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롯데케미칼이 인도네시아 투자관리청과 '라인(LINE) 프로젝트'의 지분 매각을 논의하고 있다. 석화 제품 수입 의존도가 큰 인도네시아는 안정적으로 기초 유분을 확보하기 위해 라인 프로젝트 지분 인수를 적극 검토하고 있다. 특히 신동빈 롯데 회장이 직접 지분 인수를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에게 제안, 거래가 성사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국부 펀드, 2.5조 규모 '라인(LINE) 프로젝트' 지분 인수 추진 28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케미칼은 인도네시아 국부펀드 BPI 다난타라(BPI Danantara)와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LCI) 지분 매각을 놓고 협의 중이다. BPI 다난타라는 지난 2월 출범된 인니 국부펀드로, 국가 전략적 투자와 국유 자산 관리를 통해 경제 성장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로산 로에슬라니(Rosan Roeslani) BPI 다난타라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대통령궁에서 프라보워 수비안토 인도네시아 대통령에게 "BPI 다난타라가 롯데케미칼과 칠레곤 석유화학 프로젝트의 지분 25~30%를 인수하기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지분 인수 규모와 자금 조달 구조, 협상 시작 시점은 검토중"이라고 보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미국 내 낸드플래시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북미 생산 거점을 확보해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키옥시아가 미국에서 낸드 생산라인을 구축할 경우 SK하이닉스 입장에서는 지분 가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미국 내 공급 확대가 낸드 시장 경쟁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데이비드 김 한화필리조선소 대표가 내달 북미 최대 조선·해양 박람회에서 패널 토론자로 참석한다.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으로 재탄생한 필리조선소를 기반으로 미국 조선업 부활의 해법과 양국 파트너십의 미래를 조명한다. 미국이 자국 조선업 보호를 위해 만든 존스법과 현지 공급망 등 주요 현안을 아우르며 통찰력을 공유할 예정이다. 28일 한화필리조선소에 따르면 김 대표는 내달 3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열리는 '국제 워크보트 쇼(International WorkBoat Show, 이하 IWBS)'에 참가한다. IWBS는 뉴올리언스에서 1970년부터 매년 개최된 세계적인 해양 산업 박람회다. 조선소와 해양 장비 업체, 해양 엔지니어링 기업 등 1000여 개 기업과 업계 전문가 수천 명이 찾는다. 김 대표는 3일 오전 11시 메인 무대에서 열리는 패널 토론에 참석한다. 주제는 '해양 협력 : 글로벌 조선 파트너십을 통한 해군력 강화(Collaborating Across Oceans: Building Naval Power Through Global Shipbuilding Partnerships)'로 김 대표와 함께 캐나다 조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물산과 씨에스윈드가 방한한 베트남 TTVN 그룹과 만났다. 빈룽성을 중심으로 재생에너지 사업 개발을 검토하고 풍력타워 공급도 모색했다. 에너지 전환을 추진 중인 베트남에서 활발히 사업을 발굴한다. 27일 TTVN 그룹에 따르면 당 쭝 끼엔(Dang Trung Kien) 회장과 루 꽝 응오이(Lu Quang Ngoi) 빈룽성 인민위원회 위원장은 지난달 27~30일 방한했다. 서울 강동구 상일동 소재 삼성물산 사옥을 방문해 건설부문 사업 담당자들과 만났다. 주요 사업을 소개하고 베트남 재생에너지 시장에서 협력 기회를 포괄적으로 검토했다. 이어 씨에스윈드를 찾아 풍력타워 기술을 확인했다. TTVN이 추진 중인 빈룽성 인근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풍력타워를 공급받을 방안을 살폈다. TTVN 그룹은 빈룽성 쯔엉롱호아와 동하이 해상 인근에 4개의 풍력발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11조동(약 6100억원) 이상 투자해 지난 9월 V1-2와 동하이 3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우선 착수했다. 일본 최대 규모 건설회사 쿠마가이구미, 도쿄가스와 각각 협력해 2026년 4분기 완공을 목표로 해상풍력(각 48㎿)을 설치한다. 남은 2개의 프로젝트도 진행해 빈룽성
[더구루=오소영 기자] 팬오션이 한국동서발전의 발전용 유연탄 수송 입찰을 따냈다. 벌크선의 운임이 상승세인 가운데 스폿 물량을 확보해 고수익을 창출한다. 27일 인도 시장조사업체 빅민트에 따르면 팬오션은 동서발전과 스폿성 유연탄 화물 운송 계약을 체결했다. 8만DWT급 선박을 투입해 인도네시아 탄중에서 석탄발전소가 있는 당진까지 유연탄을 운반한다. 운임은 DWT당 10.08달러로 추정된다. 스폿 계약은 운임 상승 시기 높은 수익을 거둘 수 있는 수단이다. 최근 벌크선 운임지표인 발틱운임지수(BDI)는 심상치 않다. 올해 1월 715까지 떨어진 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손익분기점인 1300을 돌파해 지난 25일 기준 2309를 기록했다. 팬오션은 운임 강세 흐름과 맞물려 스폿 계약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팬오션은 과거 범양상선 시절부터 유연탄 해상운송을 추진했다. 한국남동발전과 동서발전, 중부발전, 서부발전 등 한전 발전 자회사들과 장·단기 화물 운송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 2월에도 남동발전과 1906억원 규모 발전용 유연탄 장기 화물 운송 계약을 맺었다. 팬오션은 잇단 계약으로 발전용 연료 도입에 기여하며 벌크선 사업을 키
[더구루=정예린 기자] 스웨덴 볼보그룹 트럭 사업 계열사 '르노트럭'이 최대 600km를 달리는 차세대 전기 트럭 'E-테크' T시리즈 신형 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SDI 배터리가 탑재된 이번 모델은 고에너지밀도·안정성을 기반으로 대형 상용 전기차 시장에서 삼성SDI의 존재감을 확대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연방 정부가 스텔란티스와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배터리 합작사 '넥스트스타 에너지(이하 넥스트스타)'에 대한 보조금을 근거로 스텔란티스를 압박하고 있다. 넥스트스타는 직접적인 피해를 받지 않지만, 파트너사인 스텔란티스와 정부 간 갈등 심화로 간접적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루마니아가 차세대 보병전투장갑차(IFV)로 독일 라인메탈의 링스를 선정했다는 보도를 정정했다. 라인메탈의 장밋빛 전망과는 뚜렷한 입장 차이를 드러내면서 사업자 선정이 아직 열려있다고 분명히 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레드백도 유력 후보로 검토하며 막판까지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일본의 방사능 피폭 연구 권위자를 초청해 임직원 대상 교육을 실시했다. 최근 반도체 사업장에서 반복되는 방사선 노출 사고를 계기로 내부의 안전 의식을 높이고 관리 체계를 보완하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27일 일본 국립 히로사키대학교에 따르면 히로사키대 피폭의료종합연구소의 토코나시 신지(床次眞司) 교수는 지난 20일 경기 화성시에 위치한 삼성전자 부품연구동(DSR)에서 방사성 물질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했다. 강연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약 130명이 참석했다. 히로사키대는 일본 내에서도 방사선·피폭 의학, 환경 방사선 영향 연구로 특화된 국립대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 정부·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하며 피폭 의료와 방사선 안전 분야 연구를 지속해온 기관으로도 알려져 있다. 토코나시 교수는 방사선 노출과 건강 영향, 피폭량 평가 등에서 연구 경험이 풍부해 일본 내 관련 교육·자문 활동에도 참여하는 전문가다. 삼성전자는 반도체 공정에서 방사선 기반 장비를 다수 운용하고 있어 직원들의 안전관리 역량을 높이는 교육이 필수적이다. 이번 강연도 이러한 공정 특성과 위험 요소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캐나다 비영리기관인 캐나다 아시아태평양재단(APF Canada)이 방산 원탁회의를 연다. 한국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고자 양국 정부·산학계 인사들이 다같이 모여 토론하는 시간을 갖는다. 약 60조원 규모 캐나다 잠수함 사업을 비롯해 주요 현안이 논의 테이블에 오르며 방산 동맹에 뜻을 모으는 자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27일 캐나다 아시아태평양재단에 따르면 내달 8일(현지시간) 캐나다 벤쿠버에서 주벤쿠버 대한민국 총영사관과 공동으로 토론회를 연다. 행사 주제는 '미래 개척: 국방 협력을 통한 캐나다-대한민국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 관계 강화(December 8: Forging the Future: Strengthening the Canada-Republic of Korea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Through Defence Co-operation)'로, 김태곤 방위사업청 국제협력관과 라비 싱(Ravi S. K. Singh) 캐나다 국방산업전략국장, 알렉스 린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 교수가 참석한다. 이번 토론회는 양국 정부와 산학계 관계자들이 모여 방산 분야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협력을 촉진하는 자리가
[더구루=정예린 기자] 기아의 전기차 'EV6'가 독일에서 30만km 이상 택시 운행을 마친 뒤에도 배터리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한 사례가 소개됐다. 장거리 실사용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능 신뢰도가 입증, 유럽 전기택시 시장에서 기아의 브랜드 경쟁력이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26일 전기차 전문 유튜브 채널 '일렉트로베이스(ELEKTROBAYS)'에 따르면 독일 함부르크에서 택시를 운행을 하는 이브라힘(Ibrahim)은 약 4년 전부터 기아 EV6 후륜구동 모델(RWD)을 사용한 경험을 공유했다. 채널 운영진은 30만km 이상 주행한 차량을 점검하며 실제 운행 환경에서 EV6가 보여준 내구성과 성능을 확인했다. 이브라힘은 함부르크시의 적극적인 전기택시 전환 지원 정책과 디젤 가격 상승 등을 고려해 EV6를 선택했다. EV6는 충전 속도와 1회 충전 주행거리, 넉넉한 실내공간에서 택시 운행에 필요한 조건을 충족했다는 설명이다. 채널 운영자들은 아빌로(Avilo) 장비를 활용해 배터리 상태를 측정했다. 측정 결과 해당 차량은 30만km 이상 주행 후에도 배터리 상태(SOH)가 약 85%를 유지하고 있었다. 차량은 여전히 최대 250kW 수준의 급속충전 성능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화오션이 폴란드와 캐나다에 이어 그리스에서 잠수함 수출을 추진한다. 그리스 국방참모총장과 해군참모총장 등 군 고위 인사들과 연쇄 미팅을 갖고 장보고-Ⅲ(KSS-III) 배치-II를 알렸다. 차세대 잠수함 프로그램의 참여 의지를 드러내고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다. 정승균 한화오션 특수선해외사업단장(부사장)은 지난 21일 소셜미디어 '링크드인'에서 디미트리오스 추피스(Dimitrios Choupis) 그리스 국방참모총장과의 회동 소식을 전했다. KSS-III를 소개하고 그리스의 차세대 잠수함 프로그램에 대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어 디미트리오스 카타라스 해군참모총장, 게오르기오스 파누시스 그리스 합동참모본부 제6국 국장을 비롯해 현지 방산 업계 인사들과 만나 한화의 잠수함 기술을 알렸다. 정 부사장은 "이번 방문이 그리스와 더욱 긴밀히 협력하는 시작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소회를 남겼다. 그리스는 최소 4척의 잠수함을 조달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5월 주요 조건으로 △국내 산업 25% 이상 참여 △공기불요추진체계(AIP)·리튬이온 배터리 탑재 △대함·대지 미사일 운용 능력 △무인체계 통합 등을 제시했다.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
[더구루=길소연 기자] 엔비디아 고위 임원이 창업해 '중국판 엔비디아'로 불리는 중국 인공지능(AI) 칩 개발업체 무어스레드(摩尔线程·Moore Threads)가 중국 최초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상장주가 되기 위해 기업공개(IPO) 흥행을 도모했다. 공모주 청약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은 무어스레드는 공모 금액을 확보하고, 상장에 속도를 낸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키옥시아가 미국 내 낸드플래시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는 소식이 나왔다. 북미 생산 거점을 확보해 급증하는 인공지능(AI) 수요에 대응,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일각에서는 키옥시아가 미국에서 낸드 생산라인을 구축할 경우 SK하이닉스 입장에서는 지분 가치 상승 요인이 될 수 있지만, 미국 내 공급 확대가 낸드 시장 경쟁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존재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