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CJ푸드빌 베이커리 브랜드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에서 동반성장을 토대로 한 현지화를 강화하고 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CJ 인도네시아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센트럴파크 뚜레쥬르점에서 코트라(KOTRA) 자카르타와 마눙갈(Manunggal) 커피 협동조합과 구윱 산토소(Guyub Santoso) 초콜릿 협동조합과 함께 OVOP(One Village One Product, 1촌 1품)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날 행사에는 신희성 CJ 인도네시아 대표와 고현득 CJ푸드빌 법인장과 바구스 라흐만 인도네시아 중소기업청 국장, 레오나르디 협동조합개발본부장, 이종윤 코트라 자카르타무역관장 등이 참석했다. OVOP 행사는 고품질 제품 생산과 좋은 마케팅으로 판매를 확대할 수 있다는 취지로 진행된다. 고 법인장은 "뚜레쥬르 인도네시아가 코코아농협에서 공급받은 초콜릿으로 제품을 개발해 판매했다"며 "이번에는 제품 제조기술뿐 아니라 제품 판매 방법에 대한 마케팅과 관리 등 전반적인 사업운영에 대한 교육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교육은 CJ 푸드빌 인도네시아가 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강조했다. 이종윤 코트라 자카르타
[더구루=길소연 기자] CJ 비비고 미국 레스토랑이 철수한 자리에 일본 라멘집이 들어선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라멘집 '실버레이크 라멘(Silverlake Ramen)'이 오는 7월 CJ 비비고 레스토랑이 있던 미국 샌디에이고 패션 벨리(Fashion Valley) 몰에 신규 매장을 오픈한다. 실버레이크 라멘은 지난 2012년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리스 선셋 보우레바드에서 소규모로 사업을 시작했다가 2017년 LA와 오렌지 카운티 전역으로 라면가게를 확장했다. 이후 프랜차이즈 사업을 워싱턴과 텍사스, 조지아로 영역을 넓혀왔다. 이번 샌디에이고 비비고 레스토랑이 있던 자리에 라멘집을 오픈한다. 닭고기 기반 소유에서 마늘 트러플, 채식주의자 메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라멘을 제공하는 실버레이크는 부드러운 돼지고기 국물이 특징인 매운 돈코츠 라멘인 더 블레이즈(The Blaze)와 돼지뼈, 해물로 우려낸육수에 찍어먹는 츠케멘이 유명하다. 라면 외 치킨 등 다양한 전채요리가 있다. CJ는 지난달 한식 레스토랑 '비비고 키친' 미국 로스앤젤레스(LA)점을 폐점하면서 미국 오프라인 레스토랑 사업을 전면 철수했다. 코로나19에 따라 레스토랑을 철수하고, 미국 자회사 슈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한국음식은 무엇일까? 일본 1위 오픈마켓 아마존 재팬에서 쉽게 즐길 수 있는 한국음식 추천 15선이 공개됐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아마존재팬은 쉽게 즐길 수 있는 한국음식 1위로 농심 너구리를 뽑았다. 너구리의 별점은 5점 만점에 4.5점으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일본 소비자는 "쫄깃한 국수 면발에 양도 적당하다"며 "소량의 야채와 계란을 넣어 먹으면 맛있다" "매운맛과 라면의 맛이 조화롭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위는 농심 짜파게티가 차지했다. 고소한 향기와 중독성 있는 맛으로 인기를 끌었다. 특히 1, 2위를 차지한 너구리와 짜파게티는 영화 '기생충'에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가 나오면서 판매가 급증했다. 실제 이들 라면을 산 일본 소비자들은 아마존 구매평으로 "기생충 영화를 보고 짜파구리 매력에 빠졌다" "매운맛과 고소한 맛이 어우러져 맛있다"는 평을 남겼다. 그러면서 짜파게티 평점으로 4점을 줬다. 3위는 매운맛 챌린지로 유명해진 삼양식품 불닭볶음면이다. 일본에서도 매운라면 먹방 챌린지가 인기를 끌면서 불닭볶음면을 찾는 이가 급증했다. 불닭볶음면은 오리지널 불닭볶음면 외 치즈불닭볶음면,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에서 불고 있는 케이팝(K-POP)과 K-뷰티 열풍에 K-베이커리도 가세했다. 국내 1·2위 제빵 프랜차이즈인 파리바게뜨와 CJ 뚜레쥬르가 갓구운 신선한 빵 등 한국식 베이커리로 미국 소비자의 입맛을 홀리고 있다. 특히 양사는 미국 시장 확대를 위해 신규 출점과 신제품 출시로 브랜드 인지도 제고에 적극적이다. ◇파리바게뜨, 출점 속도10년 내 1000호점 오픈 16일 업계에 따르면 SPC 파리바게뜨는 미국에서 신규 출점에 가속 페달을 밟고 있다. 텍사스주와 오하이오주에 이어 콜로라도에도 신규 매장을 내고 미국 고객 접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파리바게뜨 미국법인은 내년 콜로라도 윈터파크에 '콜로라도 1호점'을 연다. 신규 매장은 윈터파크에 새로 건설되는 쇼핑몰 내 232㎡ 면적으로 오픈한다. <본보 2021년 6월 15일 참고 파리바게뜨, 美 콜로라도 1호점 출점…내년 윈터파크에 오픈> 이보다 앞서 신시내티 1호점을 출점하기 위해 중국계 미국인 레스토랑이자 멀티브랜드 프랜차이즈 '아이 린'(Ai Lin)과 가맹 계약을 체결했다. 미국 신시내티에 1호 매장으로 오하이오주 시장 공략에 나설 계획이다. <본보 20
[더구루=길소연 기자] CJ의 베트남 사료법인인 CJ비나아그리(Vina Agri)가 베트남 수생 사료 사업에 진출한다. 이를 위해 베트남 안장성(An Giang)의 양식육종연구센터와 양식 산업 발전을 위해 전략적 협력 체제를 구축, 사료 사업 범위를 축산에 이어 수생종으로 확대한다. ◇수생 양식 사료 사업 진출 15일 업계에 따르면 CJ비나아그리는 베트남 안장성 벤륵지구 CJ비나아그리 본사에서 안장양식육종센터(AFB)와 양식산업 발전을 위해 전략적 업무 협약(MOU)를 체결했다. 이날 체결식에는 강민수 CJ비나아그리 사료산업부장과 김정현 연구개발(R&D)센터장이 참석했다. AFB에서는 쩐 풍 호앙 뚜언(Tran Phung Hoang Tuan) 국장과 쩐 딱 마우(Tran Dac Mau) 부국장이 자리했다. 양측은 이번 MOU를 토대로 베트남 양식산업 발전 촉진과 농가 발전에 동반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양측은 포괄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 민물 수생종에 대한 공동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CJ비나아그리는 AFB의 인프라를 활용해 사료를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협력으로 CJ의 사료 사업은 물론 축산업에 이어 수생종으로 확대된다. CJ비나아그리 강 부
[더구루=홍성일 기자] 핀란드 연구진이 양자컴퓨터의 핵심인 큐비트(qubit)를 안정적으로 더 오래 유지하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향후 수백, 수천개 큐비트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다가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업계에 따르면 핀란드 알토대학교 연구팀은 트랜스몬(transmon) 큐비트의 결맞음 시간(coherence time) 1.02밀리초(ms)를 기록했다. 알토대 연구팀의 기록은 기존 최고 기록(0.6ms)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결과다. 트랜스몬 큐비트는 기존 반도체 제조 기술을 활용해 만든 초전도 회로를 말한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7월호에 게재됐다. 알토대 연구팀은 그동안 큐비트의 결맞은 시간을 더욱 장시간 유지하는데 집중해왔다. 결맞음 시간은 양자컴퓨터의 연산 단위인 큐비트가 양자 상태를 유지하며 계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으로, 결맞음 시간이 길수록 양자 연산 오류 발생 가능성이 줄어들 뿐 아니라 더 많은 큐비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큐비트의 양자중첩 상태가 붕괴되는 '결어긋남(decoherence)'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통제된 클린룸에서 큐비트를 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가 현지 소형 원전 스타트업인 라스트에너지(Last Energy)와 합의 절차에 돌입했다. 소형모듈원자로(SMR) 인허가 권한 일부를 주정부에 이관하고 관련 절차를 간소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NRC의 규제 권한이 약화될 경우, 차세대 원전인 SMR 시장에 상당한 파장이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29일 E&E뉴스 등 외신에 따르면 전 NRC 고위 관계자는 "NRC와 라스트에너지가 주정부에 SMR 사업에 대한 허가 권한을 일부 넘기는 방식으로 합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양측은 미국 텍사스동부지방법원에서 SMR 규제 문제를 다퉈왔다. 원고인 라스트에너지, 미 유타·텍사스 주정부는 1956년에 제정된 'AEC(NRC의 전신) 규정'을 문제 삼았다. 해당 규정은 모든 민간 상업용 원전이 규모와 상관없이 무조건 인허가를 받아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원고 측은 NRC의 규정이 자국 원자력법의 취지를 무시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원자력법에 따라 △국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을 미칠 정도록 많은 핵물질을 사용하거나 △공공의 건강과 안전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상업용 원전만 NRC의 인허가 대상이라는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