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KCC가 글로벌 실리콘 기업인 '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스(MPM)'의 잔여 지분 인수를 마쳤다. 지분 100%를 확보해 시너지를 도모하고 지난해 약세를 보였던 실리콘 사업의 실적 회복에 나선다. 16일 KCC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14일 사모투자 합작회사 'MOM PEF'가 보유한 모멘티브 지분 4만941주 인수를 완료했다. 지난 3월 사모펀드 운용사인 SJL파트너스와 주식 매매 계약을 맺은 후 약 두 달 만이다. KCC는 MPM의 모기업인 모멘티브 홀딩스의 지분 60%를 갖고 있다. 남은 지분 40%는 MOM PEF가 소유한다. MOM PEF는 KCC 49.8%와 기타주주 50.2%의 지분으로 구성되는데 KCC는 기타주주분을 이번에 매입한 것이다. 잔여 지분 인수에 든 비용은 4050억원가량이다. KCC는 2019년 MPM 지분 매입 당시 컨소시엄 파트너인 SJL파트너스에 미국 증시 상장을 약속했었다. MPM 인수 후 5년이 지난 시점인 올해 5월을 데드라인으로 잡았다. 뉴욕거래소 상장을 통해 SJL이 지분 엑시트(시장 매각)에 성공하고 수익을 얻도록 하겠다는 전략이었다. 작년 8월 씨티글로벌마켓증권과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내년 2분기 가동 예정인 KCC글라스 인도네시아 공장이 완공도 되기 전에 중국 최대 빌딩 자재 기업에 건축용 유리를 공급하는 계약을 성사시켰다. 이번 계약으로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는 정몽익 회장의 전략에도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KCC글라스 인도네시아법인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자카르타에서 열린 '자카르타·상하이 해외투자 심포지엄'에서 중국 최대 빌딩 자재 기업인 중국건축재료집단유한공사(CNBM) 산하 태양광 사업부문 법인 CTIEC와 판유리 공급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중국 국영기업인 CNBM그룹은 현재 300개 넘는 제조시설과 계열사를 보유한 현지 최대 빌딩 자재 기업이다. 국내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과 프랑스 아반시스가 합작해 설립한 아반시스 코리아를 인수했다. KCC글라스는 CNBM과의 협력으로 완공에 앞서 안정적인 판매처를 확보하게 됐다. KCC글라스는 지난 2021년 인도네시아 중부 자바 바탕 산업단지 내에 총 46만 ㎡(약 14만평) 규모의 신규 유리 공장을 착공했다. 해당 공장은 2024년 2분기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완공 시 하루 생산량만으로 63빌딩을 두 겹으로 두
[더구루=오소영 기자] KCC의 미국 자회사 모멘티브 퍼포먼스 머티리얼즈(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이하 모멘티브)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박차를 가한다. 2025년까지의 로드맵을 발표하고 유엔 글로벌 컴팩트(UNGC)에도 가입했다. 모멘티브는 23일 지속가능 경영 전략을 담은 'ESG 책무(Commitment)'를 발표했다. 사람과 제품, 지구 등 세 분야로 나눠 2025년까지 달성할 세부 목표를 담았다. 모멘티브는 직원들의 성별 다양성을 50% 향상시키고 2023년까지 성별 임금 평등 여부를 평가한다. 2025년까지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제품 비중을 75%로 높이고 지속가능성 표준을 마련해 신제품 출시에 반영하도록 한다. 환경 측면에서도 △온실가스와 유해 폐기물 등을 25% 줄이고 △재생에너지 공급 비중을 50%로 높이며 △물 소비량을 10% 감축한다. 모멘티브는 UNGC의 회원국으로도 활동한다. UNGC는 2000년 7월 발족한 UN 산하 자발적 기업 시민 이니셔티브다. 기업 활동에 있어 인권·친환경·노동·차별 반대·반부패 등의 10대 원칙 준수를 핵심으로 삼고 있다. 전 세계 157개국 1만4000여 개 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마이크론과 인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반도체 회사들이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 매출도 2029년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뉴욕과 아이다호주에 반도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약 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번 투자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은 2% 미만에서 2035년 약 10%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은 투자 대가로 지난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61억6500만 달러(약 8조94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버지니아주 마나사스에 위치한 D램 생산시설의 확장을 추진하며 최대 2억7500만 달러(약 4000억원)도 추가로 수령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미국 내 유일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사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했다. 엔비디아의 AI GPU(H200)에 HBM3E를 공급하면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있다.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HBM 투자에 따른 추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이 속도가 나질 않고 있다. 애플은 보급형 버전 개발을 연기하는 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좀체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소프트웨어 구독 플랫폼 셋앱(Setapp)에 따르면 개발자 중 3%만이 비전프로용으로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 있다. 50%의 개발자는 비전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 자체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다. 셋앱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의 개발자는 비전프로용 앱 개발 계획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신 60%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AI) 기능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다소 비싼 가격, 미성숙한 생태계 등으로 판매가 미비한 상황이다. 블룸버그 IT전문 기자 마크 거먼에 따르며 비전프로는 출시된 이후 50만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심지어 구매자들조차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플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초광각을 지원하는 비전OS 2.2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상황을 역전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올해 말 비전프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