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저케이블 구축 프로젝트 급증…러시아·중국발 안보 우려↑

북미-유럽 잇는 해저케이블 프로젝트 진행중
'에너지 주권' 확보 필요…러시아 해저 작전 가능성
국내선 '중국산 리스크' 부각…"안보 이슈 비화 우려"

[더구루=정예린 기자] 해상 풍력 중심 글로벌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로 북미와 유럽 등에서 해저케이블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안보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중국산 리스크'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6일(현지시간) 미국 CNN에 따르면 최근 고전압 해저케이블로 유럽과 북미를 연결하는 이른바 '나토-L'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다. 대서양 아래 6GW급 해저케이블을 구축, △영국 서부 △캐나다 동부 △뉴욕 △프랑스 서부 등 2000마일 거리를 잇는다. 

 

나토-L은 '청정에너지 주권을 찾아야 할 때’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천연 에너지 자원이 풍부한 러시아 등의 의존도를 줄여 에너지 독립을 이뤄야 한다는 주장이다. 동시에 동맹국 간 결속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CNN은 해저케이블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러시아로부터 촉발된 국가 안보 문제를 지적했다. 작년 덴마크, 핀란드, 노르웨이, 스웨덴의 공영방송이 공동 제작한 다큐멘터리를 예로 들었다. 

 

이 다큐멘터리는 러시아가 북해와 발트해에서 에너지 케이블은 물론 해상 풍력 발전소, 가스 파이프라인을 중심으로 해저 정보 작전을 수행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러시아가 군용·민간용 선박을 활용해 해저 기반 시설 지도를 만들고 유럽 국가의 전력을 차단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최근 국내에서도 해상풍력 시장이 확대되면서 이같은 상황이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중국업체들은 낮은 가격을 무기로 국내 해저케이블 시장에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진행 중인 일부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에서는 중국산 해저케이블이 사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 업계 관계자는 "해저케이블은 국가기간 시설인 전력·통신망 구축에 사용되는 핵심 기자재"라며 "중국에 시장을 열어줄 경우 향후 국내 공급망 붕괴는 물론 국가 안보 이슈로도 비화할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해저케이블은 장거리 송전망과 국가 간 연계 발전 사업 등에 최적화된 제품이다. 특히 전 세계에서 대규모 송전용 해저케이블을 생산할 수 있는 기업은 LS전선을 포함해 6곳 뿐이다. 이중 LS전선과 △이탈리아 프리즈미안 △프랑스 넥상스 △독일 NKT 등 4개사가 전체 시장점유율의 85%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중국 기업들이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시장 진출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BNEF)는 향후 수급 불균형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미국의 연간 해저케이블 예상 부족량은 오는 2030년 410km, 2040년 2303km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유럽의 경우 2030년과 2040년 각각 181km, 1280km의 해저케이블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