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두산이 자체 수소연료전지를 적용한 비가시권(BVLOS) 드론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동맹전선을 구축해 상용화를 위한 생태계 기반을 닦는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의 100% 자회사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은 미국 '아이리스 오토메이션(Iris Automation·이하 아이리스)’, '드론 아메리카(Drone America)'와 BVLOS 시스템 강화를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DMI와 아이리스, 드론 아메리카는 각 사의 드론 기술을 통합하고 운영 자원을 공유한다. 상업용 BVLOS 드론 개발을 위한 항공기 플랫폼과 인프라를 테스트하고 평가할 예정이다. 소형 무인항공시스템(UAS) 항공기 시장을 공략한다. DMI는 지난 2019년 세계 최초로 수소드론을 개발·양산한 회사다. 같은 해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가 주관한 섬과 섬 사이 응급 구호 물품 배송 시연에 성공했다. 2020년에는 일체형 수소연료전지 드론(DT30)을 출시, 중국 시안의 딜러인 진준 하이드로젠 링크(Jinjun Hydrogen-Link)에 공급했다. 현재 한국, 미국, 중국에서 제품을 출시했으며 일본, 유럽 등 해외로 영토를 넓힐 계획이다. 특히 두산의 수소
[더구루=정예린 기자] 두산이 드론 상용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충돌 회피 시스템 분야 선도업체와 손잡았다. 세계 최대 드론 시장 미국 내 입지를 다져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 빠르게 선점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의 100% 자회사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DMI)은 미국 '아이리스 오토메이션(Iris Automation·이하 아이리스)'과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DMI의 수소드론 제품군에 아이리스의 '카시아(Casia) 탐지·충돌회피(DAA) 시스템'을 통합한 솔루션을 선보인다. 양사는 새로운 미국 항공기 규제 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전문 서비스 분야에서도 협력키로 했다. 드론 사업은 항공 당국의 인증과 승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비, 사업을 적극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DMI는 아이리스와의 협업을 통해 드론 상용화의 최대 과제 꼽히는 안전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됐다. 아이리스의 카시아 시스템은 장착된 센서를 활용, 스스로 주변의 다른 항공기 등 장애물을 감지한 뒤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사용해 분류한다. 실질적으로 위험이 되는 장애물인지를 지능적으로 판단해 드론이 충돌을 피하도록 경고를 준다. 공동 개발한 솔루션을 통해 고객들은 비가시권(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인공지능(AI) 회사 xAI가 그록(Grok)에 새로운 메모리 기능을 추가했다. 사용자와의 대화 기록을 바탕으로 더 나은 답변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선보였다. 기존 AI 회사들이 하는 서비스를 모방하고 구현하며 추격에 고삐를 죄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xAI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그록의 메모리(Memory) 기능을 선보였다. 이 서비스는 사용자와의 이전 대화에서 학습한 정보를 토대로 보다 정교하고 개인화된 응답을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다. 가령 사용자가 '오늘 운동 루틴을 짜줘'라고 요청하면, 그동안의 기록에 기반한 개인 맞춤형 계획을 받을 수 있다. 필요시 과거 메모리를 삭제하는 것도 가능하다. xAI는 그록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iOS·안드로이드)에서 베타 버전을 제공한다. 유럽연합(EU)과 영국에는 서비스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록이 선보인 메모리 기능은 완전히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오픈AI의 챗GPT와 구글 제미나이 역시 전체 대화 기록을 참고해 맞춤형 답변을 내놓는 기능을 선보인 바 있다. 선도 기업들의 AI 모델에서 볼 수 있었던 기능을 참고하고 이를 발전시켜
[더구루=오소영 기자] 파베우 베이다(Pawel Bejda) 폴란드 국방차관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기술 이전을 현지 방위산업 발전의 중대한 전환점이라고 평가했다. 다연장로켓포 천무용 유도탄 생산과 K9 자주포 현지 제조를 통해 폴란드의 자주국방 역량 강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유료기사코드] 베이다 차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폴란드 국방전문 매체 디펜스24(Defence24)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체결한 K9 자주포와 호마르-K(폴란드형 천무) 계약은 기술 이전을 포함하고 있다"며 "폴란드 산업 역량의 비약적인 성장을 이끄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베이다 차관은 호마르-K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 2022년 호마르-K 290대에 대한 기본 계약을 체결한 후 발사대와 유도탄 생산 기술 이전을 추진해왔다. 이를 위해 최근 WB그룹과 합작사 설립을 위한 텀시트 계약도 체결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51%, WB그룹의 자회사인 WB일렉트로닉스가 49% 비율로 합작사를 세우고 현지에서 사거리 80㎞급 유도탄(CGR-80)을 양산할 계획이다. 베이다 차관은 "작년 4월 체결한 2차 실행 계약에 발사대 제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