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현지 방산업체 칼리두스(Calidus)와 미사일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이 CMA CGM으로부터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이중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의 연료 탱크 설계를 프랑스 화물 탱크 원천기술 보유 업체인 가즈트랑스포르&테크니가즈(GTT)에 맡긴다. GTT는 기존 탱크 설계 압력보다 넓은 압력 작동 범위를 적용해 LNG 연료 탱크의 운영 역량을 향상시키고 유연성을 제공한다. 21일 GTT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GTT에 CMA CGM서 수주한 1만2750m³ 용량의 LNG 연료 추진 컨테이너선 12척의 화물창 설계를 발주했다. HD현대중공업은 지난달 GMA CGM으로부터 3조7160억원에 컨테이너선 12척을 수주했다. 신조선은 울산 HD현대중공업에서 건조돼 2027년 2분기부터 2028년 12월까지 인도될 예정이다. 12척의 컨테이너선에는 GTT의 멤브레인 격납 시스템인 '마크 III 플렉스'와 기존 0.7바지(barg)가 아닌 최대 1barg의 유효 작동 압력이 가능한 '1barg' 설계가 적용될 예정이다. 1barg 설계 압력은 매우 넓은 압력 작동 범위를 제공함으로써 LNG 탱크 성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유지 시간을 개선하고 활동이 낮은 기간 동안 불필요한 가스 연소를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가 중국과의 배터리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K-배터리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이 배터리 기술과 공급망 측면에서 앞서있어 한국 기업에 보조금 지원과 합작투자로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양대 조선그룹인 중국선박공업그룹(CSSC)과 중국선박중공업그룹(CSIC)과의 합병 절차가 마무리되면서 '공룡조선'이 공식 출범했다. 양사는 주식 교환 거래를 통해 합병으로 경쟁을 종식시키고 새로운 거대 조선소를 만들어냈다. 중국은 조선 경쟁력을 강화해 친환경 선박 시장에서 한국, 일본 등 경쟁국을 빠르게 추격한다는 전략이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업체가 미국의 관세 우려 속에 글로벌 영역 확장을 위해 위해 텍사스를 정조준한다. 관세 부담으로 인해 글로벌 AI 서버 공급망 혼란이 불가피하자 생산지를 전환해 공급망을 재편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폴란드에 수출된 K9 자주포가 위력을 과시했다. 폴란드군에 배치 후 실사격 훈련에서 사격 능력과 운용 능력을 입증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중공업이 앙골라 국영 석유 회사 '소낭골(Sonangol)'로부터 유조선 2척을 수주했다. HD현대중공업와 한화오션, 대한조선이 경합했지만 HD현대중공업이 최종 수주를 따냈다. 19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에 따르면 HD현대중공업은 소낭골과 15만8000DWT급 수에즈막스 원유운반선 2척에 대한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통상 선주사는 조선소와 LOI를 먼저 체결하고, 최종 계약으로 거래를 확정 짓는다. 계약에는 확정 물량 2척만 포함됐고, 옵션분은 포함되지 않았다. 입찰 당시 선가는 선박당 9000만~9500만 달러(약 1260억~1330억원) 수준으로, 총 수주 규모는 1억9000만 달러(약 2700억원)로 추정된다. 신조선은 HD현대중공업에서 재래식 연료 추진 방식으로 스크러버 장착해 건조된다. 오는 2027년과 2028년에 인도할 예정이다. 소낭골이 HD현대중공업을 유조선 건조사로 선택한 건 과거 건조 이력이 있어서다. HD현대중공업은 5년 전에도 소낭골에서 발주한 15만7000DWT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을 수주해 건조한 바 있다. <본보 2020년 6월 1일 참고 HD현대
[더구루=길소연 기자] PC용 메모리 디램(DRAM)의 국제 가격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가격 하락에 속도가 붙는다. 경기둔화에 의한 중국 시장수요 감소와 자국산 생산 및 사용 비중이 확대되면서 공급 과잉과 가격 경쟁이 심화돼 수익성이 악화됐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육군이 차세대 화력지원차량 M10 부커(Booker)의 북극 배치를 앞두고 혹한기 테스트에 돌입했다. 테스트로 전투 환경에서 작전 요구를 충족하는 시스템을 엄격하게 평가해 배치 가능성을 판단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시스템이 투자한 유럽 위성통신업체 '유텔샛 웝웹(Eutelsat OneWeb)'이 인도 정부에 중국과 파키스탄을 제외한 남아시아 25개국 이상에서 위성 광대역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저궤도(LEO) 위성 확장 허가를 촉구했다. 유텔샛 원웹은 글로벌 고객에게 위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건 물론 기존 인도 인프라를 활용해 남아시아에서 서비스를 확장하고 매출 성장을 촉진한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에스토니아가 미국 록히드마틴의 고속기동포병로켓시스템(HIMARS·하이마스)의 공급 차질로 도입 철회를 예고하고 있다. 미국에 대한 깊은 불신을 드러낸 에스토니아는 대안으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다연장로켓포 '천무'를 검토하면서 수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임갑수 주루마니아 대한민국 대사가 신궁과 K9 자주포로 루마니아서 훈장을 받는다. 임 대사의 임기 동안 한국과 루마니아의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강화되고 국방·방위산업과 원자력 발전 등 다방면의 협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17일 루마니아 대통령실에 따르면 클라우스 요하스 루마니아 대통령은 임 대사에게 대십자 공로훈장을 수여했다. 루마니아는 임 대사가 양국 방위산업 교류 활성화에 기여했고 양국 간 이해 증진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 온 점을 높이 평가했다. 임 대사는 지난 2022년부터 폴란드 다음 동유럽 방산 수요국으로 떠오른 루마니아의 대사로 근무 중이다. 루마니아가 수여한 훈장은 1878년 4월 카롤 1세 국왕이 제정한 훈장으로, 루마니아가 만든 최초의 훈장 제도이다. 공공 활동의 모든 분야에서 국가에 제공한 민사 및 군사 서비스에 대한 포상이다. 임 대사는 임기 동안 한국과 루마니아의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강화되고 방산, 원전 등의 분야에서 협력이 확대하는데 기여했다. 양국 간 우호관계 증진은 루마니아의 잇단 한국산 무기체계 도입이 밑거름이 됐다. 루마니아는 K9 자주포 54문과 K10 탄약 운반차 36대(
[더구루=이꽃들 기자] 배달의민족 모기업 딜리버리히어로(Delivery Hero)가 유엔(UN)의 새로운 환경 이니셔티브인 '딜리버리-E 연합(Deliver-E Coalition)'에 창립 멤버로 참여하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대폭 강화한다. 이번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팽창하는 배달 서비스 시장에서 발생하는 환경적 영향을 최소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배터리 제조사 고션 하이테크(Gotion High Tech, 이하 고션)가 스페인에 배터리 소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고션은 새로운 소재 공장을 기반으로 파트너사인 이노뱃(InoBat)을 지원한다.