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현지 운송 회사 포워드 에어 코퍼레이션(이하 포워드)과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한 화물운송 서비스를 추진한다. 800마일에 달하는 거리를 6일 동안 쉬지 않고 주행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유료기사코드] 코디악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포워드와 자율주행 화물운송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포워드는 코디악의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해 화물을 운송한다. 이 트럭은 댈러스부터 애틀랜타까지 24시간 주행한다. 매주 6일 동안 800마일에 달하는 거리를 3회 왕복한다. 정확한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안전한 운행을 지원하는 자체 매핑 솔루션과 자율주행 시스템의 높은 내구성·신뢰성 덕분에 24시간 주행이 가능했다고 포워드는 전했다. 코디악은 포워드와 작년 8월부터 협력해왔다. 현재까지 100개가 넘는 화물을 배송하고 10만 마일 이상 주행했다. 코디악은 외부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자율주행 트럭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코디악은 작년 3월 프랑스 화물 관리 업체 세바 로지스틱스와 미국 텍사스·오클라호마 전역에서 자율주행 트럭 상품 운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4월 미국 운송 업체
[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 웨이모를 비롯한 자율주행 기업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상대로 단체 행동에 나섰다. 트럭 등 대형 자율주행차 사업을 허용하고 관련 제도를 확립해달라고 촉구했다. [유료기사코드] 웨이모 등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주 주지사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개 서한을 보냈다.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오로라·코디악 로보틱스, 물류 회사 UPS·DHL·우버프레이트를 비롯해 각 카운티 상공회의소 등 34개 관계 기관이 동참했다. 현행법상 캘리포니아주에서 무게가 1만1파운드 이상인 자율주행차는 도로에서 시범운행 등을 할 수 없다. 캘리포니아주 차량국(DMV)은 2015년 자율 트럭 운행을 금지했다. 자율주행차 산업 확대 기조에 맞춰 2019년 1만1파운드 미만의 배송용 자율주행 경차는 도로주행을 허용하는 등 일부 규제를 완화했지만 여전히 대형 자율주행 트럭 테스트는 불가하다. 캘리포니아주와 달리 텍사스, 애리조나, 뉴멕시코, 루이지애나, 네바다, 콜로라도주 등 미국 내 주요 자율주행 사업 거점 지역은 자율주행 트럭도 허용하고 있다. 공동 서한에 이름을 올린 업계 관계자들은 캘리포니아주가 승용차 기반의 로보택시에는 강점이 있지만 장기적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현지 운송 업체 US익스프레스(US Xpress Inc)와 동부 지역에서 레벨4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한 화물 운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화물 운송 사업을 확장하고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코디악은 지난 7일(현지시간) "US익스프레스와 '댈러스-포트워스-애틀랜타'간 자율주행 화물운송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달 말부터 업계 최초로 '댈러스-애틀랜타' 구간에서 코디악의 레벨4 자율주행 트럭을 도입해 시범 서비스를 출시했다. 총 6350마일(약 1만219㎞)을 4번 왕복했으며 하루 24시간씩 총 131시간(약 6일) 동안 트럭을 운행했다. 안전 운전기사 4명으로 구성된 팀이 번갈아 앞좌석에 탑승해 주행을 감독했다. 양사는 시범 서비스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확인했다. 기존 트럭 운전사는 하루에 11시간 트럭을 몰 수 있으나 자율주행 트럭은 20시간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시간이 늘어나면서 더 적은 트럭으로 많은 화물을 실어나를 수 있었다. 코디악은 이번 협업을 토대로 향후 노선을 추가하고 서비스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코디악은 2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현지 엔지니어링 회사 GSE솔루션즈와 수소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연료전지 시뮬레이터 개발에 협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규모 수소 생산을 모색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GSE솔루션즈에 따르면 이 회사는 뉴스케일파워의 수소 생산을 지원할 연료전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시뮬레이터는 연료전지 설계와 운전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다. GSE솔루션즈와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가역적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Reversible Solid Oxide Fuel Cell·이하 RSOFC)용이다. RSOFC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만드는 SOFC, 이와 반대로 물을 전기로 분해해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SOEC를 번갈아 작동할 수 있는 장치다. GSE솔루션즈는 시뮬레이션 도구인 제이탑메런트(JTopmeret®)와 제이로직(JLogic)을 제공해 증기 공급과 수소 압축 열 회수 시스템을 재설계했다. 이를 통해 구현된 시뮬레이터는 미국 오리건주 뉴스케일파워 본사에 위치한 SMR 제어실 시뮬레이터와 연동된다. 뉴스케일파워는 SMR 회사 최초로 SMR 시뮬레이터와 수소 생산을 통합해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루
[더구루=김명은 기자] 글로벌 주류 기업 디아지오(Diageo)가 아프리카 가나 양조장을 매각했다. 생산 시설 소유와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뗀다. 대신 가나 시장에서 자사 브랜드의 존재감을 유지하는 '자산 경량화(asset-light)' 전략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디아지오는 지난 3일(현지시간) 주류 제조업체 기네스 가나 브루어리(Guinness Ghana Breweries PLC, GGBL) 주식 총 2억4729만1361주를 프랑스 카스텔그룹(Castel Group)에 매각했다. 이는 디아지오가 가진 지분 80.4% 전량에 해당한다. 대금 없는 주식 양도 방식(Free of Payment, FoP)으로 가나 내에서 거래가 이뤄졌다. 이로써 다이지오는 기네스 가나 브루어리 주주 지위을 완전히 상실했다. 이번 매각은 디아지오의 포트폴리오 전략에 따른 결정이다. 다만, 재무 정보와 카스텔 그룹의 향후 양조장 사업 계획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카스텔 그룹은 프랑스 1위이자 전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거대 와인 그룹이다. 포도 재배부터 유통까지 와인과 관련된 거의 모든 사업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앞으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네스', '몰타 기네스', '스미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