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동차 부품 계열사 '현대케피코'가 베트남에 5000만 달러(약 700억원)를 추가로 투입한다. 베트남 정부로부터 투자 확대를 위한 허가도 획득했다. 2009년 해외 첫 거점의 둥지를 베트남에 마련한 후 투자를 지속하며 현대차그룹의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16일 하이퐁 인민위원회와 현지 매체 '바이 하이퐁'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지난 15일(현지시간) '2025년 무역 투자 촉진 컨퍼런스'에서 투자등록증(IRC)을 받았다. IRC는 해외 기업이 베트남에 투자하려면 반드시 받아야 하는 허가다. 현대케피코는 5000만 달러를 추가 투입, 현지 투자액을 4억5000만 달러(약 6200억원)로 늘릴 계획이다. 구체적인 투자 내용을 공개하진 않았지만 베트남 사업장의 확장에 쓰일 것으로 보인다. 현대케피코는 지난 2월 하이즈엉 공장 생산량을 8100만 개 이상으로 늘려 약 3250억동(약 190억원)의 매출 상승을 달성하겠다고 밝혔었다. <본보 2025년 2월 6일 참고 현대케피코, 베트남 현지화 전략 강화…친환경 R&D 포트폴리오 구축> 지난달 9일 공개한 회사채 발행 투자설명서에서도 올해 베트남 법인의 고압펌프
[더구루=정예린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동차 부품 계열사 '현대케피코'가 올해 베트남에서 생산량을 확대하고 매출 성장을 이루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친환경 제품을 개발하고 공급망을 강화해 수익성을 개선, 핵심 해외 거점으로서 베트남법인의 입지가 더욱 공고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6일 현대케피코 베트남 공장이 위치한 하이즈엉성 지역지 '하이즈엉신문'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올해 현지 제품 생산량을 8100만 개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매출이 작년 대비 3250억 동(약 190억원)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현대케피코는 친환경 자동차 부품과 라인 개발에 전력을 쏟는다. 지속가능성이 모빌리티 업계 최대 화두로 떠오르면서 세계 각국은 자동차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현대케피코도 이에 발맞춰 관련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 신규 수주를 적극 모색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또 베트남 현지 기업들과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현지 공급망도 안정화할 계획이다. 현대케피코가 작년 하노이에 오픈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가 친환경 제품 개발의 주축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곳에서 소프트웨어는 물론 생산 공정에 접목할 다양한 혁신 기술을 개발하고 인재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 현대케피코가 베트남에 자동차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를 마련했다. 올해 베트남 진출 15주년을 맞은 현대케피코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현지 주요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Hyundai Kefico Vietnam Co., Ltd.)는 지난 14일 베트남 타이세이 스퀘어 하노이(Taisei Square Hanoi) 12층에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를 공식 오픈했다. 현대케피코는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 공식 오픈에 맞춰 현지 인재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오는 28일 하노이 과학기술대학교 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현대케피코 현지 공장 투어를 진행한다. 조기 진로 오리엔테이션 활동을 통해 실제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뒀다. 이번 소프트웨어 개발 센터 설립으로 현대케피코의 베트남 내 입지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현대케피코는 엔진·변속기용 전자제어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다. 현대차가 100% 지분을 갖고 있다. 최근 전기차 초고속 충전기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핵심 부품을 내재화해 독자 개발한 충전기를 앞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 현대케피코가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기업 IBC, 현지 전기스쿠터 제조업체 그시트(Gesits)와 손잡고 전기 이륜차 등 현지 친환경 모빌리티 생태계 발전을 위한 맞춤형 전략을 펼친다. 3사 강점을 결합한 전기 이륜차 2개 모델도 출시하기로 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지난 3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JIEXPO Kemayoran에서 열린 2024 인도네시아 전기차산업협회 EV쇼(2024 Periklindo Electric Vehicle Show, PEVS)를 통해 IBC, 그시트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날 파트너십 체결식에는 윤선홍 현대케피코 상무를 비롯해 베르나르디 주미릴(Bernardi Djumiril) 그시트 회장 등이 참석했다. 베르나르디 주미랄 회장은 "이번 파트너십은 현지 운전자들의 니즈를 충족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혁신을 토대로 이뤄졌다"며 "향후 이륜차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고했다. 현대케피코는 이번 파트너십을 토대로 △효율적인 배터리 시스템 개발 △모터 성능 최적화 △최첨단 기술 통합을 실현, 현지 운전
[더구루=정예린 기자] 팜민찐 베트남 총리가 현대자동차그룹 자동차 부품 계열사 '현대케피코'의 생산시설을 찾았다. 베트남 진출 15주년을 맞은 현대케피코는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현지 주요 외국인 투자 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베트남 정부공보(VGP)는 10일(현지시간) 찐 총리가 하이즈엉성 다이안 공단 내 현대케피코 공장을 방문해 사업 현황을 살폈다. 활발한 경영을 펼치고 사회공헌 활동에 적극 참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요청했다. 찐 총리의 방문은 내달 베트남 설날이자 최대 명절인 '뗏(Tết)' 기간을 앞두고 이뤄졌다. 이날 현대케피코 임직원을 대상으로 연설하고 별도 만남의 시간도 가졌다. 그는 근로자들의 노고에 감사를 표하고 격려하는 한편 생활이 어려운 직원들에 선물을 전달했다. 찐 총리는 "현대케피코의 기업 활동을 환영하며 계속해서 법에 따라 회사를 운영해주길 바란다"며 "근로자의 물질적, 정신적 삶을 돌보고 사회보장 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해야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대케피코는 엔진·변속기용 전자제어 부품을 생산하는 회사다. 현대차가 100% 지분을 갖고 있다. 최근 전기차 초고속 충전기까지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있다. 핵심 부품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 현대케피코가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T PNL) 자회사와 손잡고 전기 이륜차 등 현지 친환경 생태계 발전 방안 마련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전날 PLN 아이콘 플러스(PNL Icon Plus)와 현지 전기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전기 이륜차에 국한되지 않고 누산타라 신수도(IKN)의 친환경 생태계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나가기로 했다. 한국과 인도네시아 간 협력을 구체적으로 실현하기로 약속했다. PNL 아이콘 플러스는 인도네시아 국영전력공사 페루사한 리스트릭 네가라(PT Perusahaan Listrik Negara, PT PNL) 자회사이다. 협약식은 현대케피코 본사에서 진행됐다. 페브리 캘빈 테텔렙타(Febry calvin tetelepta) 인니 대통령 비서실(KSP) 1차장 등으로 구성된 방한단이 이번 MOU 체결을 위해 직접 본사를 찾았다. 인도네시아 측은 치프타 페르다나(Chipta Perdana) PLN 아이콘 플러스 이사가, 현대케피코 측은 유영종 현대케피코 사장이 대표로 직접 협약서에 싸인했다. 특히 이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 현대케피코가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T PNL)와 현지 전기차 생태계 조성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 배터리 기반 전기자동차(KBLBB) 생태계 조성에 속도를 높이고 있어 현지 전기 이륜차 시장에서 현대케피코의 존재감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지난 16일 PT Dat 모빌리티 시스템(PT DAT Mobility Systems)을 통해 PLN 아이콘 플러스(PNL Icon Plus)와 '전기차 생태계 조성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현지 운송 분야 녹색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를 토대로 현지 전기차 생태계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특히 PNL 아이콘 플러스는 전기차 기술 관련 현대케피코의 경험을 높게 샀다. PT Dat 모빌리티 시스템은 전기오토바이 배터리 서비스 제공을 위해 설립한 현대케피코 컨소시엄이다. PNL 아이콘 플러스는 인도네시아 국영전력공사 페루사한 리스트릭 네가라(PT Perusahaan Listrik Negara, PT PNL) 자회사이다. 이날 양해각서 체결식 김영근 PT DAT 모빌리티 시스템 대표와 아리 라흐마트 인드라 카야디(Ari Rah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계열 자동차 전자제어시스템 전문기업 현대케피코가 인도네시아 전력공사(PT PNL)와 함께 인도네시아에 전기 이륜차를 공급한다. 배터리 기반 전기자동차(KBLBB)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는 각오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케피코는 지난 19일 PT PNL 본사 강당에서 열린 '마이크로 모빌리티 에코 시스템 쇼 케이스'(Micro mobility eco system show case) 행사에서 PNL과 만나 인도네시아 전기차 제조 및 인프라 구축 관련 상호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전기 모터 제조와 배터리 교환 스테이션 등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하기로 한 것. 일단 KBLBB 보급 확대를 위한 비즈니스 모델을 토대로 1년 2개월 동안 전기 이륜차 100대를 현지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일반 이륜차 1000대를 전기 이륜차로 전환하는 작업도 병행하기로 했다. 생산 방식에 대해서는 현재 검토 중인 단계로 공장 설립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늘어나는 차량과 이륜차 운행 때문에 주요 도시를 중심으로 심각한 대기오염 문제를 겪고 있어 정부 주도의 탄소 감축 정책을 펼치고 있다. 내연기관을 전동화 차량으로 전환하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 전 사장이 테슬라가 전기차 시장을 주도할 수 있었던 핵심 요인으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주도한 실물 기반 제품 회의를 꼽았다. 수치를 담은 프레젠테이션 대신 실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직접 만지며 평가하는 방식이 빠른 피드백과 조직 내 긴장감을 동시에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국 IT 전문 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테슬라의 전 글로벌 세일즈·서비스 총괄 사장이자 현재 제너럴모터스(GM) 이사회 멤버인 존 맥닐은 최근 보스턴에서 열린 'TC 올 스테이지' 행사에서 "첫 번째 규칙은 슬라이드를 금지하는 것이었다"며 "우리는 항상 실제 제품을 검토해야 했다"고 밝혔다. 이어 "매주 고위 임원들과 제품 책임자들이 모여 프로토타입이든 하드웨어든 직접 만지고 작동해보며 진척 상황을 점검했다"며 "이런 문화가 조직에 긴장감을 주고 매주 진척과 혁신이 이어지게 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 CEO의 회의 운영 철학은 애플 창업자 고(故) 스티브 잡스의 조언에서 비롯됐다. 맥닐은 "머스크가 잡스를 찾아가 '하드웨어 비즈니스를 시작하려 한다. 한 가지 조언만 해달라'고 하자, 잡스는 '완벽한 제품을 만
[더구루=김은비 기자] 유럽 전기차 충전 인프라 업체 알피트로닉(Alpitronic)이 미국 충전 시장에서도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다. 테슬라에 이어 미국 내 두 번째로 큰 충전 하드웨어 공급업체로 떠오르며 업계 판도를 흔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충전 분석업체 파렌(Paren)에 따르면 알피트로닉은 지난 상반기(1~6월) 미국 급속 충전소 점유율 12%로 2위를 차지했다. 1위는 테슬라다. 점유율 36%를 기록했다. 3, 4위 차지포인트(ChargePoint)와 BTC파워였다. 점유율은 각각 9%, 8%로 집계됐다. 알피트로닉은 월마트·벤츠·아이오나 등 주요 파트너와 잇따라 계약을 체결하며 빠른 속도로 시장을 확장해온 것이 점유율 확대에 주효했다. 특히 GM·현대차·토요타 등이 참여한 초고속 전기차 충전 연합체 ‘아이오나(Ionna)’가 ‘프리미엄 EV 충전소’ 콘셉트인 ‘리차저리(Rechargery)’에 알피트로닉(alpitronic)의 ‘HYC 400’ 모델만을 단독 도입했다. 알피트로닉은 2023년 알피트로닉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샬럿에 본사 및 생산 거점을 두고 있는 이탈리아 볼차노(Bolzano) 기반의 전력전자 전문 기업이다. 최근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