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경쟁업체 리비안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이 3년 만에 재개된다. 최근 리비안이 테슬라 충전 방식을 충전 표준으로 채택하며 양사가 협력 관계로 발전한 상황인 만큼 이번 재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7일 미국 법조계에 따르면 테슬라가 리비안을 상대로 제기한 '영업 기밀 침해' 소송이 재개된다. 타미 파스케일과 킴 웡, 제시카 시론, 캐링턴 브래들리 등 리비안으로 적을 옮긴 테슬라 전(前) 직원 4명의 변론 이후 약 3년 만이다. 앞서 테슬라는 지난 2020년 리비안에 소송을 제기했다. 리비안이 직원을 빼가고 영업비밀과 기밀사항, 독점적 정보의 유용을 부추겼다는 이유에서다. 테슬라가 기밀을 빼돌린 혐의가 있다고 주장한 4명은 테슬라 근무 당시 채용 담당과 EHS 관리, 충전 네트워크 관리 등을 맡았었다. 테슬라는 최초 소송에서는 리비안이 훔쳤다고 주장한 영업 비밀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으나 1년 뒤인 2021년 리비안이 차세대 배터리의 핵심 기술을 훔치고 있다고 구체적으로 주장하며 소송을 확대한 바 있다. 이번 소송이 흥미로운 점은 최근 양사가 협력 관계로 발전했기 때문이다. 리비안은 포드와 제
[더구루=김형수 기자] 오비맥주 모기업 AB인베브의 아시아법인 버드와이저APAC가 올해 상반기 두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다. 중국과 인도 등 판매 호조가 실적을 이끌었다. 하반기에는 프리미엄 제품을 내세워 소비자 유치, 디지털 역량 제고에 힘쓰며 실적 개선세를 이어나간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7일 업계에 따르면 버드와이저APAC가 지난 상반기 올린 매출(Revenue)은 36억6600만달러(약 4조7950억원)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0% 증가했다. 같은 기간 총이익(Gross profit)은 14.5% 늘어난 18억6700만달러(약 2조4420억원)를 기록했다. 중국 매출이 19.6% 늘어나며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지난 2월부터 사업을 펼치는 모든 채널과 도시에서 판매량이 증가하며 완연한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히 프리미엄과 슈퍼 프리미엄 제품 판매가 활기를 띠고 있다. 버드와이저APAC는 버드 슈프림(Bud Supreme), 버드와이저 매그넘(Budweiser Magnum) 등을 내세워 중국 시장 공략에 힘쓰고 있다. 또 지난 6월까지 B2B(기업간 거래) 이커머스 플랫폼 비스(BEES) 도입 지역을 중국 내 220개 도시로 늘리며 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양산형 모델의 시험 비행에 돌입했다.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상용화에 속도를 높이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조비는 지난달 말 캘리포니아주(州) 마리나 본사에서 시제기의 첫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다만 구체적인 정보는 공개되지 않았다. 조비 에비에이션이 개발 중인 4인승 글로벌 도심항공교통(UAM·Urban Air Mobility) 기체 S4 모델은 한 번 충전에 240㎞를 운항할 수 있다. 최고 속도는 시속 320㎞다. 조비 에비에이션은 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오는 2025년 상용화가 목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조비와 UAM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업무 협약을 맺고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 6월에는 1억 달러(약 1310억원)를 투자하며 이 회사 지분 2%를 확보했다. SK텔레콤은 이번 투자로 조비 기체를 국내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SK텔레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에서도 상온 초전도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관련 상장사들의 주가도 상승세를 보인 가운데 업체들은 상온 초전도체 개발 속도를 높여 간다는 계획이다. 7일 중국 증권 정보 플랫폼 둥팡차이푸 초이스(东方财富Choice)에 따르면 지난 2일(현지시간) 초전도체 테마주 주가는 집단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중푸스예(中孚实业)와 바이리뎬치(百利电气) 등 개별주의 상승세가 이어지며 섹터 지수가 올해 들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상온 초전도체는 상온에서도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말한다. 에너지 손실 없이 전기를 전송할 수 있어 전력 손실을 크게 줄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 받는다. 성웨뱌오 난징대학 고성능컴퓨팅센터 수석 엔지니어는 “상온·상압 초전도체는 특수한 온도나 압력이 없어도 되는 현재 상용화가 유망한 초전도체”라며 “칩의 컴퓨팅 성능을 크게 끌어 올릴 수 있으며 양자 컴퓨팅와 초전도 논리회로 등의 발전을 촉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궈밍치 톈펑국제증권(天风国际证券) 애널리스트는 “현재 상온 초전도체의 상업화까지 구체적인 시간표는 나오지 않았지만, 향후 소비 전자 분야의 제품 설계와
[더구루=한아름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뉴저지에 매장을 확대한다. 2030년 북미 매장 1000곳 오픈을 목표를 착실히 밟아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파리바게뜨 미국 법인은 7일 미국 뉴저지에 신규 매장 4곳을 오픈한다고 밝혔다. 올드 브리지 타운십(Old Bridge Township) 등에 매장을 연다는 계획이다. 올드 브리지 타운십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지역과 인접해 거주 인구 수가 많아 시장 가능성이 크다. 2020년 미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올드 브리지 타운십은 미국에서 21번째로 인구수가 많은 도시다. 올드 브리지 가맹점주는 "파리바게뜨는 다양한 제품군과 현대적인 매장 디자인으로 미국 현지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며 "프랜차이즈 사업하기 좋은 기회라고 판단한다"고 전했다. 이번 신규 매장을 포함하면 뉴저지 내 파리바게뜨 매장은 28개에 달한다. 앞서 파리바게뜨는 △노스브런즈윅(North Brunswick) △레드 뱅크(Red Bank) △포트 리(Fort Lee) △해켄색(Hackensack) △리빙스턴(Livingston) 등 지역에 매장을 열었다. 파리바게뜨는 뉴저지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뉴저지는 H마트 등 한인 상권이 발달한
[더구루=김도담 기자] SK온·에코프로와 전구체 파트너십을 맺은 중국 거린메이(格林美·GEM)가 폐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확장, 대규모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7일 중국 현지 업계와 미디어 등에 따르면 올해 GEM의 폐전원 배터리 재활용·해체 규모는 3만5000톤(t) 규모에 달한다. 지난해 1만7000t 대비 2배 이상 규모로, 회사 성장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고 있는 것. 폐철-리튬 배터리에서 탄산리튬을 재활용하는데는 기술적 역량에 따라 비용이 천차만별이다. GEM에 따르면 효율성이 높은 해체 기술과 습식제련 역량 등을 통해 비용을 줄이면서도 효율적으로 폐전원 배터리를 재활용·해체할 수 있다. GEM은 앞선 폐배터리 기술을 기반으로 현재 탄산리튬 연간 5000t 생산라인을 증설, 올해 안에 탄산리튬 1만t, 수산화리튬 5000t 생산 규모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또 전세계 폐전력 배터리 재활용 시장의 10% 이상을 차지, '배터리 재활용-자원 재활용-재료 재활용-배터리 팩 재활용'으로 이어지는 새로운 에너지 수명 주기 가치 사슬을 마련한다는 목표다. GEM은 지난달 이빈천원그룹(宜宾天原集团股份), 쓰촨성 가오현 정부와 신에너지 순환경제 넷제로 시
[더구루=이연춘 기자] 아워홈이 베트남 단체급식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아워홈 베트남법인(베트남아워홈유한책임회사)은 베트남 교육기업 FPT EDUCATION(이하 FPT교육)과 '학생식당 식음서비스 운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7일 밝혔다. FPT교육은 베트남 최대 정보통신기술 기업인 FPT그룹의 교육 관련 계열사다. 글로벌 IT인재 양성을 목표로 2020년 사립학교 설립을 시작했으며, 현재는 베트남 전국에 10개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현지 시간 4일 하노이 FPT대학교에서 진행된 업무협약식에는 김환선 아워홈 해외사업부장과 응우옌 쑤언 퐁(Nguyễn Xuân Phong) FPT교육 대표이사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했다. 양 사는 FPT사립학교 재학생 대상 고품질 식음서비스 제공을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이번 협약을 시작으로 아워홈은 기존 FPT사립학교와 향후 개교 예정인 학교의 학생식당 운영을 전적으로 도맡는다. 40여 년간 쌓아온 국내외 단체급식 운영 노하우와 2만여 개 표준화 레시피 등 선진푸드시스템을 바탕으로 FPT교육 재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식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식품위생관리를 위한 매뉴얼 확립, 효율적인 학생식당 운영을 위한 전
[더구루=홍성환 기자] KB인베스트먼트가 인도 공동운용펀드(Co GP)를 약 900억원 규모로 1차 마감했다. 인도 유망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본격화할 전망이다. 인도 벤처캐피털(VC) Elev8벤처파트너스는 KB인베스트먼트와 공동으로 조성한 Elev8 캐피탈 펀드 1호를 6700만 달러(약 880억원)로 1차 클로징했다고 7일 밝혔다. KB인베스트먼트와 Elev8벤처파트너스는 기업가치 1억~5억 달러(약 1310억~6540억원) 규모 스타트업 12~14곳에 투자할 계획이다. 기업별 투자액은 1000만~1500만 달러(약 130억~200억원) 수준이다. 이미 일부 기업에 대한 투자 마무리 단계에 있다. Elev8벤처파트너스는 인도 벵갈루루에 기반을 둔 벤처캐피털이다. 지난해 설립된 이후 초기기업 투자와 성장단계에 있는 기술기업 등에 주로 투자하고 있다. <본보 2022년 11월 17일자 참고 : [단독] KB인베스트먼트, 인도 벤처펀드에 1300억 베팅...스타트업 인큐베이팅 강화> KB인베스트먼트는 해외 벤처캐피털과 손잡고 공동운용 펀드를 조성해며 해외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앞서 2020년 인도네시아 최대 국영 통신기업 텔콤 산하의 투자사 M
[더구루=김형수 기자] '글로 프로 슬림.' '글로 하이퍼 X2.' '뷰즈 고 800.' 김은지 BAT로스만스 대표가 잇단 신제품 출시로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던힐 신화'를 썼던 그는 비연소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주력하며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시장 트렌드의 화두로 떠오른 궐련형 전자담배 분야에 제품 혁신과 포트폴리오 확장을 통해 재도약할 것이라는 당찬 포부도 밝혔다. 올해 취임 3년을 맞는 김 대표의 성적은 합격점을 받고 있다. 시장점유율에서 3년 새 괄목할만한 성과를 냈다. 취임 직전인 2019년 6%에 머물던 시장점유율은 지난해 11.72%로 두배 가까이 끌어올렸다. 국내 담배시장에서 KT&G와 PMI의 양강 구도의 공식이 깨지는 모양새다. 김 대표가 꺼내 든 비연소 제품 포트폴리오 확장이 그대로 적중한 셈이다. 실제로 그는 2021년 9월 BAT로스만스가 출범하자마자 세계 최초로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 프로 슬림' 론칭을 진두지휘했다. 지난 2월에는 고급 인덕션 히팅 기술이 적용된 '글로 하이퍼 X2'를 선보했다. 출시에 이어 고객 접점 확대에도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김 대표는 고객들이 신제품을 경험해볼 수 있는 팝업스토어 마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브라질에서 제품 마케팅을 확대한다. TV부터 가전제품까지 LG전자의 주요 라인업을 알려 현지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브라질에서 새로운 캠페인을 시작한다. '보고 믿다(See to Believe)'라는 슬로건을 내걸었다. 고객에 LG전자의 제품을 직접 보고 사용해 볼 것을 제안한다. 제품을 경험하면 충성도 높은 소비자가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자사 기술력과 제품력에 대한 자신감이 반영된 전략이다. △올레드 TV △인스타뷰 냉장고 △워시타워 세탁기 △스타일러 등 다양한 제품을 홍보한다. LG씽큐 앱과 연결해 소비자가 스마트한 삶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LG전자는 신규 캠페인을 통해 중남미 시장 공략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남미는 도시 인구와 중산층 확대에 힘입어 소비 성장률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돼 성장 가능성이 높은 신흥 시장으로 분류된다. 한편 LG전자는 1995년 마나우스 공장을 세우고 브라질에 진출했다. TV와 전자레인지, DVD 플레이어 등을 생산했으며 2001년 에어컨 공장을 짓고 생산품목을 다변화했다. 지난 2021년 3억2500만 달러를 쏟아 마나우스 공장을 1만2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남아프리카공화국 전기차 시장 진출 채비에 나섰다. 현지 교통당국에 마케팅과 판매를 위한 전시용 전기차를 신규 등록했다. 높은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받는 시장인 만큼 선점을 위한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6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남아공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한 채비에 나섰다. 최근 현지 전기차 판매를 위한 전시용 전기차 2대를 신규 등록했다. 현지 전기차 시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했다. 실제 남아공 전기차 시장은 올해 들어 성장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전기차 전문 매체 클린테크니카에 따르면 상반기 남아공 자동차 시장 규모는 26만5970대로 집계됐다. 이 중 BEV는 501대로 전체 판매 비중의 0.2%를 차지했다. 사치세 포함 높은 수입 관세 적용에 따라 대부분 100만 링깃(5만6750달러)을 훌쩍 뛰어넘는 프리미엄 모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인상적인 판매량이다. 특히 남아공 전기차 시장에 진출한 브랜드는 7개에 불과하다. 상반기 전기차 판매 1위 브랜드는 BMW이다. 상반기 총 255대를 판매했다. 볼보는 98대로 2위, 미니는 61대로 3위에 올랐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와 아우디가 각각 42대와 17대를 판매해 4위와 5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SDS가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 스퀘어(Cello Square)'를 앞세워 멕시코 공략에 고삐를 죈다. 니어쇼어링(인접국으로의 생산기지 이전) 효과를 톡톡히 누려 북미에서 입지를 다진다는 전략이다. 6일 멕시코 일간지 밀레니오(MILENIO)에 따르면 후안 산티아고 바르가스 삼성SDS 멕시코법인 비즈니스 개발 디렉터는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멕시코의 지리적 이점에 따른 니어쇼어링 기회를 통해 우리는 세계 주요 솔루션 업체로 거듭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바르가스 디렉터는 "삼성SDS의 첼로 스퀘어는 모든 유형의 기업 물류 프로세스를 능률화한다"며 "예를 들어 미국으로 오가는 비용을 미리 계산해볼 수 있는 온라인 견적 서비스 등도 있다"고 덧붙였다. 삼성SDS는 지난달 초 멕시코에 첼로 스퀘어를 공식 출시했다. 글로벌 디지털화 움직임이 거센 가운데 북미에 새롭게 진출하는 기업 혹은 이미 둥지를 틀고 있는 회사를 고객사로 확보하기 위해서다. 특히 멕시코는 최근 새로운 투자처로 각광받고 있다. 미국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막대한 보조금을 내걸고 ‘메이드 인 USA'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국경이 맞닿아 있으면서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가 인류 경제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앤트로픽은 이번 기회를 통해 AI 도입으로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엔트로픽에 따르면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Anthropic Economic Futures Program)'을 개시한다. 앤트로픽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AI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AI가 도입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발생할 일자리 문제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변화 등을 상세하게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발생할 부작용을 예측해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은 △연구비 지원 △포럼 개최 △장기 데이터 생성·공급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앤트로픽은 연구자들이 AI가 미칠 영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금과 파트너십 등을 제공하고, 실제 데이터에 기반해 AI의 영향을 연구할 수 있도록 포럼을 마련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앤트로픽 경제 지수(Anthropic Economic Index)를 기반으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에어택시 제조업체 조비 에비에이션(Joby Aviation)이 내년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도심항공교통(UAM)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조비는 1일 "두바이에서 전기 수직이착륙 비행체(eVTOL) 유인 비행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조비는 내년 UAE 두바이에서 첫 에어택시 운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두바이 도로교통청(RTA), 두바이 민간항공청(GAA), UAE 민간항공청(GCAA) 등과 협력 중이다. 이 회사는 6년 간 두바이에서 독점적으로 에어택시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한 상태다. 조비는 두바이 국제공항과 인공섬 팜 주메이라, 두바이 마리나, 두바이 다운타운 등 네 곳에 거점을 마련한다. 현재 버티포트(수직이착륙장) 건설 공사가 진행 중이다. 조벤 비버티 조비 설립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UAE는 글로벌 시장 진출에 있어 중요한 발판"이라고 강조했다. 조비는 UAM에 활용되는 전기항공기의 최장 비행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미국 연방항공국(FAA)의 상업 비행용 허가인 G-1 인증을 획득한 UAM 기체 제조 분야 글로벌 선도기업이다. 조비가 개발 중인 e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