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르기스스탄, 우라늄·토륨 채굴 재개

의회, 우라늄·토륨 개발 금지 해제 법안 통과
관련 금속 채굴 통해 우라늄 수출·토륨 저장 예정

 

[더구루=진유진 기자] 키르기스스탄이 우라늄·토륨 채굴 금지를 해제한다. 전 세계적인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원자재 공급 우려를 불식시키는 데 영향을 줄지 주목된다.

 

12일 업계에 따르면 키르기스스탄 의회 의원들은 최근 우라늄과 토륨 채굴 금지 해제 법안을 찬성 69표, 반대 3표로 승인했다. 새 법안은 최근 심각한 경제난 속 대체 수입원을 찾는 전략 중 하나다. 키르기스스탄은 이번 법안 개정으로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멜리스 투르간바예프 키르기스스탄 천연자원환경기술감독부 장관은 "우라늄 채굴이 수익성이 있으려면 40~50t의 매장량이 필요한데 83개 지역에서 0.01~0.08%의 우라늄이 발견돼 매장량이 부족하다"며 "우리의 목표는 우라늄이 아니라 관련 금속이다"고 말했다.

 

키르기스스탄 당국은 우라늄과 토륨을 동반하는 티타노 마그네타이트를 채굴한다는 계획이다. 우라늄과 토륨은 모두 추이(Chui) 주에 있는 카라-발타 콤바인(Kara-Balta Combine)에서 처리된다. 토륨은 저장되고 우라늄은 수출될 예정이다.

 

우라늄과 토륨 채굴에 관한 환경 규범과 기준을 엄격하게 준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에 새 법안은 유해 폐기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보 2024년 3월 5일 참고 키르기스스탄, 우라늄·토륨 채굴 재개 추진…경제 압박 영향>

 

멜리스 투르간바예프 장관은 "이번 법안이 환경이나 공중보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지난 2019년 우라늄·토륨 채굴 금지 법안이 환경 오염에 대한 대중의 우려로 제정되며 키르기스스탄 전역에서 우라늄과 토륨 채굴이 전면 금지된 바 있다. 당시 관련 당국은 광산 개발 면허를 판매하려 했으나 환경 위험과 수질 오염 가능성에 대한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키르기스스탄 이식쿨(Issyk-Kul) 지역에는 과거 우라늄 채굴로 인해 15만㎥의 방사성 폐기물이 쌓여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키르기스스탄에 유해 물질 위험에 노출된 매장지는 92개, 폐기물 처리장은 23개인 것으로 비상상황부는 조사했다. 이곳에는 290만㎥에 달하는 우라늄 성분 등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AI 열풍으로 전력 수요가 폭발하면서 에너지 공급에 필요한 구리와 우라늄 등 원자재 채굴 업체들의 주가가 치솟고 있다. 우라늄은 태양광이나 풍력 에너지와 달리 일정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주목받으면서 다시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들은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을 충당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을 선택하고 있다.

 

다만 우라늄 역시 공급 부족 우려가 존재한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와 세계 최대 우라늄 생산지인 카자흐스탄에서 벌어진 홍수 사태 등이 원인이다. 러시아 의존도를 낮추려는 미국이 최근 러시아 우라늄 수입 금지 법안에 서명하면서 공급 우려는 더 심화하고 있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