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의 미국 증시 상장이 무산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른 투자 심리 위축과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상장 규제 강화 등으로 기업공개(IPO)가 차질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유료기사코드]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와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가 정한 합병 완료 기한이 내달 말일까지다. 애초 작년 말까지 합병을 완료할 방침이었지만, 스팩 시장 위축으로 일정을 한 차례 연기했다. 이로 인해 합병기업의 가치도 104억 달러(약 13조1440억원)에서 88억 달러(약 11조1230억원)로 15%나 낮췄다. 2억5000만 달러(약 3160억원)의 현금을 투입하려는 계획도 2억1000만 달러(약 2650억원)로 축소했다. <본보 2022년 1월 3일자 참고 : '제2의 로빈후드' 이토로, 스팩 합병 지연에 기업가치 15% 낮췄다> 양사는 아직 스팩 합병 취소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은 상태이지만, 현지 금융투자업계 안팎에서는 데드라인이 한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취소 가능성이 있다고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사업에 시동을 걸었다. [유료기사코드] 이토로는 7일(현지시간) NFT 제작자와 에이전시, 브랜드 등을 지원하는 후원 프로그램인 '이토로.아트(eToro.art)'를 출범했다고 밝혔다. 2000만 달러(약 240억원) 규모로 조성된 이 프로그램은 초우량 NFT 구매하는 한편 새로운 NFT를 시장에 출시하기 위해 신진 제작자와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토로는 우선 보어드 에이프 요트 클럽(Bored Ape Yacht Club), 크립토펑크(CryptoPunks), 월드오브우먼(World of Women) 등과 같은 유명 블루칩 프로젝트를 비롯해 신흥 아티스트 프로젝트를 모두 포함하는 NFT 콜렉션을 공개할 계획이다. 또 떠오르는 크리에이터와 브랜드를 지원하는데 1000만 달러(약 120억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이토로 창업자인 요니 아시아 최고경영자(CEO)는 "이토로는 끊임없이 '다음 단계'에 관심을 기울이는 회사로 메타버스와 다양한 가상자산에 엄청난 잠재력을 보고 있다"며 "전통적인 자산와 함께 암호화폐를 제공하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메타버스에 투자하는 상품을 선보였다. 미국 뉴욕 증시 상장을 앞두고 투자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강화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메타버스와 관련된 주식이나 암호화폐에 투자하는 스마트 포트폴리오 '메타버스라이프(MetaverseLife)'를 출시했다. 이 포트폴리오는 메타(옛 페이스북), 로블록스, 디센트럴랜드, 샌드박스, 엔진 등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을 담는다. 이외에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엔비디아 등 메타버스 생태계 조성에 필요한 기술을 개발하는 기업들도 포함했다. 메타버스는 가상·초월 등을 뜻하는 '메타(Meta)'와 우주를 뜻하는 '유니버스(Universe)'의 합성어로, 현실세계와 같은 사회·경제·문화 활동이 이뤄지는 3차원의 가상세계를 의미한다. 비대면 문화 확산과 5세대(5G) 이동통신 상용화로 차세대 플랫폼을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컨설팅기업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에 따르면 메타버스 시장 규모는 2019년 464억 달러(55조원)에서 2030년 1조5000억 달러(약 178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미국 사업 강화를 위해 현지 투자 전문가를 영입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미국 자산운용사 엘리인베스트의 선임 투자전략가인 캘리 콕스(Callie Cox)를 미국법인 투자 애널리스트로 선임했다. 콕스는 엘리인베스트를 대표하는 투자 전문가 가운데 한명으로 젊은 투자자와 소통하기 위해 행동 심리학 원리와 투자 교육 인사이트를 통합해 이름을 알렸다. 미국 금융산업규제국 투자상담사(시리즈 7) 및 증권거래사(시리즈 66)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다. 룰레 뎀시 이토로 미국법인 최고경영자(CEO)는 "그의 열정은 미국 시장에 대한 집중도를 강화하려는 이토로의 핵심 목표와 일치한다"면서 "콕스는 주식, 파생상품, 채권 등 자본 시장 전반에 대한 광범위한 지식을 제공한다"고 전했다. 콕스 애널리스트는 "이토로는 현지 미국 시장과 관련해 성장 궤적에서 중추적인 단계에 있다"면서 "이토로는 매우 독특하고 커뮤니티 지향적이며 모든 사람에게 투자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고 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더구루=홍성환 기자] '제2의 로빈후드'로 불리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한 미국 뉴욕 증시 상장이 해를 넘기면서 기업가치를 낮춰 잡았다. [유료기사코드]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년 이토로와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는 합병기업의 가치를 기존 104억 달러(약 12조3600억원)에서 88억 달러(약 10조4600억원)로 15% 하향 조정했다. 이에 따라 애초 2억5000만 달러(약 3000억원)의 현금을 투입하려는 계획도 2억1000만 달러(약 2500억원)로 축소했다. 이토로와 FTCV는 지난해 3월 합병에 합의했고, 작년 말까지 상장을 완료할 방침이었다. 하지만 스팩 시장 위축으로 일정이 지연됐다. 결국 작년 말 상장을 포기하고 오는 6월 말까지로 계약을 연장했다. <본보 2021년 12월 13일자 참고 : '로빈후드 대항마' 이토로, 스팩합병 상장 지연…美 규제 강화 '불똥'>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스팩 합병 상장이 일반 투자자들을 충분히 보호하지 못하고 있다고 규제 가능성을 시사했다. 게리 겐슬러 SEC 위원장은 지난달 9
[더구루=홍성환 기자] '로빈후드의 대항마'로 꼽히는 이스라엘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의 미국 증시 입성이 내년으로 밀릴 전망이다. 미국 증권당국이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합병을 통한 우회 상장에 대한 규제를 시사하면서 스팩 상장 시장이 위축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올해 안에 스팩 합병을 완료하지 못할 것으로 보고 투자자들과 협의를 진행 중으로 알려졌다. 이토로는 애초 올해 3분기까지 기업공개(IPO) 작업을 마무리할 방침이었지만, 스팩 시장 위축으로 계속 일정이 지연되는 상황이다. 이토로는 앞서 지난 3월 나스닥에 상장한 스팩인 'FTCV(FinTech Acquisition Corp V)'와 합병하기로 합의했다. FTCV는 금융권 거물인 베치 코헨이 설립한 스팩인다. 합병기업의 가치는 104억 달러(약 12조2900억원)로 예상했다. 다만 연내 합병을 완료하지 못할 경우 계약이 취소되거나 IPO 규모가 변경될 수 있다. 이토로는 현재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 약정을 맺은 투자자들과 계약 연장을 논의하고 있다. 이토로는 6억5000만 달러(약 7700억원) 규모로 PIPE를 받을 예정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가 암호화폐(가상화폐, 가상자산) 셀로(CELO)를 상장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자사 플랫폼 가상자산 투자 목록에 셀로를 추가했다. 이에 따라 이토로 플랫폼에서 거래 가능한 암호화폐는 41개로 늘었다. 다만 미국 내 이용자들은 거래가 불가능하다. 셀로는 금융 서비스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편리한 모바일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블록체인 기반 오픈 암호화폐 시스템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다. 메타(옛 페이스북)가 과거 추진했던 리브라 프로젝트의 대항마로 유명하다. 이토로는 최근 암호화폐 자산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앞서 지난달에는 블록체인 게임업체 스카이마비스가 개발한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인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AXS)' 코인을 비롯해 △칠리즈(Chiliz) △스시스왑(SushiSwap) △퀀트(Quant) 등을 상장했다. <본보 2021년 11월 12일자 참고 : 이토로, 투자 플랫폼에 '삼성 투자' 엑시인피니티 NFT 추가>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
[더구루=홍성환 기자]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가 규제 문제를 이유로 암호화폐 카르다노(ADA)와 트론(TRX)을 상장 폐지하기로 결정했다. 이토로는 23일(현지시간) "올해 말 미국에서 카르다노와 트론을 상장 폐지할 것"이라며 "내년 1월 1일부터 두 코인을 스테이킹할 수 없고, 판매가 제한되는 1분기까지 암호화폐 지갑은 인출 전용 모드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카르다노는 2015년 설립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코인의 정식 명칭은 '에이다'이다. 전 세계 암호화폐 가운데 시가총액 7위에 올라 있다. 카르다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비해 채굴할 때 에너지 소비량이 적고 초당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주목을 받았다. 높은 애플리케이션 구축 효율성도 지녔다. 비트코인은 앱을 설계할 때 효용이 떨어져 현재 대부분의 가상자산 프로젝트가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기획되고 있는데, 카르다노는 이더리움보다 앱 구축이 더 용이하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18년에는 미국에서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서비스를 시작했다. 미국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이용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이 투자한 블록체인 게임업체 스카이마비스가 개발한 대체불가능한토큰(NFT)인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AXS)' 코인이 온라인 투자 플랫폼 이토로(eToro)에 상장됐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토로는 엑시 인피니티를 비롯해 △칠리즈(Chiliz) △스시스왑(SushiSwap) △퀀트(Quant) 등 4개 코인을 투자 플랫폼에 새롭게 추가했다. 이에 따라 이토로 플랫폼에서 거래할 수 있는 가상자산은 40개로 늘었다. 엑시 인피니티는 베트남 게임업체 스카이마비스가 개발한 이더리움 기반 블록체인 게임이다. 이 게임은 '엑시'라고 불리는 게임 캐릭터를 NFT로 만들어 거래할 수 있다. 지난달 삼성전자 산하 투자 자회사인 삼성넥스트가 이 회사에 투자하며 국내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본보 2021년 10월 6일자 참고 : 삼성, 블록체인 게임 '엑시 인피니티' 개발사 베팅…NFT 투자 박차> 엑시 인피니티는 암호화폐 거래소를 제외한 블록체인 프로젝트 가운데 최초로 지난 7월 말 하루 이용자 수가 80만명을 돌파했다. 헌재 엑시 인피니티 코인의 시가총액은 397억6310만 달러(약 47조원)에 이른다. NFT
[더구루=홍성환 기자] 콜롬비아 증권거래소(BVC)가 암호화폐를 사용해 주식 투자를 하는 자국 투자자들에게 온라인 주식거래 플랫폼 '로빈후드(Robinhood)'와 '이토로(eToro)'를 이용할 것을 제안했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VC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10년 전에는 없었던 주식 투자 옵션과 도구가 많이 나왔다"며 "특히 로빈후드와 이토로는 암호화폐를 사용해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고 설명했다. BVC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주식을 비롯해 상장지수펀드(ETF), 암호화폐 등 미국 금융시장에서 장단기 투자를 할 수 있다"며 "이러한 플랫폼은 주식 중개인이 없기 때문에 수수료 등을 절감할 수 있다"고 했다. 로빈후드는 수수료 제로 정책과 초보자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가입자를 크게 늘렸다.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를 계기로 젊은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됐고, 특히 올해 초 게임스톱과 AMC엔터테인먼트 등 이른바 '밈 주식' 열풍으로 사세를 더 확장했다. 지난 8월에는 미국 증시에서 입성했다. 이토로는 2007년 이스라엘에서 설립된 해외주식 거래 플랫폼으로 영국, 호주, 미국 등에 지사를 두고 있다. 20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