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다정 기자] CJ대한통운이 말레이시아 택배 사업을 접는다. 현지 물류사업 통합 과정과 적자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차원으로 택배 차량 자산을 매각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CJ대한통운은 현지 택배회사인 피전 익스프레스(Pgeon Express)와 자산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에 따라 CJ대한통운은 피전 익스프레스에 1톤 트럭인 상용차 326대를 매각한다. 매각 금액은 비공개했다. 또한 피전은 CJ대한통운의 일부 지점을 인수한다. 이번 계약은 올해 말 완료될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이 상용차 매각에 나선 데에는 미래 수익성을 위한 현지 물류사업 통합 과정과 적자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차원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해 CJ대한통운은 말레이시아 현지법인과 2016년 인수한 CJ센추리를 통합해 말레이시아 및 동남아시아 물류 사업에 가세했다. CJ센추리가 CJ대한통운 말레이시아 법인의 지분 100%를 인수하는 구조였다. 당시 통합법인은 말레이시아 전국 56개소에 국제규격 축구장 56개와 맞먹는 40만3000㎡(12만1000평) 규모의 물류센터, 1500여명의 물류 전문인력과 1000여대의 차량 및 장비를 운영했다. 하지만 CJ센추리의 택배 사업이
[더구루=김다정 기자] CJ대한통운이 잇따라 미국에 대규모 물류 기지를 확보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고 있다. 올해 초 일리노이주(州) 시카고 인근에 이어 조지아주 애틀랜타에도 축구장 13개에 달하는 물류시설을 임대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의 미국 통합법인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는 미국 애틀랜타 시내에서 남쪽으로 약 37마일 떨어진 로커스트 그로브 유통 센터의 물류창고를 임차했다. 건물주인 매뉴라이프투자운용과 10년 풀빌딩 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임대료 등 계약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CJ로지스틱스 아메리카가 임차한 물류창고는 전체면적은 약 9만2903㎡(100만ft²)로 축구장 13개 규모에 달한다. 이 건물은 최근 건설된 클래스 A 산업시설로, 전용 출입구, 36피트 높이, 트레일러 주차장 및 146개의 도크 도어를 가지고 있다. 최근 CJ로지스틱스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확산 이후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소비가 급증하면서 잇따라 물류센터 추가 확보에 나섰다. 앞서 지난 2월 미국 부동산 개발업체 벤처원과 미국 일리노이주 채나혼 소재 물류창고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임차한 물류창고의 전체면적은 9만2913㎡로 축구
[더구루=길소연 기자] CJ대한통운이 말레이시아 핵심계열사인 CJ센추리 로지스틱스의 택배 사업부를 인수한다. 현지 물류사업 통합 과정과 적자 사업에 대한 구조조정 차원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 아시아는 CJ센추리의 택배 사업부문에 대해 조건부 인수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CJ센추리는 CJ대한통운 100% 자회사인 CJ대한통운 아시아에 말레이시아 택배 서비스 사업 지분 100%를 매각한다. 매각 규모는 750만 링깃(약 20억1637만원). CJ센추리는 자료를 통해 "센추리 로지스틱스 말레이시아 택배 사업자 주식을 CJ대한통운아시아에 매각하기로 한 것은 미래 수익성을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CJ센추리의 택배 사업은 최근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2018년 720만 링깃(20억원) 적자에 이어 2019년(1800만 링깃), 지난해 3220만 링깃(약 100억원) 등 적자폭이 확대되고 있다. 앞서 CJ센추리는 지난해 5월 CJ대한통운 말레이시아 법인과 통합법인을 출범했다. <본보 2020년 5월 7일 참고 CJ대한통운 말레이시아 통합법인 'CJ센추리', 오는 28일 최종 결정> 통합법인은 말레이시아 전역에 축구장 56개 규모의
[더구루=김예지 기자] 영국 항공사 버진 애틀랜틱(Virgin Atlantic)이 장거리 노선 전 기종에 스페이스X(SpaceX)의 스타링크(Starlink) 기반 무료 기내 와이파이를 도입한다. 이는 영국 항공사로는 처음으로 스페이스X와 파트너십을 체결한 사례다. 버진 애틀랜틱은 스타링크 와이파이를 활용해 프리미엄 고객 경험 강화에 나선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현지시간) 항공 전문 매체 아비아시온라인(Aviacionline)에 따르면 버진 애틀랜틱은 오는 2027년까지 장거리 운항 전 기종에 스타링크 위성 기반 와이파이를 도입한다. 이 와이파이는 저궤도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활용한 무선 인터넷이다. 항공기 내에서도 영상 통화, 스트리밍, 업무 활용이 가능한 수준의 속도를 지원한다. 특히 해당 서비스는 전 좌석 등급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이번 투자 계획은 버진 애틀랜틱의 고객 경험 개선 전략의 일환이다. 이외에도 버진 애틀랜틱은 보잉 787-9(Boeing 787-9) 기종의 객실을 최신 사양으로 전면 교체하고 프리미엄 좌석 비중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런던 히드로와 뉴욕 JFK 공항의 라운지 개편, 오픈AI와의 인공지능(AI) 기반 서비스 도
[더구루=오소영 기자] 현대로템의 K2 전차 추가 수출이 확정되며 한국이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회원국의 핵심 방산 파트너로 부상했다. 빠른 납기와 현지화를 앞세워 프랑스와 독일 같은 전통적인 방산 수출국의 자리를 대체하고 유럽의 수요를 충당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영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는 8일(현지시간) K2 전차 수출로 한국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급국임을 입증했다고 평가했다. 안보 위기가 고조되는 시기에 나토의 기존 전력과 호환될 수 있는 최신 장비를 납품하며 유럽에서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한 K2 전차 수출을 한국과 폴란드 모두에 '윈윈(Win-Win)'이 되는 미래 방산 파트너십의 '좋은 선례'로 평가했다. 벤카테쉬 칸들리카르(Venkatesh Kandlikar) 항공우주·방산 애널리스트는 "추가 계약 발표는 양국 관계를 더욱 심화하고 폴란드의 기갑 전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폴란드는 즉각적인 전투 능력을 확보했으며, 한국은 신뢰할 수 있는 전략적 파트너로 입지를 굳히게 됐다"고 강조했다. 유럽이 호평하는 한국의 주요 경쟁력은 현지화다. 현대로템은 폴란드 2차 수출 물량 180대 중 63대를 현지 국영 방산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