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팬오션이 건화물 시장 입지 확대를 위해 중고 벌크선 매입에 속도를 낸다. 이달 들어서만 두 번째 대형 뉴캐슬막스 벌크선을 확보한다. 시황 회복 전망에 기반한 선대 확대 전략으로 풀이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일본 선주 쇼에이 키센(正栄汽船)으로부터 벌크선 20만8600DWT급 '미네랄 히로시게(Mineral Hiroshige)'호를 7000만 달러(약 960억원)에 구매한다. 선박은 이마바리에 본사를 둔 일본 후쿠진키센(Fukujin Kisen)에서 2019년 건조됐다. 벌크선의 길이는 300m이고 너비는 50.05m이다. 최신형 뉴캐슬막스 사이즈 선박이다. 선박은 특별 조사를 통과하면 오는 12월에 인도된다. 팬오션은 벌크선 선대를 확충하고 있다. 선대를 늘려 차별화된 서비스로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팬오션은 벌크선으로 전 세계 항로를 통해 곡물, 원당, 원목, 석탄, 광물, 비료, 고철 등의 다양한 건화물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가장 최근에 매입한 벌크선은 인도 광산 회사 포멘토 리소스(Fomento Resources)가 소유하고 있던 20만7000DWT급 '포멘토 투'(Fomento Two, 2017년 건조)
[더구루=길소연 기자] 팬오션이 건화물 시장에서 입지를 확대하기 위해 대형 중고 벌크선을 구매했다. 팬오션은 선대를 확충해 차별화된 벌크선 서비스로 수익성을 강화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인도 광산 회사 포멘토 리소스(Fomento Resources)로부터 20만7000DWT급 '포멘토 투'(Fomento Two, 2017년 건조)를 6000만 달러(약 820억원)에 매입했다. 선박은 스크러버가 장착된 최신형 뉴캐슬막스 사이즈의 벌크선이다. 일본의 조선업체 재팬마린유나이티드(Japan Marine United)가 건조했다. 팬오션의 선박 매입가에는 독일 해운사 올덴도르프(Oldendorff Carriers)의 전세 계약이 포함됐다. 올덴도르프 용선료는 건화물선 운임 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의 130%가 반영됐다. 계약 기간은 내년 3분기 까지이다. 중고 벌크선을 매각한 포멘토는 1957년에 설립된 인도 광물회사이다. 포멘토가 선박을 매각한 동기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벌크선 가치 상승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3년간 중고 유조선과 벌크선 가격은 두 배 가까이 뛰었다. 팬오션은 벌크선 시황 개선에 대비해 선대를 늘리고 있다. 올해 벌크해운 시황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장금상선이 올 1분기 아시아에서 선박을 가장 많이 사들인 '큰 손'으로 부상했다. 17일 미국의 해운플랫폼업체 베슨노티컬(Veson Nautical)에 따르면 '한국의 선박왕' 정태순 회장이 이끄는 장금상선은 올 1분기 4억4500만 달러(약 6185억원)을 들여 8척의 선박을 매입해 아시아 최대 개인 투자자로 기록됐다. 장금상선이 인수한 8척은 모두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으로, 매입처는 노르웨이의 프론트라인(Frontline)과 벨기에의 유로나브(Euronav)였다. 장금상선에 이어 두번째 큰 아시아 투자자는 팬오션으로 확인됐다. 팬오션은 4척의 선박에 2억6150만 달러(약 3634억원)를 지출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큰 거래선사가 됐다. 3위는 중국 국유 공상은행 계열사인 공인금융리스(ICBC Financial Leasing)가 올랐다. 공인금융리스는 단 1척의 선박만 매입했지만 해당 선박이 2만 40000TEU 초대형 컨테이너선으로 매매가가 2억 3260만 달러에 달한다. 싱가포르의 위닝쉬핑(Winning Shipping)으로 6척을 2억600만 달러에 구매해 4위를 차지한다. 베슨노티컬은 "아시아 선주들은 올 1분기에 중
[더구루=길소연 기자] 팬오션이 정부와 국가 연구개발사업으로 발주한 국내 최초의 1800TEU급 자율주행 컨테이너선이 곧 취항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다음달 6일부터 현대미포조선이 건조한 1800TEU급 '포스 싱가포르(Pos Singapore)' 컨테이너선을 아시아 노선에 투입한다. 포스 싱가포르는 인천, 칭다오, 상하이, 호치민, 램차방, 서커우, 인천을 순회할 예정이다. 포스 싱가포르호는 지난 2020년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동으로 추진한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돼 자율운항실증선박으로 지정 발주된 컨테이너 선박이다. 길이 172m, 너비 27.4m, 높이 14.3m 규모로 20피트 길이의 컨테이너 1800개를 동시에 실어 나를 수 있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고부가가치 선박이다. 최소 인원의 승무원은 탑승하지만 자율운항에 필요한 시스템을 탑재해 오는 9월에 국제해사기구(IMO)의 부분자율운항 레벨3로 운항한다. 약 1년간 국제항로에서 자율운항을 탐색한다. 자율운항 검증을 위해 지능항해시스템, 기관자동화 시스템 등 다양한 자율운항 핵심기술들이 장착됐다. 또한 황산화물
[더구루=길소연 기자] 팬오션이 인도 해운사에 중형(Medium Range, MR) 탱커 2척을 매각했다. 업계에서는 팬오션이 선박 매각 대금을 활용해 모기업인 하림의 HMM 인수전을 간접 지원할 것으로 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인도 그레이트 이스턴 쉬핑(Great Eastern Shipping)에 4만6197DWT 규모의 그랜드 에이스8(Grand Ace8, 2008년 건조)를 2380만 달러(약 320억원)에 판매했다. 선박은 3분기에 인도된다. 이보다 2년 먼저 건조된 자매선인 그랜드 에이스1(Grand Ace1)을 1900만 달러(약 250억원)에 매각했다. 2척의 매각가는 총 570억원이다. 그레이트 이스턴 쉬핑은 팬오션 선박 매입으로 총 43척의 선대를 보유한다. 28척의 유조선(원유 운반선 6척, 제품 유조선 18척, LPG 운반선 4척)과 333만 DWT의 건화물선 14척으로 구성됐다. 그레이트 이스턴 쉬핑은 선대 확장을 위해 팬오션의 선박을 매입했다. 내부 자금으로 선박 자금을 조달한다. 팬오션이 15년 선령의 선박을 매각한 건 하림의 HMM 인수를 위한 자금 마련으로 풀이된다. 업계에서는 하림이 팬오션의 선박을 팔아서 현금
[더구루=오소영 기자] 노르웨이 국부펀드가 팬오션에 대한 관찰 기간을 4년 연장했다. 노후화된 선박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환경·인권 침해를 완전히 해소했는지 확인한다. 노르웨이 국부펀드 운용기금인 NBIM(Norges Bank Investment Management)은 지난 22일(현지시간) 팬오션에 대한 관찰(Observation)을 4년 연장했다고 밝혔다. NBIM은 북해산 원유에서 나오는 '오일머니'를 밑천으로 1조3000억 달러(약 1670조원) 상당의 자산을 운용한다. 지난해 상반기 달러 강세로 14%가 넘는 손실을 내며 중국에 선두를 내주기 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국부펀드로 통했다. 기업의 인권 침해와 환경 파괴, 부패 등을 평가해 관찰 기업 리스트를 발표하고 있다. 2018년 대한해운이 투자 대상에서 제외됐으며 작년에는 현대글로비스가 관찰 대상에 올랐다. NBIM은 노르웨이 재무부 산하 윤리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2018년 1월 팬오션을 관찰 기업 리스트에 올렸다. 노후화된 선박을 방글라데시·파키스탄 해변에서 해체해 심각한 환경 피해를 초래하고 열한 작업 환경을 개선하지 않았다는 혐의다. NBIM은 4년 동안 감시하기로 하고 관찰 기간 동
[더구루=길소연 기자] 인권단체 국제앰네스티가 트레이딩 기업 트라피규라(Trafigura)와 팬오션 소유 유조선이 미얀마 전쟁범죄에 이용됐다고 주장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앰네스티는 다국적 원자재 트레이딩 기업 트라피규라(Trafigura) 산하 푸마에너지와 팬오션이 미얀마의 전쟁 범죄를 부채질했다고 비판했다. 국제엠네스티는 "트라피구라가 장악하고 있는 푸마에너지와 한국 선주 팬오션이 민간 제트 연료 수송이 민간인에 대한 군사 공격을 부채질한다"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주 미얀마 공군에 기름을 붓는 공급망과 전쟁범죄 혐의에 대한 상세한 조사를 발표한 데 따른 조치이다. 국제앰네스티는 저스티스포미얀마, 미얀마캠페인UK 등의 단체와 미얀마 군부의 공급망을 추적한 결과 푸마에너지 외에 태국 타이오일, 중국 국영 석유업체인 중국석유천연가스(페트로차이나)가 운영하는 싱가포르페트롤륨 등의 연료가 미얀마군으로 들어간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단체는 미얀마 공군은 공급받은 항공유로 공습을 했으며, 일부는 민간인을 상대로 한 전쟁범죄였다고 비판했다. 실제 카친독립기구(KIO) 창립 62주년 기념 공연장을 공격해 민간인을 포함한 70여명이 목숨을 잃었다. 또 지난 9월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에너지(옛 카타르페트롤리엄)가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의 선주사와 정식 계약을 앞두고 있다. 선가 협상을 놓고 신경전을 벌였던 현대중공업·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등 국내 대형 조선사들의 건조계약도 빨라질 전망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는 에이치라인과 팬오션, SK해운으로 구성된 컨소시엄 K3와 JP모건, 노르웨이 선주 크누센(Knutsen OAS)과 선석 예약을 계약하고 장기 전세 계약을 체결할 것으로 보인다. 이들 선주사는 LNG 신조선 선석에 배정될 예정으로 정기 용선한다. 조선소 간 선가 협상은 대부분 해결됐지만 선주사와의 용선료는 아직 조율 중이다. 국내 선주사는 지난 3월 확정됐다. 카타르에너지는 대우조선에 배정된 45척 중 5척의 발주 선주사로 K3를 택했다. <본보 2022년 3월 30일 참고 에이치라인·팬오션·SK해운, 카타르발 '대우조선 건조' LNG선 선주사 선정> 선주사 계약시 건조사의 정식 건조 계약도 빨라진다. 용선처 확정으로 조만간 계약을 체결할 전망이다. 앞서 카타르에너지는 2020년 국내 조선 빅3인 현대중공업과 대우조선, 삼성중공업 그리고 중국 후동중화조선 등 4개사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국 해운이 영국을 제치고 세계 7위에 올랐다. 국영 원양 해운업체 에이치엠엠(HMM)과 현대LNG해운과 팬오션, 에이치라인 등 국내 선사들의 신조 발주가 늘고, 선대 확충에 나선 탓이다. 16일 영국 선박가치평가기관인 배슬스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세계 10대 선주 국가·지역의 총 자산 목록에 한국은 총 자산가치가 580억 달러(약 68조원)로 7위에 올랐다. 연초보다 240억 달러(약 28조원) 증가했다. 한국의 자산가치가 상승한 건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과 액화석유가스(LPG) 운반선 시장에서 활약했기 때문이다. 덕분에 한국의 자산 가치는 지난 1월 이후 3배 증가했다. LNG 선박 가격이 올해 중반에 치솟았고, 한국의 천연 가스 산업 선단이 조성되면서 가치를 세 배로 증가시켰다. 한국의 순위는 연초까지만 해도 세계 8위였다. 그러나 신조선 수주 등 사업 확장으로 10개월 만에 7위였던 영국을 제치고 순위가 상승했다. 특히 신조 발주와 선가 상승이 순위 상승을 견인했다. 현대LNG해운과 팬오션, 에이치라인 등과 같은 국내 선주들이 올해 총 15척의 대형 LNG 운반선을 신규 발주하면서 한국 조선소의 수주액을 증
[더구루=길소연 기자] 벌크선 운임 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가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11년 만에 최고치를 돌파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8월 넷째주 BDI 지수는 지난주 대비 116포인트 상승한 4092포인트를 기록하며 11년 만에 고점을 찍었다. 이는 2010년 6월 이후 처음으로 4000선 돌파다. BDI 상승은 주로 파나막스 및 수프라막스 평가와 함께 BDI 계산의 40%를 차지하는 대형선의 적체 등이 운임 상승을 이끌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전세계 해상 물동량을 늘어나면서 컨테이너와 벌크 시장 모두 운임이 연일 최고치를 찍게 된 배경이다. 즉, 공급 차질로 인한 운임 상승이 빚어지고 있는 셈이다. 특히 발트해 연안, 특히 브라질과 호주 서부발 철광석 화물에 대한 꾸준한 전세활동이 운임 상승에 기여하고 있다. 브라질과 북대서양에 출항하는 선박들은 공급이 부족해 20일 기준 발트해 브라질과 중국 기준 철광석 현물요금이 전날보다 1.28달러 오른 t당 36.125달러까지 올랐다. 태평양에서는 발트해 서호주~중국 철광석 항로가 15일 기준 15.823달러까지 올랐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태평양, 대서양에서 물동량이 늘면서 모든 선형의 벌크선 운임이 오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추진하는 노스필드(North Field Expansion, NFE) 프로젝트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용선 입찰이 한국과 일본의 2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는 오는 20일 NFE 프로젝트에 1차 투입되는 LNG 운반선 45척에 대한 신조선 상업 입찰 제안서를 글로벌 주요 선사에 발송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에이치라인해운 △현대LNG해운 △대한해운 △팬오션 △SK해운 등 5개 업체가 비공식 명칭인 'K5'로 결성해 입찰에 참여했고, 에너지 운송 선박 소유·관리 회사인 국제선박투자운용(KMARIN)과 현대글로비스도 경쟁에 뛰어들었다. 일본 선사들도 경쟁에 참여했다. 일본 3대 선주들인 미쓰이 OSK 라인(MOL)과 NYK 라인, K 라인 등이 함께한다. 일본이 과거에 LNG 운반선에 대해 카타르와 긴밀히 협력했고, 일본이 과거 중동 걸프 국가 기초 구매자라 입찰 경쟁 참여는 자연스러운 일이다. 아시아 선주 외 입찰 참여 초청받은 선사들은 그리스 마란가스 마리타임이 있다. 마란가스 마리타임은 이미 여러 LNG 운반선 프로젝트에서 카타르 국영선사 나클랏(Nakilat)과 협력한 바 있다. 또 그리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대표 벌크(건화물)선사인 팬오션이 그리스 선사에 중고 석유화학제품운반선(PC선) 1척을 매각했다. 그리스 선사가 유조선 시장 반전을 기대하며 중고선 매입에 나선 것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팬오션은 그리스 에리오 쉽매니지먼트(Aerio Shipmanagement)에 4만6000DWT급 PC선 '그랜드 에이스2'(Grand Ace 2)를 930만 달러(약 109억원)에 판매했다. 중고선은 2006년 건조돼 평형수 처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최근 특별 검사를 통과했다. 에리오 쉽매니지먼트가 중고 PC선을 매입한 건 시장 반전 기대감 때문이다. 유조선 소유주들은 호황인 컨테이너선 시장과 달리 유조선 시장 부문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유조선 운임 하락에도 불구, 선대 확충에 나서는 이유다. 노후선박 교체 이유도 있다. 현재 에리오는 오래된 톤(t)수 선박을 교체 중이다. 이번 중고선 매입 외 2001년에 건조된 2만DWT급 제마(Gema)를 약 5백만 달러(약 58억원)에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다. 에리오는 PC선 2척과 소형 청정 유조선 2척 등 총 4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다. 향후 5만t급 안밖의 PC선과 아프라막스 사이즈급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메모리 반도체 전문기업 브이컬러 테크놀로지(V-Color Technology, 이하 브이컬러)가 '업계 최초' 64기가바이트(GB) 메모리 키트를 출시했다. 브이컬러는 신형 메모리 키트를 앞세워 고사양 컴퓨터가 필요한 전문가 컴퓨터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브이컬러에 따르면 브이컬러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는 32GB 메모리 2개로 구성됐다. 인텔 코어 울트라 프로세서와 Z890 메인보드에 최적화됐다. 올 2분기 중 글로벌 시장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CUDIMM 기반으로 개발돼 전송 속도가 9000MT/s(초당 메가트랜스퍼)에 달한다. 전문 콘텐츠 제작과 게임, 고해상도 렌더링, 고급 멀티태스킹 등 까다로운 작업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CUDIMM은 클럭을 최적화하는 클럭 드라이버 칩(Clock Driver IC, CKD)을 메모리 모듈에 내장하는 기술로, 신호 무결성을 강화해 고속 전송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한다. 브이컬러는 64GB DDR5 CUDIMM 메모리 키트에 RGB 조명과 하얀색 방열판을 적용, 디자인 만족도도 높였다. 브이컬러 관계자는 "64GB DDR5 CUDIMM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방산기업 록히드마틴이 메타에 이어 구글과도 인공지능(AI) 부문에서 협력한다. 록히드마틴은 구글의 AI 기술을 도입해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에 특화된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일 록히드마틴에 따르면 구글 공공부문 자회사 '구글 퍼블릭 섹터(Google Public Sector)'와 파트너십을 맺고, 록히드마틴 'AI팩토리(AI Factory)' 생태계에 구글 클라우드 AI 플랫폼 '버텍스 AI(Vertex AI)'를 통합한다. 록히드마틴의 AI팩토리는 다양한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기반으로 방산·항공우주 등 국가안보 분야 제품에 특화된 AI를 개발하는 플랫폼이다. 앞서 록히드마틴은 지난해 11월 메타와 계약을 맺고 AI팩토리에 생성형 AI 모델인 라마(Llama)를 도입하기도 했다. 버텍스 AI는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전용 AI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필요한 개발 툴을 모아둔 플랫폼이다. 록히드마틴은 버텍스 AI를 AI팩토리와 통합해 △실시간 의사 결정 △항공우주 유지보수 예측 △엔지니어링 최적화 설계 등이 가능한 AI솔루션을 개발, 국가안보·항공우주 분야 역량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록히드마틴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