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현지 운송 회사 포워드 에어 코퍼레이션(이하 포워드)과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한 화물운송 서비스를 추진한다. 800마일에 달하는 거리를 6일 동안 쉬지 않고 주행하며 자율주행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유료기사코드] 코디악은 지난 16일(현지시간) 포워드와 자율주행 화물운송 서비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포워드는 코디악의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해 화물을 운송한다. 이 트럭은 댈러스부터 애틀랜타까지 24시간 주행한다. 매주 6일 동안 800마일에 달하는 거리를 3회 왕복한다. 정확한 도로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해 안전한 운행을 지원하는 자체 매핑 솔루션과 자율주행 시스템의 높은 내구성·신뢰성 덕분에 24시간 주행이 가능했다고 포워드는 전했다. 코디악은 포워드와 작년 8월부터 협력해왔다. 현재까지 100개가 넘는 화물을 배송하고 10만 마일 이상 주행했다. 코디악은 외부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자율주행 트럭의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코디악은 작년 3월 프랑스 화물 관리 업체 세바 로지스틱스와 미국 텍사스·오클라호마 전역에서 자율주행 트럭 상품 운송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어 4월 미국 운송 업체
[더구루=정예린 기자] 구글 웨이모를 비롯한 자율주행 기업들이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상대로 단체 행동에 나섰다. 트럭 등 대형 자율주행차 사업을 허용하고 관련 제도를 확립해달라고 촉구했다. [유료기사코드] 웨이모 등은 지난 27일(현지시간)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주 주지사에 이같은 내용을 담은 공개 서한을 보냈다. 자율주행차 스타트업 오로라·코디악 로보틱스, 물류 회사 UPS·DHL·우버프레이트를 비롯해 각 카운티 상공회의소 등 34개 관계 기관이 동참했다. 현행법상 캘리포니아주에서 무게가 1만1파운드 이상인 자율주행차는 도로에서 시범운행 등을 할 수 없다. 캘리포니아주 차량국(DMV)은 2015년 자율 트럭 운행을 금지했다. 자율주행차 산업 확대 기조에 맞춰 2019년 1만1파운드 미만의 배송용 자율주행 경차는 도로주행을 허용하는 등 일부 규제를 완화했지만 여전히 대형 자율주행 트럭 테스트는 불가하다. 캘리포니아주와 달리 텍사스, 애리조나, 뉴멕시코, 루이지애나, 네바다, 콜로라도주 등 미국 내 주요 자율주행 사업 거점 지역은 자율주행 트럭도 허용하고 있다. 공동 서한에 이름을 올린 업계 관계자들은 캘리포니아주가 승용차 기반의 로보택시에는 강점이 있지만 장기적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자율주행트럭 스타트업 '코디악 로보틱스'(이하 코디악)가 현지 운송 업체 US익스프레스(US Xpress Inc)와 동부 지역에서 레벨4 자율주행 트럭을 활용한 화물 운송 서비스를 선보인다. 화물 운송 사업을 확장하고 자율주행 트럭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코디악은 지난 7일(현지시간) "US익스프레스와 '댈러스-포트워스-애틀랜타'간 자율주행 화물운송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지난달 말부터 업계 최초로 '댈러스-애틀랜타' 구간에서 코디악의 레벨4 자율주행 트럭을 도입해 시범 서비스를 출시했다. 총 6350마일(약 1만219㎞)을 4번 왕복했으며 하루 24시간씩 총 131시간(약 6일) 동안 트럭을 운행했다. 안전 운전기사 4명으로 구성된 팀이 번갈아 앞좌석에 탑승해 주행을 감독했다. 양사는 시범 서비스를 통해 비용 절감 효과를 확인했다. 기존 트럭 운전사는 하루에 11시간 트럭을 몰 수 있으나 자율주행 트럭은 20시간 이상 주행이 가능하다. 시간이 늘어나면서 더 적은 트럭으로 많은 화물을 실어나를 수 있었다. 코디악은 이번 협업을 토대로 향후 노선을 추가하고 서비스 지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코디악은 2
[더구루=길소연 기자] 방글라데시가 해군력 강화를 위해 장보고급 잠수함 6척 도입을 추진한다. 방글라데시는 한국산 어뢰와 미사일이 탑재된 잠수함으로 전략적 억지력과 해저 감시 능력을 증강해 해상 분쟁지역에서 영향력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23일 방글라데시 군사전문매체 방글라데시 밀리터리(Bangladesh Military)에 따르면 방글라데시는 한국과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 규모의 해군 프로그램에 따라 개량형 장보고급 잠수함 6척을 구매하기 위해 협상 중이다. 방글라데시가 도입하려는 개량형 장보고급 잠수함은 독일 209/1400형 SSK를 개량한 것으로, 한국산 하부 시스템을 통합해 연안 작전 강화와 제한적인 원양 작전에 최적화됐다. 한화오션이 성능 개량해 작전 효율성과 경제성을 갖췄다. 수중전 역량을 확장하려는 국가에 적합하다. 잠수함의 제원은 길이 61.2m에 넓이 6.2m에 속도는 수면 시 11노트, 수중 시 21.5노트이다. 작전 지속 기간은 최대 50일이며, 승무원은 33~40명 탑승한다. 잠수함에는 벵골만처럼 수심이 얕고 음향적으로 까다로운 연안 해역에 적합한 소음 저감 기술이 적용된다. 잠항 시간을 늘려주는 공기불요추진시스템(AI
[더구루=홍성일 기자] 춤추는 '옵티머스'를 선보였던 테슬라가 새로운 영상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이번 영상을 통해 옵티머스가 일상 생활 영역에서 어떻게 사용될 수 있는지 선보였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옵티머스팀은 2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난 하루종일 춤만 추는 게 아니다"라며 새로운 옵티머스 영상을 게재했다. 댄스로 주목받은지 일주일여만에 새로운 영상을 업로드한 것이다. 해당 영상에는 옵티머스 휴머노이드가 쓰레기를 버리고, 책상을 정리하는 모습 등이 포함됐다. 또한 페이퍼 타올을 뜯거나 국자를 들고 냄비를 뒤적이는 모습도 등장한다. 테슬라는 댄스 영상으로 옵티머스의 하반신 운동 성능을 선보인 데 이어 옵티머스의 상체, 특히 손과 팔이 정밀하게 제어되는 모습을 보여줬다. 테슬라 옵티머스는 이전부터 손가락 제어 능력 면에서는 타 안드로이드보다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테슬라는 옵티머스가 단일 신경망을 사용해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옵티머스는 1인칭 화면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학습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옵티머스의 댄스 외에도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특히 1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