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 가격이 1년 사이 70% 이상 하락했다. 전기차 시장이 둔화되는 가운데 중국 리튬 업체들의 공격적인 투자로 공급 과잉 국면에 들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25일 코트라 베이징무역관과 시장조사기관 윈드에 따르면 중국 탄산리튬 가격은 이달 2주차 기준 톤(t)당 15만6460위안(약 2800만원)을 기록했다. 불과 1년 전 56만 위안(약 1억100만원)을 넘었던 가격은 올해 6월 30만 위안대(약 5400만원)로 떨어지더니 이달 들어 반토막이 났다. 수산화리튬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11월 56만160위안(약 1억190만원)까지 오른 가격은 이달 2주차에 14만3960위안(약 2600만원)으로 급락했다. 가격이 떨어진 배경은 수요 둔화에 있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2021년 157.5%, 2022년 95.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분위기는 다르다. 올해 성장률은 30~40%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는 차량용 배터리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올해 1~9월 중국 차량용 배터리 생산량 증가율은 44.9%로 작년(176.2%)의 3분의 1 수준이다. 배터리 생산이 위축되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고용량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료인 '수산화리튬'의 공급사를 추가했다. 안정적인 수급 체계를 구축해 배터리 소재 사업의 경쟁력을 높인다. 야화그룹은 전액 출자 자회사인 야화리튬이 LG화학과 수산화리튬 일수화물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7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기간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며 공급량은 3만t이다.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다. 야화리튬은 전 세계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의 9%를 차지하는 세계 3대 수산화리튬 업체다. 2025년까지 리튬 제품의 생산량을 10만t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목표로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BYD와 미국 테슬라, 독일 BMW·폭스바겐과 거래했고 작년 11월 SK온과 공급 계약도 체결했었다. <본보 2022년 11월 3일 참고 [단독] SK온, 中 야화그룹과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배터리 핵심 원료 확보> LG화학은 야화리튬과의 계약을 토대로 안정적으로 원재료를 조달하고 양극재 사업에 드라이브를 건다. LG화학은 배터리 소재 사업을 미래 먹거리로 삼고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하이니켈 양극재 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해 수산화리튬 수요는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수산화리튬은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중국 야화그룹의 자회사 야화리튬(雅化锂业)으로부터 전기차 배터리 핵심 원재료인 수산화리튬을 대량 확보했다. 안정적인 원재료 수급을 통해 고성능 배터리 생산능력을 강화한다. 야화리튬은 SK온의 자회사 SK온 상하이와 수산화리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지난 1일(현지시간) 밝혔다. 계약 기간은 내년부터 2025년까지며 물량은 2만t~3만t이다. 야화리튬은 중국 간펑리튬, 미국 앨버말과 함께 세계 3대 수산화리튬 업체다. 한국광해광업공단에 따르면 야화리튬은 2020년 기준 글로벌 수산화리튬 생산능력의 9%를 차지하고 있다. 올해 신규 생산라인을 가동해 2만t을 확보했으며 연말 2단계 개발이 완료되면 3만t이 추가될 전망이다. 2025년까지 리튬 제품의 생산능력을 10만t 이상으로 키운다는 목표다. BYD와 테슬라, 폭스바겐, BMW 등을 고객사로 두고 있다. SK온은 야화리튬과의 계약을 통해 배터리 원재료를 안정적으로 수급한다. 수산화리튬은 니켈 함유량이 80% 이상인 하이니켈 양극재의 주원료로 쓰인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향상시키고자 하이니켈 양극재의 인기가 높아지며 수산화리튬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산화리튬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