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업체 '에노빅스(Enovix)'가 말레이시아에 약 1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대량 양산을 위한 해외 첫 생산기지를 건설하고 말레이시아를 회사의 글로벌 제조 거점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20일 말레이시아 투자진흥청(MIDA)에 따르면 에노빅스는 향후 15년간 말레이시아에 58억 링깃(약 1조6068억원)을 쏟아 배터리 생산공장을 짓는다. 3억1500만 링깃(약 873억원)을 들여 첫 제조 라인을 구축하고 추가 증설을 단행한다. 안와르 이브라힘 말레이시아 총리와 아제이 마라테 에노빅스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지난 14일(미국 현지시간)부터 나흘간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리더스 위크' 기간 별도 회동해 이같은 투자에 합의했다. 이 자리에는 국제통상산업부(MITI) 장관과 MIDA CEO, 에노빅스 최고운영책임자(COO) 등이 동석했다. 에노빅스는 지난 3월 페낭에 배터리 제조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당시 페낭을 선정한 이유로 △우수한 기술 인재풀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장비·재료 공급사와 근접성 등을 꼽았었다. 페낭에는 인텔, 인피니온, AMD, 마이크론 등 반도체 업체를 비롯해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회사 '에노빅스(Enovix)'가 말레이시아에 둥지를 튼다. 첫 대량 양산 생산 기지를 설립하고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에노빅스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말레이시아 페낭에 배터리 제조 공장을 설립한다고 발표했다. 오는 2024년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에노빅스는 △우수한 기술 인재풀 △비즈니스 친화적 환경 △장비·재료 공급사와 근접성 등을 이유로 페낭을 낙점했다. 페낭에는 인텔, 인피니온, AMD, 마이크론 등 반도체 업체를 비롯해 루미레즈(Lumileds) 등 글로벌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에노빅스는 그라파이트 대신 100%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한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한다. 기존 배터리 대비 에너지밀도가 최대 두 배 이상인 것으로 전해진다. 모바일용 소형 배터리를 시작으로 향후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위한 대형 배터리까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관련 제품 개발을 위해 3D 셀 기술과 생산 프로세스도 개발중이다. 페낭 공장 외에 미국 캘리포니아주 프리몬트에도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지난해 6월 처음으로 실리콘 음극재 기반 상용 배터리 출하에 성공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회사 '에노빅스(Enovix)'가 마이크론과 퀄컴에서 고위 임원을 지낸 인물을 새로운 수장으로 맞이한다. 글로벌 반도체 회사의 양산 노하우를 이식해 대량 생산과 수익화에 속도를 낸다는 복안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에노빅스에 따르면 회사는 오는 18일부터 라지 탈루리 박사를 신임 사장 겸 최고경영자(CEO)로 선임한다. 공동 창립자 중 한 명인 해롤드 러스트 CEO는 고문 역할로 물러난다. 탈루리 박사는 반도체 업계에 30년 이상 몸 담은 전문가다. 텍사스대학교 오스틴캠퍼스에서 전기공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뒤 지난 1993년 텍사스인스트루먼트(TI)에 입사, 약 16년간 근무했다. 이후 퀄컴 수석 부사장과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모바일 사업부 수석 부사장 등을 거쳐 에노빅스에 합류했다. 엔지니어링 업무부터 시작해 비즈니스 관리 분야에서도 관리자급 직책을 맡아 능력을 인정받았다. 퀄컴에서는 스냅드래곤 로드맵 등 사업 전반을 관리하는 한편 개발 단계에 있던 제품을 10억 달러 이상 매출을 내는 대표 상품으로 발돋움시키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탈루리 박사는 특히 모바일·통신과 사물인터넷(IoT)향 칩에 강점을 가지고 있다. 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실리콘 음극재 기반 배터리를 개발하는 미국 '에노빅스(Enovix)'가 고객사에 테스트용 배터리셀 공급을 시작했다. 평가와 최적화 작업을 거쳐 올 2분기 내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에노빅스는 지난 1월 고객사인 주요 모바일 OEM에 최종 검증을 위한 실리콘 음극재 기반 리튬이온배터리셀 납품을 시작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작년 9월 자동화 생산라인에서 첫 번째 셀을 생산한지 4개월여 만이다. 고객사들은 현재 조달받은 에노빅스의 배터리셀에 대한 평가·검증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에노빅스 생산라인에 대한 감사도 동시에 진행중이다. 관련 절차가 마무리되면 각 제품별 최적화를 거쳐 이르면 연내 에노빅스의 배터리셀이 탑재된 모바일 기기가 출시될 예정이다. 지난 2007년 설립된 에노빅스는 그라파이트 대신 100% 실리콘 음극재를 사용한 리튬이온배터리를 개발한다. 기존 배터리 대비 에너지밀도가 최대 두 배 이상인 것으로 전해진다. 우선 모바일용 소형 배터리를 시작으로 향후 전기차,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위한 대형 배터리까지 사업을 확대한다는 목표다. 관련 제품 개발을 위해 3D 셀 기술과 생산 프로세스도 개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 수출될 FA-50 경공격기(FA-50PL)에 미국 레이시온 테크놀로지스(이하 레이시온)의 차세대 능동위상배열(AESA·이하 에이사) 레이더 장착이 임박했다. 레이시온의 팬텀스트라이크(PhantomStrike) 레이더가 비행 테스트에 성공하며 국내 반입이 빨라질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수출형 'FA-50GF' 조기 납품에 이어 'FA-50PL'도 적기에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레이시온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미국 캘리포니아주 온타리오에 있는 멀티프로그램 테스트베드 항공기에서 팬텀스트라이크 레이더의 첫 비행 테스트를 완료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여러 공중 표적을 추적하고 지형을 정확하게 매핑하는 데 성공했다. 팬텀스트라이크는 장거리 위협 탐지, 추적 및 목표물 표적화가 가능한 완전 공랭식 레이더이다. 레이시온이 업계 최초로 개발한 소형 AESA 레이더로 동급 AESA 레이더 대비 작고 가벼우며 적은 양의 전력으로도 운용이 가능하다. 경공격기, 헬기, 무인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 사용 가능하다. 디지털 빔 형성 및 조향(Digital Beam Forming and Steering), 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코오롱글로벌이 사우디아라비아 수처리 인프라 시장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사우디 국영수자원공사(NWC)가 발주한 대규모 수처리 프로젝트 계약이 임박한 가운데, 현지 기업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는 코오롱글로벌의 향후 관련 사업 참여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유료기사코드] 9일 톰슨로이터 계열 중동뉴스 매체 자우야(ZAWYA)에 따르면 NWC는 사우디 마흐드(Mahd) 지역 수처리 인프라 구축 사업에 대한 입찰을 마감하고 낙찰자와의 계약을 준비 중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리야드 남서부 일대에 걸쳐 송수관, 펌프장, 저류조 등을 설치하는 대형 인프라 사업이다. NWC의 마흐드 지역 수처리 인프라 건설 프로젝트는 사우디 정부의 상하수도 현대화 전략의 일환이다. 계약 규모는 총 2억2000만 달러(약 3100억원)에 이른다. NWC는 올 2분기 내 EPC(설계·조달·시공) 계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8년 3분기 완공한다는 목표다. 입찰에 참여한 기업 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현지 엔지니어링·건설 회사 '마스코(MASCO)'와의 협력 기반을 갖춘 코오롱글로벌의 참여 가능성이 점쳐진다. 실제 계약이 성사될 경우,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