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SK실트론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영국 반도체 소재 회사 IQE가 대만 자회사 매각을 검토 중이다. 최근 실적 부진과 시장 회복 지연으로 인한 재정적 어려움이 배경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IQE에 따르면 대만 자회사 전액 매각을 포함한 모든 전략적 옵션을 검토중이다. IQE는 지난 7월 대만 자회사의 소수 지분 매각을 통해 대만 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반도체 업계 전반의 수요 부진이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려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IQE는 올해 전체 매출이 전년 대비 큰 변동 없이 약 1억1500만파운드(약 1950억원) 수준에 머물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업계 전반의 침체 영향으로 상황이 변했다. 매출 성장이 제한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IQE는 500만파운드(약 88억원) 이상의 조정 상각전영업이익(EBITDA)을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IQE가 대만 자회사를 매각하게 되면 SK실트론 공급망에도 영향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양사는 2022년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개발 및 상용화를 위한 협력 계약을 체결,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실리콘카바이드(S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실트론이 미국 정부로부터 약 7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대출 지원을 최종 확보했다. 자국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달려 온 바이든 행정부가 잔여 임기 2개월여를 남기고 SK실트론을 통해 기업 우호 정책의 '마침표'를 찍었다. 13일 SK실트론에 따르면 미국법인 SK실트론CCS는 지난 5일(현지시간) 미국 에너지부(DOE)와 4억8150만 달러(약 6772억원) 규모 대출을 위한 본계약을 체결했다. 올 2월 조건부 승인을 따낸지 9개월여 만이다. 대출금은 원금 4억8150만 달러와 이자 6250만 달러, 총 5억4400만 달러(약 7633억원)다. 미 정부가 내건 구체적인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다. 기업의 기술력은 물론 △법적 △환경적 △재정적 요건을 두루 갖춰야만 승인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업계 관계자는 "조건부 승인을 받고 나서 최종 계약에 실패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며 "SK실트론이 미 정부가 요구하는 조건을 제대로 이행하고 합격점을 받았기 때문에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SK실트론은 에너지부의 '첨단기술차량제조(ATVM) 프로그램'을 통해 얻은 대출금을 미시간주 베이시티에 위치한 실리콘 카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미시간주가 최재원 SK그룹 수석부회장과 만나 배터리·반도체 공급망 구축을 위한 '러브콜'을 보냈다. SK그룹이 또 한번 대규모 투자를 단행, 북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지 주목된다. 11일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 주지사실에 따르면 휘트머 주지사를 포함한 미시간주 경제 사절단은 지난 7일 최 수석부회장과 회동해 협력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석희 SK온 대표이사(사장) △이용욱 SK실트론 대표이사(사장) △성민석 SK온 최고사업책임자(COO) 등 주요 경영진이 동석했다. 최 부회장은 이날 휘트머 주지사와의 인연을 언급하며 SK그룹 차원에서 현지 투자에 적극 협조할 것임을 시사했다. 양측은 우선 미시간주에 거점을 두고 있는 SK실트론을 중심으로 한 반도체 제조업 육성에 뜻을 모았다. SK실트론은 지난 2022년 미시간주 베이시티에 실리콘카바이드(SiC) 웨이퍼 공장을 준공하고 현지 생산능력을 대폭 확대했다. 베이시티 공장에 오는 2025년까지 3억 달러를 투자, 생산량과 인력을 늘린다는 방침이다. 미시간주는 SK온 배터리 신규 공장 육성 의지도 드러냈다. 반도체는 물론 자동차 산업 내 미시간주가 가진 강점과 다양한 정책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실트론이 독일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이하 인피니언)로부터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 신규 수주를 따냈다. SiC 기반 전력반도체 수요 확대에 힘입어 SK실트론을 향한 글로벌 기업들의 러브콜이 잇따르고 있다. 인피니언은 10일(현지시간) SK실트론 미국법인 'SK실트론 CSS'과 SiC 웨이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150mm(6인치) 웨이퍼를 우선 공급받고 이후 200mm(8인치)로 전환한다. 인피니언은 SK실트론의 SiC 웨이퍼를 받아 전력반도체 생산에 투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피니언이 만든 SiC 전력반도체는 스텔란티스 등 주요 고객사에 납품될 전망이다. <본보 2022년 11월 15일 참고 스텔란티스·인피니온, 1.4조 규모 차량용 반도체 공급계약> SiC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기반 칩보다 고전력·고효율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같은 특성 덕에 전기차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SiC 칩을 탑재한 전기차는 더 긴 주행거리를 제공하면서도 빠른 충전속도를 자랑한다. 전기차 상용화를 위한 최대 과제로 꼽히는 주행거리와 충전속도를 개선하면서 2배 이상 비싼 재료비에도 완성차 업체들이 SiC칩을 채택하는
[더구루=오소영 기자]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과 장용호 SK실트론 사장이 리투아니아를 찾았다. 아우스린 아르모나이테 리투아니아 경제혁신부 장관과 '2030 부산 세계박람회(부산 엑스포)' 유치 지원을 요청했다. 17일 리투아니아 경제혁신부에 따르면 아르모나이테 장관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리투아니아 수도 빌니우스에서 곽 사장과 장 사장을 만났다. 이번 방문은 7월 아르모나이테 장관의 화답 차원에서 이뤄졌다. 아르모나이테 장관은 지난 7월 한국에 방문했을 때에도 경기 이천에 위치한 SK하이닉스 사업장을 둘러봤었다. SK하이닉스의 기술력을 확인하고 곽 사장을 비롯해 SK그룹 주요 관계자와 회의를 가진 바 있다. <본보 2023년 9월 21일 참고 단독] 롯데바이오 이원직 대표, 리투아니아 경제부 장관과 회동…공장 설립 협의> 이날 곽 사장과 장 사장은 부산 엑스포를 홍보하고 유치 지지를 당부했다. 부산은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이탈리아 로마와 경쟁하고 있다. 내달 28일 투표일을 앞두면서 SK그룹도 유치 활동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곽 사장과 장 사장도 유럽 네트워크를 활용해 유치 활동에 힘을 보탰다. 반도체 사업 협력 논의도 대화 테이블에 올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미시간 당국이 반도체 인재를 키우고자 꾸린 민간 파트너십에 SK실트론이 참여한다. 현지 대학·회사들과 협력해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사세를 확장한다. 14일 미국 전자·IT 전문지 EE타임스에 따르면 미시간경제개발공사(MEDC)에서 인재 개발을 총괄하는 케리 에버솔 싱(Kerry Ebersole Singh)은 지난 10일(현지시간) 인터뷰에서 반도체 인재 양성팀(Semiconductor Talent Action Team, 이하 TAT)에 대해 "KLA와 SK실트론 등 주 내 고용주에 초점을 맞춘 반도체 산업의 인재 니즈에 관한 협력"이라고 설명했다. TAT는 작년 11월 반도체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자 MEDC의 주도로 출범한 공공·민간 파트너십이다. △SK실트론과 미국 반도체 장비 기업 KLA 등 반도체 기업 15개 △미시간 주립대학과 미시간공과대학, 워시트노 커뮤니티 칼리지 등 교육기관 7개 △반도체 관련 협회 2개가 참여한다. TAT는 △컴퓨터 엔지니어 △전기 엔지니어 △산업·공정 엔지니어 △반도체 공정 기술자 △유지보수 작업자 등 5개 분야의 인력을 집중 육성한다. 지난 5월 최대 300만 달러(약 40억원)의 보조금
[더구루=오소영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내주 SK실트론의 현지 손자회사 SK실트론CCS 공장을 찾는다. 대규모 반도체 지원 법안 발효에 발맞춰 공격적인 투자를 주문한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쌓아온 '반도체 우정'이 정점을 찍을 것으로 보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29일(현지시간) 미국 미시간주에 있는 SK실트론CSS 생산공장을 방문한다. 공장을 둘러보고 사업 현황을 살필 예정이다. 지난 8월 공포한 반도체 칩과 과학법(Chips and Science Act)의 효과를 설명하고 투자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법안은 총 2800억 달러(약 379조원) 규모로 자국 반도체 연구·개발·제조에 지원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SK실트론CCS는 SK실트론이 2020년 미국 듀폰사의 웨이퍼 사업부를 인수해 미국에 세운 회사다. 전기차 등의 전력 변환 장치에 쓰이는 전력 반도체의 핵심 소재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를 주로 생산한다. 미국 반도체 회사 울프스피드·투식스(Ⅱ-Ⅵ)와 함께 3대 SiC 웨이퍼 제조사로 꼽힌다. SK실트론CCS는 전기차 수요 확대에 따라 증설을 지속해왔다. 작년 11월 미국 웨이퍼 증설을 위해 향후 5
[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실트론이 미국 반도체 회사로부터 대규모 수주를 따냈다. 글로벌 반도체 회사들과 잇따라 손잡으며 웨이퍼 시장 내 입지를 공고히 하고 있다. 코보(Qorvo)는 지난 2일(현지시간) SK실트론과 실리콘카바이드(SiC)와 에피택시(epitaxy) 웨이퍼에 대한 다년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납품 규모와 계약 조건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코보 관계자는 "이 계약은 국내 반도체 공급망의 회복력과 특히 자동차 시장에서 첨단 SiC 솔루션에 대한 빠르게 증가하는 수요를 지원할 수 있는 더 큰 능력을 촉진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SiC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기반 칩보다 고전력·고효율성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이같은 특성 덕에 전기차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다. SiC 칩을 탑재한 전기차는 더 긴 주행거리를 제공하면서도 빠른 충전속도를 자랑한다. 전기차 상용화를 위한 최대 과제로 꼽히는 주행거리와 충전속도를 개선하면서 2배 이상 비싼 재료비에도 SiC칩을 향한 완성차 업체들의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코보는 지난 2015년 트라이퀸트반도체와 RF마이크로디바이스(RFMD)의 합병으로 탄생한 회사다. 메모리 반도체부터 파운드리 서비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실트론이 영국 반도체 소재 회사 'IQE'와 손잡고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개발에 나선다. 양사의 웨이퍼와 기판 제조 기술을 적극 발휘해 고성장이 예상되는 차세대 반도체 시장을 공략한다. 11일 IQE에 따르면 SK실트론과 IQE는 지난 6일 경북 구미 SK실트론 사업장에서 GaN 전력 반도체 개발·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했다.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공동 사업을 펼칠 예정이다. 양사는 SK실트론의 웨이퍼 전문성과 IQE의 에피택시(epitaxy) 공정 기술력을 활용, 실리콘카바이드(SiC)와 GaN 등 차세대 화합물반도체를 기반으로 한 전력반도체를 개발한다는 목표다. 우선 5G 보급 확대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는 무선통신용 SiC·GaN 기반 칩 개발을 시작으로 향후 자동차, 소비자향 GaN-on-Silicon(질화갈륨-온-실리콘) 칩까지 파트너십을 점차 확대한다. GaN 전력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열에 강해 고전압에서 잘 버틴다. 전력모듈에 필요한 냉각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경량화를 가능케 한다. 전력을 75% 덜 소비해 높은 효율을 자랑하며 성능도 우수하다. 스마트폰 고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실트론이 미국 미시간주에서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 신공장을 준공했다. 전기차 확산으로 필수 부품인 차세대 전력 반도체 수요가 늘며 주요 원자재인 SiC 웨이퍼 생산능력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선두권 기업으로 안착하겠다는 포부다. SK실트론의 미국 손자회사 SK실트론 CSS는 미시간주 베이시티에서 SiC 웨이퍼 공장의 준공식을 열었다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장용호 SK실트론 사장과 둥젠웨이 SK실트론 CSS 최고경영자(CEO) 등 그레천 휘트머 미시간 주지사, 미국 민주당 소속 댄 킬디 하원의원 등 SK실트론·정부 관계자가 참석했다. SK실트론 CSS는 작년 7월 2025년까지 미시간주에 3억 달러(약 4060억원)를 투자해 생산능력을 네 배, 인력을 두 배 늘리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증설 계획의 일환으로 신공장을 착공해 최근 1라인(phase 1)을 완공했다. 시제품 생산을 거쳐 11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동할 전망이다. 향후 150개의 일자리 창출이 예상된다. SK실트론 CSS는 투자 대가로 미시간 경제개발공사(MEDC)로부터 150만 달러(약 2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현지 커뮤니티 칼리지(CC)인 델타 칼리지와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실트론 미국법인인 'SK실트론 CSS'가 신규 채용 인력을 교육하기 위해 현지 대학과 협력한다. 정부 지원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해 반도체 분야 우수 인재 양성에 힘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실트론 CSS는 미시간주 고용 장려 정책인 'MNJTP(Michigan NEw Jobs Training Program)'을 통해 현지 커뮤니티 칼리지(CC)인 델타 칼리지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델타 칼리지는 SK실트론 CSS가 건설중인 베이시티 신공장에서 새로 고용할 엔지니어를 교육할 예정이다. 추후 기존 직원들까지 프로그램을 확대 적용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베이시티 공장은 올 4월 가동 예정이다. 150개의 신규 일자리 창출 효과가 기대된다. 약 79%는 숙련된 제조 작업자, 30%는 엔지니어를 고용할 계획이다. 미시간주는 기업들의 고용을 지원해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MNJTP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정부 지원 하에 커뮤니티 칼리지가 무료로 교육을 제공한다. 기업 규모나 업종에 관계없이 신규 채용하는 고용주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SK실트론 CSS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핵심 소재인 실리콘 카바이드(SiC) 웨이퍼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정부가 전기차 등에 쓰이는 광대역갭(WBG) 반도체 공급망 구축에 힘을 쏟는다. 원료부터 패키지까지 위험 요소를 평가하고 전방위적인 투자를 준비하며 LG이노텍과 포스코, SK실트론 등 국내 업체들의 진출에도 이목이 쏠린다. 27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에너지부(DOE)는 지난달 24일 발표한 반도체 공급망 심층평가 보고서에서 WBG 반도체를 중점적으로 다뤘다. WBG 반도체는 전기차 등에 쓰여 미국이 탈탄소화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핵심 부품이다. DOE는 △원료 △가공재료 △최종제품 △조립 테스트·패키징 등 네 분야로 나눠 평가를 진행했다. 원료의 경우 갈륨의 수급 차질이 가장 크게 우려됐다. 미국에서 사용되는 갈륨은 모두 수입산이며 중국산이 90% 이상이다. 흑연도 공급망 위험도가 큰 품목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의 생산 증가로 수요 확대가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에서 생산되는 흑연은 전무하다. 실리콘은 미국에서 제조사 6곳이 있지만 무분별한 채굴에 따른 환경 피해와 노동 착취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관련 규제가 생기면 실리콘 공급망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가공재료 부문을 보면, DBC 절연체 기판을 공급하는 미국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처음으로 전기 상용차 부문에서 첫 고객사를 확보했다. 일본 이스즈와 북미에서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고객사 저변을 넓히고 북미 배터리 재활용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운다. 4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달 27일(현지시간) 이스즈 북미 법인(Isuzu Commercial Truck of Americ)과 전기 상용차 배터리 재활용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은 레드우드가 중대형 상용차 회사와 협력하는 첫 사례다. 레드우드는 이스즈의 배터리 셀과 모듈, 팩, 소재 등을 받아 미국과 캐나다에서 재활용을 추진한다. 레드우드와 이스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 공장을 보유하고 있어 지리적 인접성을 토대로 시너지를 낼 전망이다. 레드우드는 지난 2022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인근에 약 35억 달러(약 5조300억원)를 투자해 240만 ㎡ 규모의 폐배터리 재활용 공장을 짓는다고 발표했다. 오는 3분기 운영을 시작한다. 이스즈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피에몬테에 약 2억8000만 달러(약 4200억원)를 쏟아 전기 상용차 공장을 건설 중이다. 2027년부터 운영을 시작하고 이듬해 확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전고체배터리 제조사 퀀텀스케이프(QuantumScape)가 상장 과정에서 제기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델라웨어주 고등법원에 따르면 퀀텀스케이프와 경영진은 주주인 셰드릭 리차드가 제기한 신탁의무 위반소송에서 875만 달러(약 120억원)를 지급하기로 합의했다. 리차드는 퀀텀스케이프가 상장을 위해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Kensington Capital Acquisition)과 역합병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신탁의무를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역합병은 인수회사가 없어지고 피인수회사가 존속하는 합병 방식이다. 리차드는 회사 경영진이 충분한 실사 없이 합병을 서둘러 주주보다 자신들의 재정적 이익을 앞세웠다고 지적했다. 켄싱턴 캐피탈 에퀴지션은 기업인수목적회사(SPAC)로 지난 2020년 6월 상장했다. 이후 같은해 9월 퀀텀스케이프 인수 계획을 발표했으며, 11월25일 최종 거래가 성사됐다. 퀀텀스케이프는 지난 2010년 설립된 전고체배터리 제조사다. 퀀텀스케이프의 전고체 배터리는 음극재 역할을 고체 상태의 분리막 위에 형성된 리튬메탈층이 대신하는 것이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