이 차세대 소형 모듈 원자로(SMR)에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도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