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퀘벡 주정부와 미국 리벤트가 캐나다 네마스카 리튬의 실탄 마련을 지원한다. 포스코케미칼과 독일 바스프의 양극재 투자를 고려해 원재료인 리튬 생산을 가속화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퀘벡 당국과 리벤트는 캐나다 리튬 업체 네마스카 리튬에 각각 8000만 달러(약 1030억원)를 투자한다. 네마스카 리튬은 캐나다 퀘벡주 와부치(Whabouchi) 리튬 광산 개발을 목적으로 2007년 설립된 회사다. 리벤트와 퀘벡투자공사(Investissement Québec)가 절반씩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네마스카 리튬은 2014년 타당성 조사를 완료하고 개발에 속도를 내는 분위기였지만 사업 비용이 증가하며 제동이 걸렸다. 프로젝트 비용은 초기 8억7500만 달러(약 1조1350억원)에서 2019년 12억 달러(약 1조5570억원)로 늘었다. 여기에 공급 과잉에 따른 리튬 가격 하락으로 투자금을 조달하지 못하며 경영난이 가중됐다. 결국 네마스카 리튬은 2019년 말 파산 보호를 신청했다. 퀘벡과 리벤트는 네마스카 리튬을 살리는데 매진하고 있다. 포스코케미칼과 바스프 등 배터리 소재 업계의 투자를 도우려면 리튬 광산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SVOLT 에너지 테크놀로지(蜂巢能源科技·이하 SVOLT)와 독일 바스프가 현지 리튬 업체의 지분을 매입했다. 배터리 핵심 원료인 리튬을 확보한다. [유료기사코드] SVOLT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바스프 샨산과 용샨리튬(Yongshan Lithium) 지분 10%를 각각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바스프 샨샨은 바스프가 중국 최대 배터리 소재 회사 닝보 샨샨과 설립한 양극활물질(CAM)·전구체(PCAM) 생산 합작사다. 용샨리튬은 닝보 샨샨의 자회사다. 중국 후난성에서 연간 1만5000t의 수산화리튬과 1만t의 탄산리튬을 생산하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SVOLT와 바스프 샨샨은 지분 인수를 시작으로 향후 용샨리튬과 전략적 파트너십을 모색할 계획이다. 리튬을 안정적으로 수급해 배터리 생산에 차질이 없도록 하겠다는 방침이다. 리튬은 배터리 양극재에 들어가는 핵심 원료로 전기차 판매량이 증가하며 덩달아 몸값이 치솟고 있다. 중국 원자재 시장조사기관 성이서에 따르면 배터리용 탄산리튬 가격은 지난달 22일 t당 49만5000위안으로 1년 사이 약 8배 급등했다. 호주 광산업체 피드몬트 리튬의 키이스 필립스 최고경영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화학사 바스프가 중국 양극재 합작사의 로드맵을 공유한다. 내년까지 증설을 지속해 세계 최대 전기차 수요처인 중국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양제장(杨捷将) 바스프산산 총경리는 오는 21~23일 중국 선전에서 열리는 '2021 하이테크 리튬배터리 연례 회의'(高工锂电年会将)에서 '양극재 산업의 가속화와 상·하류 공급망의 세계화'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한다. 양 총경리는 바스프산산의 사업 현황과 로드맵을 공유할 계획이다. 바스프산산은 후난과 닝샤를 비롯해 4곳에 사업장을 운영하며 1600명이 넘는 직원을 두고 있다. 양극재·전구체,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말까지 연간 16만t의 생산능력을 확보해 중국을 비롯해 아시아 고객사들에 공급할 계획이다. 바스프산산은 바스프와 후난 산산 에너지(Hunana Shanshan Energy·이하 산산)가 51대 49 지분으로 만든 합작사다. 바스프는 지난 5월 합작사 설립을 발표한 후 현지 시장 공략에 매진하고 있다. <본보 2021년 5월 21일 참고 독일 바스프, 中 양극재 합작사 설립> 바스프는 중국 최대 배터리 회사 CATL과도 손을 잡
[더구루=오소영 기자] 독일 바스프가 배터리 재활용 파일럿 시설을 구축한다. 오는 2023년부터 가동하며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 가세한다. 바스프는 지난 1일(현지시간) "독일 브란덴부르크주 슈바르츠하이데(Schwarzheide)의 양극활물질(CAM) 공장 부지에 배터리 재활용 파일럿 시설을 짓겠다"고 밝혔다. 바스프는 시범 공장에서 폐배터리에서 리튬과 니켈, 망간, 코발트 등을 추출해 재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2023년 초부터 가동 예정으로 약 35개 일자리를 창출될 전망이다. 바스프의 투자는 '유럽 공익을 위한 중요한 프로젝트'(IPCEI) 차원에서 이뤄진다. 독일 연방정부와 브란덴부르크주는 1억7500만 유로(약 2350억원)를 지원했다. 바스프는 2030년 탄소중립을 선업하고 배터리 재활용 기술에도 높은 관심을 보여왔다. 작년 3월 니켈 생산 업체인 러시아 노릴스크니켈(노르니켈), 핀란드 에너지 회사 포텀과 리튬이온배터리 재활용 센터 건립에 손을 잡았다. 작년 말 온라인 컨퍼런스를 통해 폐배터리에서 리튬을 회수할 수 있는 파일럿 시설 투자를 언급했었다. 케르스틴 쉬얼레 아른트 바스프 연구 총괄은 "리튬이온 배터리를 재활용하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하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그래픽카드 제조사 'XFX'가 최신 자사 제품에 삼성전자 메모리를 적용했을 때 SK하이닉스 메모리 대비 안정성과 효율에서 우위를 보였다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그래픽카드 완제품 제조사로부터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GPU 메모리 시장에서 입지 확대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8일 XFX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공식 블로그를 통해 삼성전자 GDDR6 메모리를 탑재한 그래픽카드 신제품 '9060XT V3'와 SK하이닉스 GDDR6 칩을 탑재한 이전 세대를 비교한 테스트 결과를 공개했다. GPU와 메모리 온도, 보드 소비전력, 팬 속도 및 소음 등에서 9060XT V3가 뚜렷한 개선 효과를 나타냈다. XFX는 그래픽 성능 측정을 위해 벤치마크 프로그램 ‘퍼마크(FurMark)’ 4K 환경에서 1시간 동안 부하를 가했다. 테스트 결과 삼성 메모리 탑재 제품의 V램(VRAM) 최고 온도는 77도로 SK하이닉스 메모리 버전(87도)보다 10도 줄었다. 보드 전체 소비전력은 삼성 버전이 183와트(W)로, SK하이닉스 버전(207W)보다 24W 낮았다. 팬 속도 역시 1461RPM으로 SK하이닉스 버전(1814RPM)보다 400RPM 가까이 낮아 소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마존의 우주위성통신 서비스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가 1Gbps(기가비피에스)급 인터넷 시연에 성공했다. 이번 시연으로 프로젝트 카이퍼가 스타링크를 추격할 수 있는 기술적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프로젝트 카이퍼팀은 최근 기업용 단말기를 이용한 테스트에서 1.2Gbps 다운로드 속도를 기록했다. 라지브 바디알(Rajeev Badyal) 프로젝트 카이퍼 총괄은 링크드인을 통해 해당 테스트 모습을 공개하고 "우리가 아는 한 저궤도 우주 인터넷에서 1Gbps 이상 속도를 제공하는 최초의 상업용 위성 인터넷 안테나를 개발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라지브 바디알이 공개한 영상에는 인터넷 다운로드·업로드 속도를 측정하는 오클라 스피드테스트(Ookla Speedtest) 홈페이지와 함께 측정 버튼을 누르는 모습이 등장한다. 측정이 시작되자 다운로드 속도가 빠르게 올라가 최대 1290Mbps까지 속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번 테스트는 프로젝트 카이퍼 위성의 배치가 진행되면서 이뤄졌다. 아마존은 지난 4월 28일(현지시간) 처음으로 27대의 위성을 배치했다. 이후 3차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